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단량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2초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정액의 특성과 정자의 미세구조 (Milt Properties and Spermatozoa Structure of Filefish(Thamnaconus modestus))

  • 레민황;임한규;민병화;김성연;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27-233
    • /
    • 2007
  •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정자의 미세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정액량과 정자 농도, spermatocrit는 각각 $0.3{\pm}0.1\;mL{\cdot}fish^{-1}$, $2.6{\pm}0.1{\times}10^7\;spermatozoa{\cdot}mL^{-1}$, $73.3{\pm}6.7$였다. 정장의 화학적 조성에 있어서 potassium $9.8{\pm}0.9\;mmol{\cdot}L^{-1}$, sodium $164.0{\pm}4.0\;mmol{\cdot}L^{-1}$, chloride $151.0{\pm}1.2\;mmol{\cdot}L^{-1}$, calcium $14.9{\pm}0.6\;mg{\cdot}dL^{-1}$, magnesium $7.2{\pm}0.1\;mg{\cdot}dL^{-1}$, glucose $1.0\;mg{\cdot}dL^{-1}$, 총단백질 $0.1\;g{\cdot}dL^{-1}$, 총지질 $1.0\;mg{\cdot}dL^{-1}$였으며, 삼투질농도와 pH는 각각 $322.8{\pm}2.8\;mOsmol{\cdot}kg^{-1}$ and $7.7{\pm}0.1$였다.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정자는 첨체가 없는 머리, 5개의 미토콘드리아로 이루어진 중편부 및 "9+2"의 미세소관 편모를 가진 꼬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로로 절단한 정자 머리는 장경 $1.3{\sim}1.6\;{\mu}m$, 단경 $1.0{\sim}1.3\;{\mu}m$로 말편자 모양을 하고 있었다.

  • PDF

선박용 알루미늄 합금의 정전류 부식 시험에 의한 부식 손상에 미치는 인가 전류밀도의 영향 (Effect of applied current density on the corrosion damage with galvanostatic corrosion experiment of aluminum alloy for ship)

  • 김영복;박일초;이정형;김성종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6-106
    • /
    • 2018
  • 해양환경용 선박재료는 전기화학적인 부식을 발생시키는 염소이온($Cl^-$)이 다량 포함된 부식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 있어 부식에 대해 취약하다. 따라서 우수한 내식성 및 내침식성을 가진 재료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루미늄 합금은 충분한 강도와 부동태 피막 형성으로 인해 내식성이 우수하여 해양환경용 선박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식 특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선박에서는 부식에 의한 손상뿐만 아니라 전식에 의한 부식 손상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선미 부분은 프로펠러의 동합금과 알루미늄 합금의 이종금속 간 전위차에 의한 전식이 발생하여 선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부식이 더 심하게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전식은 해안 부두에 접안된 선박의 용접 시미주전류(stray current)에 의한 부식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환경에서의 전식을 인위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부식 정전류 시험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식 손상을 유발시켰으며, 해양환경 하에서 선박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인 Al5083-H321, Al5052-O, Al6061-T6에 대한 전식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작동전극은 각 재료의 시험편을 $2cm{\times}2cm$ 으로 절단하여 sand paper # 2000 번까지 연마 후 아세톤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으며, 제작된 시험편은 자체 제작한 홀더를 이용하여 $1cm^2$만 노출시킨 후 정전류 가속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준전극은 은/염화은(Ag/AgCl) 전극을, 대응전극은 백금(Pt) 전극을 사용하였다. 정전류 가속 조건은 $0.001mA/cm^2$, $0.1mA/cm^2$, $1mA/cm^2$, $5mA/cm^2$, $10mA/cm^2$의 전류 밀도를 천연해수에서 30분간 인가하였다. 각 재료에 대한 전식 특성은 실험 전후의 무게 감소량으로 전식의 저항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3D 현미경으로 표면 손상 경향과 깊이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 (SEM)을 통해 표면 형상을 미시적으로 관찰하였다. 부식 정전류 시험 결과 모든 시편에서 $0.01mA/cm^2$에서 미세한 국부적인 부식이 일어났으며,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표면 전반에 부식이 진행되고 성장하였다. 그리고 모든 인가 전류밀도의 조건에서 Al6061-T6가 5000계열(Al5083-H321, Al5052-O)보다 더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났다.

  • PDF

돼지에서 유래한 병원성 대장균의 내열성 장독소 생산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Heat-stable Enterotoxin Gene from Swine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 김교창;도대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7-155
    • /
    • 1991
  • 내열성장독소(ST)를 생산하는 병원성대장균(KS-4, KM-7, KM-12)을 설사돈으로부터 분리하고 몇가지 배양상 특성과 ST생산유전자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succinate salts 배지의 pH가 8.5~9.0일 때 ST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ST정제용 배지로는 succinate salts 배지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ST 생산, 축적은 분리균 모두 14~16 시간에서 가장 높았고 균체량은 배양 시작 후 20시간에 가장 많았다. ST 생산 능력이 가장 우수한 KM-7균주로 부터 ST생산 유전을 함유하는 약 80Kbp의 plasmid를 분리하고 EcoRI 제한효소를 절단한 16Kbp의 DNA절편을 pBR 322 vector DNA에 접합시킨 pKD 37 plasmid를 E. coli K-12에 형질전화시켜서 KM-7 보다 ST 생산능력이 우수한 균주(eKT 53)를 얻었다.

  • PDF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기준 관리 (Administration of Mycotoxins in Food in Korea)

  • 강길진;김혜정;이연경;정경희;한상배;박선희;오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1-288
    • /
    • 2010
  • 식품 중 아플라톡신 ($B_1+B_2+G_1+G_2$)의 기준은 곡류, 두류, 땅콩, 견과류 및 그 단순가공품 (분쇄, 절단 등), 곡류 가공품 및 두류가공품, 과자류 (땅콩 또는 견과류 함유식품), 장류, 고춧가루, 팝콘용 옥수수가공품, 기타 식품류 (찐쌀)에 대하여 15 ($B_1$은 10)${\mu}g/kg$ 이하로, 원유 및 우유류 중 아플라톡신의 기준은 $M_1$으로서 0.5 ${\mu}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사과주스, 사과주스 농축액 중 파튤린의 기준은 50 ${\mu}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오크라톡신 A의 기준은 밀, 호밀, 보리, 커피콩, 북은 커피에 5 ${\mu}g/kg$, 인스턴트커피, 건포도 중 10 ${\mu}g/kg$, 포도주스, 포도주스 농축액, 포도주 중 2 ${\mu}g/kg$ 이하로 설정되었고, 푸모니신($B_1+B_2$)은 옥수수 중 4 mg/kg, 옥수수 단순가공품 및 옥수수 가루 중 2 mg/kg, 옥수수 가공품 중 1 m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현재 식품 중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노출량 조사와 위해평가를 통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설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한국 유치 모델에서 유전치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f Primary Anterior Zirconia Crowns in Korean Tooth Models)

  • 박정하;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1-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와 기성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형태 및 크기를 3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가장 유사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선별하고 수복시 임상적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0명의 어린이의 건전한 상태의 상악 유중절치, 유측절치를 3차원 스캔하여 평균 형태를 재현하였고, 4개의 제조사(NuSmile $ZR^{(R)}$ Crown, Cheng $Crowns^{(R)}$, Kinder $Krowns^{(R)}$, EZ $Pedo^{(R)}$ Crown)의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3차원 스캔하여 형태 및 크기 비교를 위한 좌표점을 측정하여 치아와 크라운 형태의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근원심 길이, 절단연에서 치경부까지의 길이, 치관 형태 비율, 같은 좌표에서 치아와 크라운의 거리, 순면의 곡률반경, 그리고 체적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유사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상악 유중절치는 Cheng $Crowns^{(R)}$ 3번, 유측절치는 NuSmile $ZR^{(R)}$ Crown 2번이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졌으며, 이 크라운의 내면을 스캔하여 크라운 수복시 필요한 치아 삭제량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되어 있는 양보다 전반적으로 더 적은 치아 삭제를 시행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골관절염 랫드 모델에서 계피의 연골보호 효과 (Chondroprotective Effects of Cinnamomum cassia Blume in a Rat Model of Osteoarthritis)

  • 김명환;강성수;김근형;최석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9-165
    • /
    • 2013
  • 본 연구는 내측반월판 절제와 전십자인대 단열로 유발된 랫드 골관절염 모델을 이용하여 계피 (Cinnamomum cassia Blume, 육계(肉桂)) 추출물의 연골손상 방지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골관절염유발 랫드 48마리를 군당 8마리씩 6군으로 음성 대조군과 골관절염 대조군, 체중당 diclofenac 2 mg 투여군, 계피 추출물 25 mg과 50 mg, 100 mg 투여군으로 각각 분류하여 수술 1주 후부터 12주동안 투여하였다. 연골 소실과 관절의 불안정성은 계피 추출물과 diclofenac 투여군이 골관절염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병리조직학적 평가에서 연골의 퇴행은 계피 추출물 투여량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개선됨이 확인되었다(p < 0.01). 계피 추출물 투여군에서 관절구조 퇴행성 변화의 감소와 Safranin-O 염색 정도의 용량 의존적인 증가를 보여 연골 퇴행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Diclofenac이 골관절염 진행에 있어 활성화된 caspase-3와 절단된 poly(ADP-ribose) 중합효소에 유도된 세포자멸사 표지율 증가에 별 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계피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이들 세포자멸 표지자에 대한 반응세포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 < 0.05). 그러나, diclofenac과 계피 추출물 투여군은 5-bromo-2-deoxyuridine의 섭취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계피추출물이 항염활성과 항세포 자멸 활성을 통해 관절연골에 보호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Mortierella sp. 유래 ${\alpha}$-Galactosidase의 기질특이성 (Substrate Specificities of ${\alpha}$-Galactosidase from Mortierella sp.)

  • 박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5-251
    • /
    • 2011
  • Mortierella sp. 유래 효소 정제는 CM-sephadex C-50 column chromatography와 Sephadex G-100 column에 의해 수행하여 SDS-전기영동에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57kDa로 결정되었다. melibiose, raffinose 및 stachyose의 세 종류의 기질에 대한 특이성에서는 Mortierella sp. 유래 정제 ${\alpha}$-galactosidase는 세 종류 기질의 비환원말단에 위치하고 있는 galactose를 모두 유리하는 특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illus sp. 유래의 $Gal^3Man_4$에 대해서 반응초기 3시간부터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반응말기에서는 galactose, mannotetraose 그리고 분해되지 않고 일부 남아있는 $Gal^3Man_4$의 spot이 출현된 반면, 중합도 7의 $Gal^{2,3}Man_5$에 대해서는 반응초기부터 말기까지 전혀 특이성이 없음을 시사하였다. Trichoderma harzianum 유래의 $Gal^2Man_3$에 대해서는 반응초기 3시간부터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일부 galactose와 mannotriose spot이 출현되고 있는 반면, 중합도 7의 $Gal^2Man_6$에 대해서는 Bacillus sp. 유래의 중합도 7의 $Gal^{2,3}Man_5$와 동일하게 galactose를 절단하는 능력이 없는 특이성을 보이고 있다. Xylogone sphaerospora 유래의 $Gal^2Man_3$는 Trichoderma harzianum 유래의 중합도 4와 동일한 구조로서 가수분해 시간 경과에 따른 반응말기에서 역시 galactose, mannotriose 및 잔존하는 $Gal^2Man_3$ spot이 출현하고 있는 반면 중합도 6인 $Gal^2Man_5$에 대해서는 mannopentaose의 환원말단부터 2번 mannose에 결합하고 있는 galactose에 대해서는 역시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아 반응 초기부터 말기까지 가수분해 pattern에 대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대사증후군에 대한 사상체질별 허리둘레 및 체질량지수의 절단값에 대한 연구 (Cut-off Values of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for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최재완;유준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5-378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t-off values of abdominal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BMI)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Methods A total of 1,773 persons, namely 440 male people and 1,333 female people, in ages from 40 to 69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y are all included in the community based Genomic cohort in Wonju in years from 2006 to 2013. The diagnostic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was used followed by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in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 ATP III) and Asian pacific guideline for only abdominal obes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34.8% for men and 37.6% for women in this research. Taeeumin was the highly significant risk type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both sexes. Cut-off values of abdominal circumference were 88.3 cm in men, 80.3 cm in women, and cut-off values of BMI were $24.2kg/m^2$ in men and $25.3kg/m^2$ in women. For men, cut-off values of abdominal circumference were 79.5cm in Soyangin, 88.8 cm in Taeeumin and 79.5 cm in Soeumin, and cut-off values of BMI were $23.2kg/m^2$ in Soyangin, $25.6kg/m^2$ in Taeeumin and $20.6kg/m^2$ in Soeumin. For women, cut-off values of abdominal circumference were 76.3 cm in Soyangin, 80.3 cm in Taeeumin and 76.8 cm in Soeumin, and cut-off values of BMI were $22.4kg/m^2$ in Soyangin, $24.9kg/m^2$ in Taeeumin and $21.3kg/m^2$ in Soeumin. Conclusions Although 90 cm in men, 80 cm in women as an Asian pacific guideline were regarded as quite approximate to the mean value of abdominal circumference and $25kg/m^2$ to BMI. But if the results could be allocated in terms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method, the cut-off values for Soyangin and Soeumin should be lowered than now.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나선형 테이핑 적용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 개선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The immediate effects of spiral taping on improvement of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동대;박신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529-53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마비측 다리에 나선형 방향으로 테이핑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42명을 각각 실험군(나선형 테이핑군) 21명과 대조군(넙다리네갈래근 테이핑군)21명으로 나누어 테이핑을 부착하였다. 두 집단 모두 10m 보행 검사(10 meter walk test)와 동적 보행 지수(Dynamic Gait Index; DGI),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이용한 시 공간적 보행변수 중 보행율(cadence), 속도(speed), 마비측 보행주기(gait cycle duration), 마비측 디딤기(stance phase duration), 마비측 양발 지기기(double support duration)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전과 중재 후 두 집단 모두 10m 보행과 DGI 그리고 보행율, 보행속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마비측 디딤기, 마비측 보행주기, 마비측 양발지지기에서 증가 및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간 변화량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테이핑을 통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 변화에서 두 방법 모두 보행능력에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나선형 테이핑은 테이핑 절단 횟수가 적고 비교적 쉽게 적용이 가능하므로 가정에서 적용 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