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점토지반

검색결과 891건 처리시간 0.025초

점토지반에 근입된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의 거동 특성 및 지지력결정을 위한 파괴기준 (The Failure Standard to Estimate the Behavior and Bearing Capacity for Connected-type Foundation of Transmission Tower in Clay)

  • 경두현;이준환;백규호;김대홍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7-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점토지반에 근입된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를 대상으로 모형수평재하시험을 수행하고, 연결형 기초의 파괴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점토지반에서 연결형 기초의 모형수평재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연결형 기초의 하중-변위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강성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연결형 기초 모형체를 제작하였으며, 요소 및 기초전반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측장치를 설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연결형 기초의 지지력을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평지지력 결정을 위한 파괴기준을 제안하였다.

강도증가율을 고려한 연약점토지반 위의 성토의 안정해석 (Stability Analysis of Embankment on Soft Clay considering the Rate of Strength Increase)

  • 임종철;강연익;공영주;유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7-67
    • /
    • 1999
  • 연약점토지반 위의 성토사면에 대해 안정해석을 수행할 경우, 종래에는 해석의 간편성 때문에 하중재하 형태를 순간재하로 가정하고, 점토층 깊이에 대해 평균적인 비배수전단강도$(s_u)$를 적용하여 해석해 왔다. 그러나 실제 현장의 하중재하 형태는 성토하중의 점증적 중가와 방치가 단계적으로 반복수행되는 형태이므로 점토지반의 압밀진행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의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압밀 상태인 연약점토지반 위의 점증성토와 방치기간을 고려할 수 있고, 또한 압밀경과시간과 점토지반의 깊이에 따른 강도증가율을 고려할 수 있는 안정해석 프로그램(RSI-SLOPE)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의로 가정한 해석단면에 대하여 성토설계를 수행하였고, 한계성토고에 대해서 강도증가율을 고려 않는 종래의 안정해석 프로그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성토설계시 압밀계수$(c_u)$와 배수거리 $(H_{dr})$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도증가율을 고려한 안정해석 프로그램(RSI-SLOPE)을 이용하면 계획된 성토고까지 최소허용안전율을 만족하면서 성토할 수 있는 성토완료기간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성토계획 및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점토의 압밀계수에 대한 이방성 (Anisotropy in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of Clay)

  • 강병희;이윤규;김경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41-149
    • /
    • 1999
  • 점토지반의 압밀계수에 대한 이방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인공퇴적점토시료로서 Rowe형 압밀시험기와 재래식 일반 압밀시험기를 이용하여 일련의 압밀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Rowe형 압밀시험기에 의해서 구한 내향수평압밀계수는 일반 압밀시험기에 의한 연직 압밀계수의 약 2배이었다. 또한, 연직모래배수재의 설치로 인한 스미어 영향은 과압밀응력범위에서 특히 크며 압밀응력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자연점토의 변형률속도 의존적인 압밀거동의 해석 (Modeling Strain Rate-dependent Behavior in Consolidation of Natural Clay)

  • 김윤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7-2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자연점토의 압밀에 대한 변형률속도의 영향을 해석하기 위하여 비선형 점탄소성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약지반의 점소성 거동은 유일한 유효응력-변형률-변형률속도 (equation omitted)의 관계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Berthierville 점토에 대한 크리프실험, 다단계 하중실험, Relaxation실험과 같은 실내실험결과와 수치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제안된 점탄소성 모델을 사용하여 자연점토의 압밀거동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 PDF

환원슬래그 혼합점토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Reduced Slag-Mixed Clay)

  • 조민재;윤여원;김재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33-39
    • /
    • 2012
  • 철강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로 발생하는 슬래그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현재 국내에서는 고로 슬래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강 슬래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제강슬래그 중에서도 전기로 산화슬래그에 대한 콘크리트 골재로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 전기로 환원슬래그에 대한 연구실적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최근 전기로 환원슬래그에 대한 토목용 성토 및 뒤채움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 여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바 있고, 점토지반 개량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로 제강 환원슬래그를 연약지반개량을 위한 토목재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최적의 혼합비를 찾는데 있다. 환원슬래그에 대한 SEM, XRF, XRD 시험 등을 통해 성분 분석을 하고 또한 환원슬래그 혼합점토에 대한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점토지반에 환원슬래그를 혼합하였을 때의 강도증진 효과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이 시험을 통해 환원슬래그 혼합에 따른 뚜렷한 강도증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약지반처리에 있어 환원슬래그의 활용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대한 기대효과는 산업 부산물의 활용에 따른 환경보전 및 재활용 측면과 전기로 환원슬래그의 연약지반개량용 토목재료로서의 활용에 있다고 하겠다.

헤어섬유로 보강된 점토흙의 강도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Hair Fiber Reinforced Caly Soil)

  • 손무락;송화선;이재용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15-25
    • /
    • 2015
  • 본 연구는 연약지반의 강도증진을 목적으로 친환경 헤어섬유를 혼입한 점토흙의 강도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헤어섬유의 길이 및 혼입율, 시멘트의 첨가량, 양생기간을 변화시키며 헤어섬유 혼입 점토흙의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응력-변형율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헤어섬유 혼입점토는 압축 및 인장 모두에서 강도증진을 보였으며, 특히 인장강도에서 보다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헤어섬유 혼입점토가 파괴시까지 더 큰 변위를 허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점토지반 강도증진을 위해 친환경 재료인 헤어섬유를 실무적으로 활용해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동치환공법의 적정심도 결정에 관한 연구 (LandAnalysis of Effective Depth of Dynamic Replacement Method)

  • 김성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05-314
    • /
    • 2018
  • 연구목적: 동치환공법은 유사한 동다짐공법에 비해 동치환 직경, 심도, 간격, 타격에너지(중추 무게와 낙하고), 지반강도 증대 효과, 지반 개량효율 등에 대한 연구 및 실증이 부족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실트질 점토지반을 연구 대상 지반으로 선정하여 예비 동치환시공과 본시공 동치환의 2가지 경우로 나눠서 지반개량을 실시하고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개량심도 결정 및 개량효과에 미치는 인자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실트질 점토 지반을 대상으로 동치환 적정 심도 결정, 지반개량효과에 끼치는 특성을 상세히 분석하여 동치환 시 적용할 수 있는 개량심도 ($D_R$)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결론: 동치환공법을 실트질 점토 지반에 적용한 경우, 동다짐공법의 낙하에너지보다 1.25~2.5배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개량재 혼합에 따른 해안점토와 사질토에서의 강도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Increase of Strength according to Mixing Ground Improvement Material with Coastal Clay and Sandy Soil)

  • 이광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3호
    • /
    • pp.47-56
    • /
    • 2009
  • 본 연구는 해안점토 또는 육상의 사질토에 지반개량재를 혼합하였을 때 어떤 강도변화를 보이는지에 관한 것이다. 철광석을 제련할 때 부산물인 슬래그와 제지류 소각할 때 생기는 paper fly ash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지반개량재를 만들었다. 이러한 지반개량재를 해안점토와 육상의 사질토에 혼합한 후 함수비, 양생일, 혼합비 등으로 구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공시체가 28일간 양생되는 동안 일축압축강도의 변화와 생성물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강도분석 결과 육상의 사질토보다 해안점토에서 최대 11배 정도의 강도증가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지반개량재로 인한 ettringite 반응이 사질토보다 해안점토에서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점토지반에 설치된 앵커의 하중전이에 관한 연구 (Load Transfer of Ground Anchors in Clay)

  • Kim, Nak-Kyung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45-155
    • /
    • 2000
  • 지반과 구조물을 일체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앵커는 앵커체와 지반의 마찰력에 의해서 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앵커의 하중과 변형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앵커의 마찰력 분포의 변화(하중전이)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하중 재하시 앵커체에 발생하는 하중전이 분포는 앵커의 인발 지지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정착장의길이, 지반 조건 등에 따라 분포 양상이 변하기 때문에 하중 정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선과 그라우트의 하중분포 그리로 앵커 그라우트체와 지반과의 마착력 분포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는 미국 Texax A&M University의 점성토지반에 계측기가 장착된 10개의 그라운드 앵커를 설치하여 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앵커의 자유장 강선에 작용하는 응력, 그라우트체에 작용하는 응력, 그리고 정착장 강선의 응력을 계측하여 강선과 그라우트의 정착응력 및 그라우트와 지반에서의 마찰력 분포를 구함으로써 강선-그라우트-지반의 복합적인 거동에 따른 각 하중 단계마다의 하중전이를 얻어냈다. 또한 현장시험 결과의 역해석을 통하여 강선과 그라우트 사이의 하중과 변위의 관계와 그라우트와 지반의 하중-변위 관계를 분석하여 그라운드 앵커의 인발 특성을 예측 할 수 있는 수치해석 기법을 모델링하여 제시하였다.

  • PDF

부산점토의 실험결과에 적용된 Wheeler의 경화모형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Wheeler's Hardening Model for Pusan Clays)

  • ;정성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55-862
    • /
    • 2004
  • 부산점토에 대하여 Wheeler의 경화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산지역의 부산점토에 대한 삼축 및 압밀시험 결과가 이용되있으며, 그 모형에 적합한 매개정수들이 결정되있다. 적용결과 예측된 거동은 실험결과와 정량적으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압밀 및 장기거동 해석등을 위하여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