• 제목/요약/키워드: 접근

검색결과 26,336건 처리시간 0.046초

인구의 경제활동상태 조사방법에 관한 소고 (A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on Surveys of Economically Active Propulation)

  • 김민경
    • 한국인구학
    • /
    • 제19권1호
    • /
    • pp.73-92
    • /
    • 1996
  • 인구의 경제활동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평상상태접근법과 현재상태접근법(노동력접근법)의 두가지 만이 있으며, 평상상태접근법을 종전의 유업자접근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를 종종 보고 있다. 이는 유업자접근방법에서 유업자를 평상 일을 하고 있는 자라고 정의한데서 기인한다. 그러나 유업자와 무업자로만 인구를 구분하고 있는 유업자접근방법은 1930년대 세계 대공황을 계기로 실업자 파악이 불가능하고, 조사자, 피조사자의 주관이 너무 개입되는 등의 비판이 제기되어 1940년에 노동력접근방법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노동력 접근방법이 1947년 ILO의 공식 접근방법으로 권고된 뒤 많은 국가에서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ILO는 1982년에 평상상태접근법(Usual Status Approach)을 소개하였는데, 이는 종전 유업자접근방법과 달리 1년간의 활동상태에 따라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경제활동인구를 파악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노동력접근방법(현재상태접근방법), 평상상태접근방법, 유업자접근방법의 3가지가 있다. 본고는 이들 경제활동상태를 측정하는 세 가지 접근방법의 차이점과 장, 단점을 살펴보고 또 이들 접근법을 실제 적용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접근방법을 밝히고자 한다. 우리 나라는 근래 산업구조가 근대화되어 농업과 같은 계절성이 강한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의 비율이 아주 낮고, 또한 1년 동안의 활동과 특정기간 동안 활동이 서로 다른 인구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는 반면, 인구이동률은 아주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 한다면 우리 나라 경제활동인구를 파악하는 조사에는 노동력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채택하고 있는 노동력접근법을 그 모집단이 되는 인구주택 총조사에서도 채택하는 것이 좀더 합리적일 것이다. 그 이유로는 총조사의 결과가 각종 표본조사의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하는 벤치마크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이다.

  • PDF

접근권한의 상속성을 이용한 역할계층 접근통제 모델 (Role Hierarchy Access Control Model Using Permission Inheritance)

  • 양성훈;오정현;이경효;임도연;오병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94-96
    • /
    • 2005
  • 기존의 역할기반 접근통제(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 모델은 역할(R), 사용자(U), 접근권한 할당(A), 접근권한의 상속성의 관계에 의해 접근통제를 실행할 때. 하위역할에 할당된 사용자의 모든 접근권한은 상위역할에 할당된 사용자의 접근권한에 상속됨으로서 권한의 집중으로 인하여 최소권한 정책을 위배하고, 권한의 남용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BAC 모델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역할에 보안등급(허용등급, 허용범위)을 이용하여 접근권한의 상속성을 제한하고, 속(보안등급, 부분순서)의 이론을 적용하여 접근권한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는 역할계층 접근통제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역할의 특정영역을 지정함으로서 부분적인 역할계층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역할을 추가하거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역할의 계층구조를 간편하게 갱신할 수 있게 항으로서 다단계 보안시스템에서도 효과적으로 접근통제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규모 보안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PDF

Special Theme_ICT 접근성 향상 - ICT 접근성 향상

  • 최두진
    • TTA 저널
    • /
    • 통권137호
    • /
    • pp.22-27
    • /
    • 2011
  • 정보통신기술(ICT)은 우리 일상생활에 너무나 깊숙이 스며들어 이제 정보통신기술 없이는 행정서비스, 경제활동, 사회참여, 문화활동 등을 향유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정보통신기술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정보격차 (Digital Divide)가 경제격차와 사회문화적 격차를 유발하여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 정보통신 접근성(ICT Accessibility)은 신체적, 인지적 제약으로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일반인과 차별 없이 정보통신의 유용성을 향유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들에 비해 정보통신 접근성을 위한 법 제도적인 출발이 늦었지만, 최근 수년간 관련 법률의 제정, 정보통신 접근성 보장을 위한 지침 및 표준의 제정 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여 빠른 속도로 선진국 수준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금융자동화기기 접근성 지침' 등 12개에 이르는 표준을 제정한 바 있으며,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개발 보급, 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홍보 등을 통해 정보통신 접근성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앞으로도 모바일 시대, 디지털 융합의 스마트 시대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표준 제정, 관련 기술의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모든 사람이 정보화의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통합 (Digital Inclusion) 시대를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설계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 이원경;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219
    • /
    • 2013
  • 장애인들의 웹서비스 이용도와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진 현실을 고려한다면 공공기관이나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지침, 그리고 관련 최신 연구들이 제안한 웹 접근성 요건들을 기반으로 중요도 수준이 포함된 42개의 항목의 웹 접근성 요건 체크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15개의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요하다고 고려된 요건들이 아직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콘텐츠구성, 소리, 색,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접근기능, 이미지, 텍스트처리, 코드처리 등 9개 분야별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향후 접근성 지침에 따른 웹사이트 제작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통수요분석에서 통행목적별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의 이론적 비교연구 (Theoretical comparison of O-D trips and P-A trips in travel demand analysis)

  • 김익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62
    • /
    • 1997
  • 이 논문은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을 이론적으로 서로 비교한 연구이다. O-D 접근방법은 전통적인 교통수요 4단계 분석기법의 모든 과정에서 통행수 산출을 통행 유출과 통행유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O-D 통행량을 사용한 기법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O-D 접근방법은 우리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P-A 접근방법은 통행 발생, 통행분포, 교통수단선책 분석과정까지 통행생성과 통행유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P-A 통행량을 사용한 기법으로 정의되었으며, 노선배경 분석단계에 앞서 P-A 통행량을 O-D 통 행량으로 전환되어져야 한다. P-A 접근방법은 구미국가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 다. 이러한 두 접근방법은 통행목적 분류에서 귀가통행이 별도로 분류되어있는가 혹은 아닌 가에 따라 쉽게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만일 귀가통행이 통행목적의 분류에서 별도로 구분되 어 있으면 O-D 접근방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전통적 교통수요 4단계 분석과정 중 통행발생, 통행분포 및 교통수단선택의 각 분석과정에서 두 접근방법간 의 이론적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써 형태적 통행패턴을 상대적 으로 잘 설명하며 또한 집합적 오차를 상대적으로 초 lth화할 수 있는 기법이 어느 것인가 를 이론적으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행태적 측면에서 통행패턴을 P-A 접근방법이 더 잘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집합화 오차도 P-A 접근방법이 더 적으므로 P-A 접근방법이 O-D 접근방법보다 이론적으로 더 우수하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이 연구는 통행발생, 통행 분포, 교통수단선택 분석과정이 끝난 후 P-A 통행량에서 O-D 통행량으로 전환하는 것이 통행발생, 통행분포의 분석과정이 끝난 후에 O-D 통행량으로 전환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 다고 추천하였다.

  • PDF

접근통제 기술 동향

  • 김의탁;최용락;김기현;최용락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77-96
    • /
    • 1998
  • 본 논문은 각 시스템 자원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접근통제 기술을 다룬다. 현대의 분산 정보통신망 환경은 광역화되고 응용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화 됨에 따라서 접근통제의 요구사항이 매우 복잡해졌다. 따라서 하나의 접근통제 정책이나 메커니즘으로 모든 보안 요구사항을 해결할 수 없으며, 다양하게 연합된 정책과 기능별 복합적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접근통제 기술의 개념과 국제표준의 핵심내용을 분석하고, 최근 접근통제 제품들의 평가내용을 조사함으로써 접근통제 관련제품의 개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 PDF

복합표본조사 데이터 분석을 위한 회귀모형 접근법의 비교: 소규모사업체조사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gression Model Approaches fined to Complex Survey Data)

  • 이기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2권1호
    • /
    • pp.73-86
    • /
    • 2001
  • 본 논문은 복합표본조사 분석에서 회귀모형 접근법으로 사용되는 모형 기반 접근법, 설계 기반 접근법과 일반화 추정 방정식 접근법을 설명하고, 이들을 실증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또한 설계 기반 접근법과 일반화 추정 방정식 접근법에 대해서 설계효과와 가중치 효과 분석을 통해서 표본 설계가 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웹 접근성 지침을 통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445-448
    • /
    • 2008
  • 최근 인터넷 환경은 컴퓨터를 이용한 윈도우즈의 환경에서 핸드폰,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장애자나 컴퓨터 초보자도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KADO-WAH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교육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평가하고 이들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비교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 관련기관인 대도시 교육청 홈페이지와 부산시 교육청 산하 교육구청의 홈페이지, 그리고 부산시내의 여러 고등학교 홈페이지에 대하여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하고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학부모나 교육 관련 이해 당사자 누구라도 쉽게 교육용 웹사이트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분산시스템에서 Z언어를 이용한 역할기반 접근제어 메커니즘 (A Role-Based Access Control Mechanism using Z language in Distributed System)

  • 최은복;노봉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2호
    • /
    • pp.113-121
    • /
    • 2001
  • 접근제어의 목적은 컴퓨팅 자원 및 통신 정보자원 등을 부당한 사용자로부터 사용되거나, 수정, 노출, 파괴와 같은 비합법적인 행위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대표적인 보안 정책 중에서 Biba 모델은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지만 상업적인 환경에 적용되기는 다소 미흡하며, 역할기반 접근제어 정책은 상업적인 측면의 보안정책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접근되는 객체의 중요도에 따른 보안등급이 고려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Biba 모델의 보안등급을 역할기반접근제어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주체가 해당 객체를 부당하게 변경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많은 접근권한을 관리하는데 융통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안한 접근제어 모델의 제약조건들을 정형 명세 언어인 Z언어를 통해 명확히 표현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나 프로그래머가 접근제어정책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할 때 프로그램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모델을 망관리 객체의 연산과 등급을 갖는 역할과 제약조건을 사용하여 실제 운영되는 통신망 관리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정보의 무결성이 보장됨을 보였다.

  • PDF

태스크포스팀 조직의 접근권한충돌 해결 (A Method for solving conflicting authorities in Task force team)

  • 심완보;박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271-273
    • /
    • 2004
  • 태스크포스팀의 구성원들은 이전 조직에서 가졌던 역할 권한과 태스크포스팀으로 파견되어 갖게 되는 역할 권한 등으로 해서 복합적인 접근권한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어떤 객체에 대해 접근이 허가된 접근권한과 접근이 불허된 접근권한을 각각 다른 역할을 통해 갖게 되었음 때 사용자가 객체를 접근 하고자 할 때 이를 허용할 것이지 불허할 것인지 둘 중의 하나를 결정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권한 충돌 해결이라 한다. 권한 충돌 해결을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태스크포스팀과 같은 임시조직과 기존의 관료제 조직이 병존하는 상황에서 어떤 자원에 대한 접근 요구시 시스템에 의해 즉시 권한충돌 문제를 해결해 접근허가 여부를 판단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관료제 조직과 태스크포스팀 조직과 같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조직이 병존하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권한충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