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화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8초

화색이 선명한 황색 절화용 거베라 '조이풀' 육성과 유전적 분석 및 절화 수명 특성 (Breeding, Genetic Analysis, and Vase-life of Bright Yellow Gerbera Cultivar 'Joyful' for Cut Flower)

  • 정용모;이정수;이병정;권오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966-976
    • /
    • 2016
  •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포커스(Focus)'와 '초우(Chowoo)' 품종 간의 교배 후, 특성검정을 통해 선명한 황색의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Gerbera hybrida Hort.) '조이풀(Joyful)'을 육성하였다. 인공교배로부터 얻은 실생계통을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조직배양과 포장재배를 통해 개체 증식과 생육 및 개화특성 검정, 농가 실증, 절화수명 등을 평가하였다. '조이풀'의 화색은 황색(12-A)으로 꽃의 직경이 12.8cm의 대륜화이며, 화경장은 60cm로 길었다. 개화 소요일수가 89일 정도이며, 절화 수량도 49.2개로 대조품종보다 개화가 빠르고 수량도 많았다. 절화수명에 있어서도 12.8일로 비교 품종보다 우수하였으며, 절화 보존 시 꽃크기 변화 등이 적고, 외형 등의 변화가 대조품종보다 우월하여 절화로서 높은 관상가치를 보였다. 또한 농가실증이나 기호도 평가 시 잘 조화된 절화품종으로 평가받았다. RAPD 분석에서 육성 품종이 모본과 부본의 밴드 패턴이 교배품종인 '조이풀'에는 모두 나타나서, 양친간 교배에 의해 육성된 품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이풀'은 2013년에 신품종으로 품종보호등록(품종보호 제4574호)이 되었으며, 절화용 거베라로서 농가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끼 추출물과 절화 보존제 혼용처리가 절화장미 'Enjoy'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ss (Hypnum jutlandicum) Extracts and Mixing Treatments with Preservatives on Vase Life of Rosa hybrida 'Enjoy')

  • 박경희;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5-455
    • /
    • 2011
  • 본 연구는 이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절화장미 'Enjoy'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천연 절화수명 연장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끼 추출물중 R. hybrida 'Enjoy'의 절화수명 연장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Hypnum jutlandicum 2 $mg{\cdot}L^{-1}$에 sucrose 0, 1, 3, 5%를 첨가한 후 sucrose가 R. hybrida 'Enjoy'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sucrose를 H. jutlandicum 추출물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R. hybrida 'Enjoy'의 잎이 엽록소를 상실하여 탈색되고 위조현상이 발생하며, 오히려 절화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 jutlandicum 추출물과 HQS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R. hybrida 'Enjoy'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HQS를 100 $mg{\cdot}L^{-1}$ 농도로 첨가했을 때 R. hybrida 'Enjoy'의 수명연장 효과가 가장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 jutlandicum 추출물 2 $mg{\cdot}L^{-1}$ 첨가구의 pH를 조절하지 않거나(pH 3.8), pH 3.0, 4.0, 5.0로 조절하여 R. hybrida 'Enjoy'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pH를 조절하지 않은 pH 3.8인 보존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R. hybrida 'Enjoy'의 수명이 오래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H. jutlandicum 추출물(2 $mg{\cdot}L^{-1}$)에 HQS(100 $mg{\cdot}L^{-1}$)를 첨가한 보존용액이 R. hybrida 'Enjoy'의 절화수명을 연장시켰으며, 이끼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환경오염의 피해가 없으며 천연 보존제로서 개발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름철 미스트 처리가 절화 장미 '한마음'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st Treatment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ut Rose 'Hanmaum' during Summer)

  • 천영신;하수현;정경진;최경옥;윤재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38-543
    • /
    • 2013
  • 여름철 절화 장미 재배 시 고온으로 인한 품질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분무기를 설치하여 기온의 변화와 절화 장미의 품질 및 병충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무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일일 최고 온도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5분 간격으로 10초간 처리했을 때 최고온도를 $6^{\circ}C$ 정도까지 떨어뜨리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저하 효과는 일일 최고온도가 $40^{\circ}C$ 이상이 되었을 때만 나타났다. 또한 분무처리는 장미의 초장과 생체중을 10-20%정도 촉진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다만, 분무처리에 의해 기형화 발생이 많아지고 절화수명이 대조구에 비해 오히려 짧아지는 등, 절화품질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파밤나방유충이나 깍지벌레와 같은 해충의 발생이 많아지는 부작용도 있었다. 따라서 여름 고온 시 온도저하 목적으로 분무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40^{\circ}C$ 이상의 고온 시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해충의 발생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예방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1-MCP 처리가 알스트로메리아, 금어초, 다알리아, 나리 절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MCP on Vase Life of Cut Alstroemeria, Snapdragon, Dahlia, and Lily)

  • 남진수;윤혜림;심성임;김홍열;손병구;허무룡;오욱;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9권3호
    • /
    • pp.139-143
    • /
    • 2011
  • 본 연구는 에틸렌 작용 억제제 중 하나인 1-methylcyclopropene(MCP)이 알스트로메리아, 금어초, 다알리아 및 나리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종의 절화에 1-MCP 250, 500, 750 ppb를 각각 12시간 처리하였다. 알스트로메리아의 경우 개화소요일수는 대조구와 1-MCP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절화수명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2일 이상 연장되었으며, 250 ppb 처리구가 17.1일로 가장 길었다. 금어초는 잔여소화율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1-MCP 모든 처리구에서 높아졌다. 그러나 절화수명은 대조구와 처리구 사이에 유의차가 없었다. 다알리아의 절화수명은 1-MCP 처리시 대조구보다 2일 정도 연장되었다. 수분흡수량은 절화수명과 반대 양상을 나타내었다. 나리의 절화수명은 대조구 12.6일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수분흡수량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할 때 1-MCP 750 ppb 처리구에서 약 3 mL 더 많았다.

전처리와 보존용액이 절화장미 'Saphir'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s and Holding Solutions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Saphir' Rose)

  • 방창석;이종석;송천영;송정섭;허건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58-760
    • /
    • 1999
  • 몇가지 전처리제와 절화장미에 효과적인 보존용액으로 알려진 HQS+sucrose+ethionine 혼합액을 병행 처리하여 절화수명과 품질을 비교함으로써 절화장미의 관상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절화수명은 증류수에 보존시에는 전처리 효과가 없었으며, HQS+sucrose+ethionine 용액에 보존하였을 때에는 aluminum sulfate 혼합액과 NaOCl 전처리에서 수명이 연장되었다. 흡수량은 증류수에 보존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여 생체중과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생체중은 STS+sucrose 전처리를 제외하고는 HQS+sucrose+ethionine 혼합액에 보존시 증류수보다 증가하였다. 꽃목굽음은 HQS+sucrose+ethionine 용액에 보존했을 때에는 모든 전처리에서 증류수보다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aluminum sulfate 혼합액 전처리에서는 수명 종료시까지 꽃목굽음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화경과 꽃잎의 건물중은 STS+sucrose 전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보존용액에 있어서는 HQS 혼합액이 증류수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색은 L값과 a값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 으나 b값은 증류수에 보존한 처리구에서 최초의 값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 PDF

국내 육성 절화 장미의 수확 적기와 수확 단계에 따른 전처리 효과 (Effect of Pretreatments on Optimal Harvesting Stage and Harvesting Stages of Cut Roses Bred in Korea)

  • 최목필;이풍옥;김원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73-579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육성 절화 장미의 수확 적기와 수확단계에 따른 전처리의 효과를 알아 보고자 수행하였다. 장미 절화는 3단계의 각기 다른 시기에 수확되었다. 국내육성 장미의 수확 적기는 품종에 따라 달랐다. 스탠다드 장미 'Pink Song'은 I 단계, 스프레이 장미 'Peace One'은 III 단계에서 수확 시절화 수명이 가장 길었다. 수확단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절화 수명은 2% S + $200mg{\cdot}L^{-1}$ AS + $200mg{\cdot}L^{-1}$ $Mg(NO_3)_2$ + $50mg{\cdot}L^{-1}$ $CaCl_2$ 전처리 시 무처리에 비해 연장되었고, 품질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전처리의 효과는 수확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국화 '백선'의 플러그 삽목시 삽수조건이 발근 및 절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Rooting and Growth of Cut Flower in Plug Cutt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Iwanohakusen')

  • 유용권;노용승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56-261
    • /
    • 2009
  • 본 연구는 하국용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백선' 품종의 플러그 묘 생산에 있어서 삽수의 조건이 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절화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엽수가 많을수록 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이 양호하였다. 삽수 길이에 따른 지상부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근은 삽수 길이가 5cm 이상인 처리에서 양호하였다. 삽수의 굵기가 굵을수록 지상부의 생체중이 무거웠으며, 굵기가 5.5 mm 처리에서 형성된 뿌리수가 가장 많았다. 삽수에 부착된 엽수가 많을수록 절화장이 길었고, 절화무게도 무거웠다. 삽수의 길이가 7~11 cm 처리에서 절화장, 절화무게, 엽수, 설상화수 등 절화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삽수 굵기가 5.5 cm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절화 생육이 우수하였다. 띠라서 '백선' 플러그 묘 생산시 굵기가 5.5 mm 정도의 7cm 길이의 삽수에 잎을 4장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묘의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이고, 정식 후 절화의 생육에도 적합하였다.

절화장미 단색염색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의 최적조건 규명 (Characterization of Optimum Conditions Affecting Single-Color Dyeing of Cut Rose)

  • 심성임;남진수;박인숙;유은하;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66-72
    • /
    • 2010
  • 본 실험은 절화장미 중 만개시의 꽃의 크기, 밀집도, 개화 시 꽃의 모양, 꽃잎의 단아함, 염색 시 색발현 등이 양호한 'Akito' 품종을 대상으로 단색염색을 위한 최적조건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염료용액의 pH가 3.5, 염료의 온도가 $20-25^{\circ}C$일 때 염료의 착색과 흡수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절화수명 또한 15일로 가장 길었다. 염색을 위한 꽃의 개화 정도는 꽃잎이 3장 이상 핀 상태인 2~3단계에서 Pantone color, 염색 후 꽃의 품질및 절화수명이 양호하였다. 염색액의 처리 시 실내온도는 $10^{\circ}C$의 비교적 저온에서 흡수가 양호하였다. 염색용액의 농도는 $10g{\cdot}L^{-1}$ 처리했을 때 가장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었으며 염색액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착제 처리는 $2mL{\cdot}L^{-1}$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형이 우수한 진분홍색 절화장미 'Loving Heart' 육성 (Breeding of Cut Rose 'Loving Heart' with Good Flower Shape and Dark Pink Petal Color)

  • 한윤열;고진용;권민경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332-335
    • /
    • 2009
  •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시험장에서 육성한 장미 'Loving Heart'는 수세가 강건하며 자홍색의 경교 R-6(♀)과 화형이 우수한 'Noblesse'(♂)를 2002년에 인공교배 한 후 계통선발 및 3차 특성검정을 거쳐 2007년에 최종선발하여 'Loving Heart'로 명명하였다. 'Loving Heart' 품종은 진분홍색 (RHS, Red-purple group 66-8)의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로 꽃직경은 10.3 cm, 꽃잎수는 55매, 절화수명은 12.3일정도이며 연간 절화수량이 127본/$m^2$으로 다수성이다. 특히, 절화품질이 우수하고 수세가 강건할 뿐 아니라 줄기가 곧게 자라고 줄기 윗부분에 가지가 없기 때문에 재배 및 취급이 용이하고 토양과 양액재배 모두 가능한 품종이다.

다수성 절화장미 'Wooami Salmon' 육성 (Breeding of Cut Rose 'Wooami Salmon' with Good Productivity)

  • 한윤열;고진용;권민경;성전중
    • 화훼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8-221
    • /
    • 2008
  •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시험장에서 육성한 장미 '우아미살몬'은 다수성이며 주황색인 'Lambada'(♀)와 수세가 강건한 'Silver 87' (♂)를 2001년에 인공교배한 후 계통선발 및 3차 특성검정을 거쳐 2006년에 최종선발하여 우아미 살몬으로 명명하였다. 'Wooami Salmon' 품종은 연살몬색(RHS, Orange group 27-B)의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로 꽃직경은 l0.8cm, 꽃잎수는 46매, 절화수명은 12.8일정도이며 연간절화수량이 129본/$m^2$으로 다수성이다. 특히, 절화품질이 우수할 뿐 아니라 수세가 강건하고 줄기가 곧게 자라기 때문에 재배가 용이하고 토양과 양액재배 모두 가능한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