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조도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Unsteady Flow Model with Variable Roughness Coefficient (가변 조도계수 부정류 계산모형)

  • Kim, Han- Joon;Jun, Kyung- 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2
    • /
    • pp.1055-1063
    • /
    • 2004
  • An unsteady flow model is developed that allows variable roughness coefficient for each computational point according to its spatial position and the discharge. A step function or a power function can be used for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and the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The model is applied to the reach of the South Han River between the Chungju Dam and Paldang Dam, and model parameters are estimated by optimization. Estimated parameters of both the step function model and the Power function model show that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decreases as the discharge increases. This tendency is more noticeable for the upstream reach of Yeoju compared to the downstream reach. It turns out that the stages calculated by the variable roughness coefficient model agree better with the observed ones than those by the conventional fixed parameter model.

Parameter Estimation of Chiu's Two Dimensional Velocity Distribution Equations (제주 산지형 하천의 하상 입경을 이용한 조도계수 산정 연구)

  • Kim, Yongseok;Kang, Meyongsu;Kang, Boseong;Yang,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6-436
    • /
    • 2018
  • 하천의 조도계수는 하상 입자들의 크기 및 형상, 식생, 수로의 만곡 등 흐름특성에 영향을 주는 복합적인 경험적 매개변수이므로 그 값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Chow, 1959). 제주도 산지하천은 하상이 매우 불규칙하고 조도계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한 홍수위, 홍수량 산정이 어렵다. 또한 하상경사가 매우 급하여 상류와 사류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므로 수치모의 시 수위차가 크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현장실측 기반의 하천 조도계수 산정을 통한 홍수위, 홍수량 산정에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북부지역의 건천(한천, 병문천, 독사천, 산지천)을 대상으로 하상재료를 직접 실측하여 하상 입경을 이용한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실측 방법은 대상하천의 현장답사 및 현장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였으며, 하천의 종단 방향으로 1km 간격, 100개 이상의 하상재료를 표본으로 취하고 선격자법을 적용하였다. 대상하천 하류부의 좌안, 우안은 대부분 하천 정비에 의한 제방 구축이 되었으며, 상류부는 경사가 급한 암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상을 중심으로 구성물질의 입경과 조고를 측정하여 상류 흐름의 영향범위를 고려한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표본 측정시 점 사주, 여울, 웅덩이 등 국부적으로 하상재료의 변화가 심한 구역은 피하고 가급적 해당 구역에서 보편적으로 산재된 하상재료를 선택하였다. 향후 부정류 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실측 유량과 수위를 적용한 조도계수를 산정한다면 보다 정밀한 조도계수를 산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점조도 계산법

  • Lee, Jin U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1
    • /
    • pp.149-149
    • /
    • 1997

점조도 계산법

  • 이진우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2
    • /
    • pp.11-16
    • /
    • 1997
  • PDF

Surface Roughness of Glass-Ceramic $(Li_2O-Al_2O_3-SiO_2)$ System Based on Different Crystallinities (결정화도에 따른 LAS$(Li_2O-Al_2O_3-SiO_2)$계 결정화유리의 표면조도특성)

  • 김유진;정병해;이창훈;김형순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98-98
    • /
    • 2003
  • 초내열성 결정화유리는 전기전자부품, 천체만원경의 반사경, 직화용 조리기기, 군사용 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이중 LAS 계가 가장 오랫동안 알려진 조성 계이다. 이 결정화유리는 주입성형후 열처리에 의하여 결정상을 생성하여 사용되는데 표면이 매우 낮은 조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제조상에 조도가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직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점을 연구하고자 Li$_2$O-AL$_2$O$_3$-SiO$_2$를 주성분으로 하고 소량의 MgO와 핵생성제로서 TiO$_2$, ZrO$_2$를 사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결정화유리의 결정화도의 차이에 따라 AFM, $\alpha$-STEP등으로 표면의 조도를 정량화였다. 결정상의 종류, 크기, 결정화도, 결정상간의 간격 등이 표면의 조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Actual conditions on Lighting Environment of Kitchen Space in House between China and Korea (한.중 주택의 부엌 공간 조명환경 실태비교)

  • Jia, Hao;Kim, Hyun-Ji;An, O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7-2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부엌 공간 조명환경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 115가구와 중국 70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엌공간의 크기는 중국보다 한국이 좀 더 큰공간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싱크대와 식탁 높이는 차이가 크지 알았다. 둘째, 중국의 경우 국부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조명도 전반적으로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엌의 조도 측정결과, 싱크대의 KS 평균조도인 200[Ix]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한국445[%], 중국63.1[%]로 나타났으며, 식탁의 경우 KS 평균조도인 400[Ix]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한국과 중국 모두 10[%] 미만으로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엌 공간 조명의 밝기정도와 만족도는 한국과 중국 모두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환경의 문제점으로는 한국의 경우 열환경, 음환경, 조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은 조명, 공기, 일조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명환경 측면의 문제점으로 양국 모두 밝기, 관리, 효율성 순으로 나타나 주택계획 시에 이러한 점에 주안점을 두어 조명환경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 PDF

Trapping Efficiency of Vegetative Filter Strip: Effect of Type and Height (식생대 특성에 따른 유출토사 저감 효율 : 식생의 종류와 높이)

  • Chang, Moonjeong;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6-206
    • /
    • 2019
  • 이 연구는 유출토사량의 저감을 위해 설치되는 식생대의 특성에 따른 효율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검토하는 식생대의 특성으로는 식생의 종류와 식생대의 높이가 포함된다. 식생대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VFSMOD-W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식생대가 적용되는 대상지역은 금강의 지류인 금마천이다. 금마천 유역은 나지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식생대의 설치에 따른 변화를 잘 살펴볼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해당 지역에서의 강우량은 시간당 최대강우량이다. 식생대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보정되는 매개변수는 조고이며 VFSMOD-W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식생의 종류를 입력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에서는 식생대의 간격, 규모 등을 고려할 수 있므려 총 36개 종류의 식생대가 검토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점은 식생대의 설치간격이 좁아질 때 보다 많은 양의 토사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천으로 유출되는 유역토사의 저감을 식생대를 좁게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다. 식생대의 조도계수 역시 토사저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0.012, Bermuda Grass의 경우 0.41로 조도계수를 설정하고 수치실험을 시행한 결과 조도계수의 증가가 유출 토사량 감소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이 확인된다. 식생대의 최대 높이가 주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서 1 cm에서부터 100 cm까지의 식생대 높이를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식생대의 특성 및 설치방식을 고정된 조건으로 두고 식생대의 높이에 따른 영향만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식생대의 최대높이는 유출 토사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출 토사량 저감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식생의 높이보다는 식생의 종류와 조고 등에 보다 집중하여 식생대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PDF

The Flow Behavior of Skin Collagen (피부조직 콜라겐의 유동 특성)

  • Kim, Young-Ho;Park, Eun-Ji;Yang, R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7 no.4
    • /
    • pp.576-581
    • /
    • 1995
  •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use of collagen, the flow behavior of collagen extracted from skin tissue was studied. The viscosity of collagen varied with sex, age and the kinds of collagen by extraction method. Regardless of the kinds of collagen, the viscosity of collagen extracted from $6{\sim}12$ week old rat was relatively high. In case of the same age, the viscosity showed higher in female than in male rat and in acid soluble collagen than in insoluble collagen. The solution of the collage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ingham plastic and thixotropic fluid, and the viscosity varied distinctly with temperature, pH, ethanol concentration and collagen concentration. As collagen concentration increased to 6%, the consistency of acid soluble- and insoluble collage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linearly(r = 0.972 for acid soluble collagen, r = 0.957 for insoluble collagen). In that range of collagen concentration, the increasing velocity of consistency was higher in acid soluble collagen than in insoluble collagen. The consistency of collagen solution was decreased according to temperature rising. In case of acid soluble collagen, the consistency is decreased abruptly between $30{\sim}40^{\circ}C$. According to pH variation, the consistency of acid soluble collagen showed biphasic phenomenon, though the consistency of insoluble collagen was found not to be influenced by pH. The consistency of acid soluble- and insoluble collagen according to ethanol concentration showed high between $40{\sim}60%$ of ethanol concentration.

  • PDF

A Study on the exactitude of simulation tool by using Illuminate formula - Focused on the comparing result of Point method and Lightscapet - (조명공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도구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 점조도 공식과 Lightscape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

  • Kim, Chul-Hoon;Lee, J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0-243
    • /
    • 2006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xactitude of Simulation Tool by using illuminate formula. Lightscape looks like general 3d program, but is a lighting simulation program that set up the properties of materials and light-sources about the model. This thesis calculates illuminance by a formula and simulates a light simulation using Lightscape for two luminaires data in space of ideal environment. As then each value was compared. As a result we got an error under 1% on the whole.

  • PDF

Comparative Study on Feature Extraction Schemes for Feature-based Structural Displacement Measurement (특징점 추출 기법에 따른 구조물 동적 변위 측정 성능에 관한 연구)

  • Junho G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8 no.3
    • /
    • pp.74-82
    • /
    • 2024
  • In this study, feature point detection and displacement measurement performance depending on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target types in the feature point-based displacement measurement algorithm. A three-story frame structure was design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displacement response of the structure was digitized into FHD (1920×1080) resolution. For performance analysis, the initial measurement distance was set to 10m, and increased up to 40m with an increment of 10m. During the experiments, illuminance was fixed to 450lux or 120lux. The artificial and natural targets mounted on the structure were set as regions of interest and used for feature point detection. Various feature detection algorithms were implemented for performance comparisons. As a result of the feature point detection performance analysis, the Shi-Tomasi corner and KAZE algorithm were found that they were robust to the target type, illuminance change, and increase in measurement distance.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accuracy using those two algorithms was also the highest. However, when using natural targets,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accuracy is lower than that of artificial targets. This indicated the limitation in extracting feature points as the resolution of the natural target decreased as the measurement distance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