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분포 패턴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mprovement of the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Gel, Liquid, and Wipes): Emerging Trends from in vivo/ex vivo Test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the Hand Microbiome (손소독제(겔형, 액제형, 와이프형)의 효능 평가법 개선: 평가 전략 연구 사례 및 손 균총 정보 활용 등 최근 동향)

  • Yun O;Ji Seop Son;Han Sol Park;Young Hoon Lee;Jin Song Shin;Da som Park;Eun NamGung;Tae Jin Cho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8 no.1
    • /
    • pp.1-11
    • /
    • 2023
  • Skin sanitizers are effective in killing or removing pathogenic microbial contaminants from the skin of food handlers, and the progressive growth of consumer interest in personal hygiene tends to drive product diversification. This review covers the advances in the application of efficacy tests for hand sanitizers to suggest future perspectives to establish an assessment system that is optimized to each product type (gel, liquid, and wipes). Previous research on the in vivo simulative test of actual consumer use has adopted diverse experimental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product type.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optimal test protocols specialized for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sanitize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est methods. Although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mechanical actions associated with wiping can affect the efficacy of the removal and/or the inactivation of target microorganisms from the skin's surface,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standardized use patterns for the exposure of hand sanitizing wipes to skin. Thus, major determinants affecting the results from each step of the overall assessment procedures [pre-treatment - exposure of sanitizers - microbial recovery] should be identified to modify current protocols and develop novel test methods. The ex vivo test,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ed reproducibility of in vivo human trials, is also expected to replicate the environment for the contact of sanitizers targeting skin microorganisms. Recent progress in the area of skin microbiome research revealed distinct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s after the application of sanitizers on hands to establish the test methods with the perspectiv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s at the community level. The future perspectives presented in thi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can also contribute to public health and food safety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effective sanitizer products.

Coffee consumption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dietary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coffee intake amount among university students (일부 대학생의 커피섭취량에 따른 커피섭취행동, 식습관 및 식사 영양소 섭취)

  • Kim, Sun-Hy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0 no.3
    • /
    • pp.270-28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ffee consumption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coffee intake amount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university students randomly selected in Gongju. Dietary survey was administered during two weekdays by the food record method. Resul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CG (non-coffee group), LCG (low coffee group, 1~2 cups/d), and HCG (high coffee group, 3 cups/d) by coffee intake amount and subjects' distribution. Coffee intak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HCG compared to the LCG (p < 0.001). The HCG was more likely to intake dripped coffee with or without milk and/or sugar than the LCG (p < 0.05). More than 80% of coffee drinkers chose their favorite coffee or accompanying snacks regardless of energy content. More than 75% of coffee takers did not eat accompanying snacks instead of meals, and the HCG ate them more frequently than LCG (p < 0.05). Breakfast skipping rate was high while vegetable and fruit intakes were very low in most subjects. Subjects who drank carbonated drinks, sweet beverages, or alcohol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number in the LCG and HCG than in the NCG (p < 0.01). Energy intakes from coffee were $0.88{\pm}5.62kcal/d$ and $7.07{\pm}16.93kcal/d$ for the LCG and HCG. For total subjects, daily mean dietary energy intake was low at less than 72%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Levels of vitamin C and calcium were lower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while that of vitamin D was low (24~34% of adequate intake).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s by coffee intake amount, except protein, vitamin A, and niacin. Conclusion: Coffee intake amount did not affect dietary nutrient intakes. Dietary habits were poor,and most nutrient intakes were lower than recommend levels. High intakes of coffee seemed to be related with high consumption of sweet beverages and alcoh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nutritional intakes and encourage proper water intake habits, including coffee intake, for improved nutritional status of subjects.

Effect of starch extraction solutions on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of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starch (마(Dioscorea batatas) 전분의 추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전분추출용액의 영향)

  • Lee, Hyunjeong;Seo, Dong-Ho;Kim, Hyun-Seo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2
    • /
    • pp.191-197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arch extraction (ST-EX) solutions on the extraction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yam (CY) starches from domestic Dioscorea batatas. Ascorbic acid (VitC), $Na_2S_2O_3$, $NaHCO_3$, and $Na_2CO_3$ were used as ST-EX solutions (0.4%, w/v). The extracted CY starches were examined for ST-EX yield, chemical composition, size distribution, X-ray diffraction, solubility, swelling power, gelatinization, and pasting viscosity. The highest ST-EX yield was obtained from $NaHCO_3$, followed by VitC. Lower protein content, relative crystallinity, and gelatinization enthalpy were found in CY starches from alkaline ST-EX solutions ($NaHCO_3$ and $Na_2CO_3$). Size distribution and gelatinization temperature did not generally differ for CY starches from the different ST-EX solutions. Pasting viscosities increased in the order from $Na_2CO_3$ > $Na_2S_2O_3$ > $NaHCO_3$ > VitC ST-EX solutions. Thus, VitC may be most appropriate to extract CY starch from Dioscorea rhizomes, considering its ST-EX yield, total starch content, and variation in pasting viscosity.

On-Line Determination Steady State in Simulation Output (시뮬레이션 출력의 안정상태 온라인 결정에 관한 연구)

  • 이영해;정창식;경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6.05a
    • /
    • pp.1-3
    • /
    • 1996
  •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시스템의 분석에 있어서 실험의 자동화는 현재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 중인 분야이다. 컴퓨터와 정보통신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예를 들어 보면, 수많은 모델을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경우 자동화된 실험의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시뮬레이션 수행회수, 수행길이, 데이터 수집방법 등과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실험방법이 자동화가 되지 않으면, 시뮬레이션 실험에 필요한 시간과 인적 자원이 상당히 커지게 되며 출력데이터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시뮬레이션 실험방법을 자동화하면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출력분석을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항상 발생하는 초기편의 (initial bias)를 제거하는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시뮬레이션 출력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들이 초기편의를 반영하지 않는 안정상태에서 수집된 것이어야만 실제 시스템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로 시뮬레이션 출력분석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문제는 시뮬레이션의 출력데이터가 이루는 추계적 과정 (stochastic process)의 안정상태 평균과 이 평균에 대한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 i.)을 구하는 것이다. 한 신뢰구간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는 의사결정자에게 얼마나 정확하게 평균을 추정할 구 있는지 알려 준다. 그러나, 신뢰구간을 구성하는 일은 하나의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어진 출력데이터가 일반적으로 비정체상태(nonstationary)이고 자동상관(autocorrelated)되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통계적인 기법을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출력데이터 분석기법이 사용된다.본 논문에서는 초기편의를 제거하기 위해서 필요한 출력데이터의 제거시점을 찾는 새로운 기법으로,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ED)를 이용한 방법과 현재 패턴 분류(pattern classification) 문제에 널리 사용 중인 역전파 신경망(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BNN) 알고리듬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들은 대다수의 기존의 기법과는 달리 시험수행(pilot run)이 필요 없으며, 시뮬레이션의 단일수행(single run) 중에 제거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제거시점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다음과 같다. 콘웨이방법은 현재의 데이터가 이후 데이터의 최대값이나 최소값이 아니면 이 데이터를 제거시점으로 결정하는데, 알고기듬 구조상 온라인으로 제거시점 결정이 불가능하다. 콘웨이방법이 알고리듬의 성격상 온라인이 불가능한 반면, 수정콘웨이방법 (Modified Conway Rule: MCR)은 현재의 데이터가 이전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최대값이나 최소값이 아닌 경우 현재의 데이터를 제거시점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온라인이 가능하다. 평균교차방법(Crossings-of-the-Mean Rule: CMR)은 누적평균을 이용하면서 이 평균을 중심으로 관측치가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서 위로 교차하는 회수로 결정한다. 이 기법을 사용하려면 교차회수를 결정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결정된 교차회수가 시스템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누적평균방법(Cumulative-Mean Rule: CMR2)은 여러 번의 시험수행을 통해서 얻어진 출력데이터에 대한 총누적평균(grand cumulative mean)을 그래프로 그린 다음, 안정상태인 점을 육안으로 결정한다. 이 방법은 여러 번의 시뮬레이션을 수행에서 얻어진 데이터들의 평균들에 대한 누적평균을 사용하기 매문에 온라인 제거시점 결정이 불가능하며, 작업자가 그래프를 보고 임의로 결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Welch방법(Welch's Method: WM)은 브라운 브리지(Brownian bridge) 통계량()을 사용하는데, n이 무한에 가까워질 때, 이 브라운 브리지 분포(Brownian bridge distribution)에 수렴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시뮬레이션 출력데이터를 가지고 배치를 구성한 후 하나의 배치를 표본으로 사용한다. 이 기법은 알고리듬이 복잡하고, 값을 추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Law-Kelton방법(Law-Kelton's Method: LKM)은 회귀 (regression)이론에 기초하는데,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후 누적평균데이터에 대해서 회귀직선을 적합(fitting)시킨다.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0이라는 귀무가설이 채택되면 그 시점을 제거시점으로 결정한다. 일단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다음, 데이터가 모아진 순서의 반대 순서로 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온라인이 불가능하다. Welch절차(Welch's Procedure: WP)는 5회이상의 시뮬레이션수행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이용해서 시각적으로 제거시점을 결정해야 하며, 반복제거방법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 제거시점의 결정이 불가능하다. 또한, 한번에 이동할 데이터의 크기(window size)를 결정해야 한다. 지금까지 알아 본 것처럼, 기존의 방법들은 시뮬레이션의 단일 수행 중의 온라인 제거시점 결정의 관점에서는 미약한 면이 있다. 또한, 현재의 시뮬레이션 상용소프트웨어는 작업자로 하여금 제거시점을 임의로 결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실험중인 시스템에 대해서 정확하고도 정량적으로 제거시점을 결정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임의로 제거시점을 결정하게 되면, 초기편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은 양을 제거하거나 초기편의를 해결하지 못할 만큼 너무 적은 양을 제거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방법들의 대부분은 제거시점을 찾기 위해서 시험수행이 필요하다. 즉, 안정상태 시점만을 찾기 위한 시뮬레이션 수행이 필요하며, 이렇게 사용된 시뮬레이션은 출력분석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적인 손실이 크게 된다.

  • PDF

The Trend of Change in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of Pediatric Patients in the COVID-19 Pandemic: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Dental Hospital Study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소아 환자의 구강악안면 외상의 변화 추이: 단일 기관 연구)

  • Suebin Choi;Chankue Park;Jonghyun Shin;Taesung Jeong;Eungyung Le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50 no.3
    • /
    • pp.318-33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dental trauma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during the period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arch 2020, when COVID-19 was officially declared a pandemic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as set as the starting point for COVID-19. From March 2018 to February 2020, subjects in the pre-COVID-19 period were classified as the Pre-COVID-19 group, and from March 2020 to March 2022, subjects in the post-COVID-19 period were classified as the COVID-19 group. Information related to trauma was collected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number of trauma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le-female ratio or the distribution order of age groups. In the COVID-19 group of permanent teeth, the ratio of trauma caused by personal mobility was higher than trauma caused by sports. In the COVID-19 group of permanent teeth, the ratio of crown fracture with pulp invol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io of crown fracture without pulp involvement. Changes in trauma patterns caused by COVID-19 were observed more clearly in school-aged children than in preschool children. In a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VID-19,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ood educational basis for knowing that frequent diagnoses can change du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Study on Body Mass Index (BMI), Dietary Intake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according to Sugar-Containing Food Intake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의 가당식품 섭취빈도에 따른 BMI, 식이섭취태도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 Ahn, Sun-Choung;Kim, Yoon-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5 no.11
    • /
    • pp.1649-165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dy mass index (BMI), dietary intake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according to sugar-containing food intake frequency of 409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ugar-containing food intake frequency: rare intake group (n=113), average intake group (n=195), and frequent intake group (n=101).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P<0.001) of each group were $163.8{\pm}0.11cm$ and $52.9{\pm}8.6kg$, $164.4{\pm}0.1cm$ and $56.2{\pm}6.4kg$, and $167.9{\pm}0.1cm$ and $68.0{\pm}15.7kg$, respectively. The average BMIs of the groups were $19.6{\pm}2.3$, $20.7{\pm}0.8$, and $24.0{\pm}2.7$, respectively (P<0.001). Dietary intake attitude scores of the groups were $30.73{\pm}5.68$, $30.11{\pm}5.51$, and $28.00{\pm}5.31$, respectively (P<0.001). As a result of nutrient intake status, daily averages of energy and carbohydrate intake of the frequent intak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rare intake group (P<0.05). On the other hand, vitamin A, vitamin $B_1$, and vitamin C intakes of the rare intak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requent intake group (P<0.05).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BMI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sugar-containing food intake.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nutrient intake while considering sugar intake for maintenance of healthy weight.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

The Study of Dinning-out Behavior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s by Age Groups (외식소비자의 연령별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연구 - 서울, 경기, 천안 지역을 중심으로 -)

  • Yoon, Hei-Ry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0 no.5
    • /
    • pp.608-614
    • /
    • 2005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dining-out behavior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 by age groups and to make counter proposals for better marketing and planning strategies. Major dining out motives were lack of time, the easiness of preparation, and schedule. For lunch, the schedule was the major dining-out motive. For dinner,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below answered social gathering was their major dining-out motive (40.7% and 31.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for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and 50s, the family gathering was the major dining motive (50.4% and 55.3% respectively) (${\chi}^{2}=68.081,\;p<0.001$). For dining out frequency, 1-2 dining out per a week had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which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was 42.9% (the highest) and the respondents in their 50s was 18% (the lowest). For the dining-out cost,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below spent more on dinner rather than breakfast or lunch. For the menu preference of Korean foods, Doenjangjigae had the highest percentage. In case of Kimchi,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Interestingly, the preference for Kimchi was higher in the respondents younger than 30 rather than in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the respondents older than 40 (p<0.05). Preference for Jangachi was considerably low in the respondents younger than 40, which implies that younger people don't incline to traditional Korean Mitbanchan. The dining-out motive was different in each age group. Now, the dining out motive is not restricted to home meal replacement. Social gatherings are increasing and the consumers of dining-out industry are being diversified. These suggest the increased need for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onsumers by age groups to get more information on consumer behavior and tas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