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 지구적 소양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about Earth Systems Education: A Case Study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연구)

  • Lee, Jeong-A;Maeng, Seung-Ho;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6
    • /
    • pp.707-719
    • /
    • 2007
  • Teachers play key roles in classroom instruction. The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of teachers about teaching have substantial effect on the practical context of science teaching. Analyz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about Earth Systems Education (ESE) offers an opportunity to figure out how the goals of ESE might be dealt with. In this study, lesson plans developed by and in-depth interview results with two teach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ESE perceptions. ESE orientations were also investigated in terms of teaching orientations and integration orientation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deep understandings about 'Global Scientific Literacy (GSL)', the ultimate goal of ESE, precede the sound ESE teaching in the classroom. To enhance teachers' GSL, exemplary aspects of various integration, including networked integration, should be provided specifically to teachers. Also, the institutionalized approaches to developing ESE curriculum could help classroom teachers activate ESE teaching in their classroom.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Polar Literacy and Its Implications for Polar Education (고등학생들의 극지 소양 평가 결과 분석 및 극지 교육에의 시사점)

  • Chung, Sueim;Choi, Haneul;Kim, Minjee;Shin,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3 no.3
    • /
    • pp.446-463
    • /
    • 2022
  •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polar literacy education as an effective conceptual system to explain climate change in terms of science education in line with the common effort of humankind to respond to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polar literacy in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quantitative tests and qualitative interviews and discussed the resulting implications. A total of 329 high school sophomore students from two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a test consisting of 25 true and false questions developed by referring to the Polar Literacy Principles, while 13 students agreed to be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a somewhat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conceptual gaps appeared regarding several areas of the Polar Literacy Principles. Knowledge of the geographic features of the polar regions was weak, and little was known about the components and key characteristics of the cryosphere.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se concepts results in the inability of students to link the operational mechanisms of polar and global climate change sufficiently. While accepting unsatisfactory concepts in the school curriculum without criticism from outside media, students perceived the mechanism of climate change as somewhat monotonous or distorted. Moreover, linguistic information, analogies, and visual observation were used as cognitive strategies to compensate for the ambiguous understanding of polar and climate chang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we argue that polar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as a new knowledge system that can be used to ai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within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Additionally, we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review the consistency of knowledge related to polar literacy in other subjects, provide critical standards for out-of-school media informa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examine students' misconceptions, and identify improved thinking strategies.

The Influence of Global Science Literacy-Oriented Instruction on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 Yu, Eun-Jeong;Oh, Hyun-Seok;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7
    • /
    • pp.602-61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lobal science literacy-oriented instruction on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The participants were 65 male students in 8th grade, and they were taught for five weeks about the Unit of "Earth and Star" that was designed based on global science literacy.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Results revealed that it was hard to change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during the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n the sociological aspect, the students acquired relatively more improved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than the other aspects including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historical aspects.

Effects of Eco-STEAM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STEAM Attitude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 Lee, Sang-G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0 no.1
    • /
    • pp.62-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STEAM Attitude through the use of the Eco-STEAM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eaching plan and worksheet for students using Eco-STEAM Programs was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the analysis of students' outcomes, the effects on Environmental literacy and STEAM Attitude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in the Environmental Literary score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5). Second, the change in students' STEAM attitude by applying the Eco-STEAM program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5).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used to evaluate the program, stude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STEAM program and gain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lesson. Therefore, Eco-STEAM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to improve Environmental Literacy, and can be expected to improve STEAM literacy and should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Effect of HTE-STEAM Program: Focused on Case Study Application for Free-Learning Semester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유학기제 수업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Kim, Yonggi;Kim, Hyoungbum;Cho, Kyu-Dohng;Han, 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1 no.3
    • /
    • pp.224-23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asoning-based HTE-STEAM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capac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nhancement of their STEAM literac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in the school set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of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HTE-STEAM program during their free-learning semesters and 202 of them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 and post-HTE-STEAM program has shown a significant value in statistical verification (p<.05) and the level of logical thinking abil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mproved after the class compared to before the class. Second, the paired samples t-test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the STEAM attitude test has shown a significant value in statistical verification (p<.05), and the HTE-STEAM program ha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EAM literac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rd, in the HTE-STEAM satisfaction scale test, the mean value of the sub-construct stood at 3.27~4.12, showing a positive overall response. Therefore, the HTE-STEAM program under the topic of earth science of 'Disaster and Safety' developed at the final stage of this study has prove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capacity by reaso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 important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necessary for STEAM literacy.

Comparative Study on Hydropower Generation in the Han River Basin by Using HEC-ResPRM and Linear Programming (HEC-ResPRM과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한강수계 댐 발전량 비교 연구)

  • Ji, Jungwon;Lee, Eunkyung;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1-141
    • /
    • 2015
  • IPCC 5차 보고서에서 기술되어 있는 것처럼 기후시스템의 온난화는 명백하며, 1950년 이후 관측된 많은 변화들은 지난 수천 년간 전례가 없는 것이었다. 지구 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이제 일부 국가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인 문제가 되었다. RCP 시나리오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한민국의 경우 연평균 강수 총량은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는 반면 총 예상 강우 일수는 감소하여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될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한강수계 9개 댐(화천, 춘천, 소양강, 의암, 청평, 충주, 괴산, 횡성, 팔당)을 대상으로 HEC-ResPRM과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발전량을 최적화 하였다. HEC-ResPRM은 미공병단 수문공학센터에서 개발한 저수지운영 최적화 모형으로 홍수 조절, 관개, 발전,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저수지 운영방안 도출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HEC-ResPRM 모형과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운형모형의 결과자료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HEC-ResPRM 모형의 특징과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Flood Risk Assessment with Climate Change (기후 변화를 고려한 홍수 위험도 평가)

  • Jeong, Dae-Il;Stedinger, Jery R.;Sung, Jang-Hyun;Kim, Young-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1B
    • /
    • pp.55-64
    • /
    • 2008
  • The evidence of changes in the climate system is obvious in the world. Nevertheless, at the current techniques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the flood distribution can not reflect climate change or long-term climate cycles. Using a linear regression and a Mann-Kendall test, trends in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and flood data for several major gauging sites were evaluated. Moreover, this research considered incorporating flood trends by climate change effects in flood frequency analyses. For five rainfall gauging sites (Seoul, Incheon, Ulleungdo, Jeonju, and Gangneung), upward trends were observed in all gauged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record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ree streamflow gauging sites (Andong Dam, Soyanggang Dam, and Daecheong Dam), upward trends were also observed in all gauged annual maximum flood records, but only the flood at Andong D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log-normal trend model was introduced to reflect the observed linear trends in annual maximum flood series and applied to estimate flood frequency and risk for Andong Dam and Soyanggang Dam. As results, when the target year was 2005, 50-year floods of the log-normal trend model were 41% and 21% larger then those of a log-normal model for Andong Dam and Soyanggang Dam, respectively. Moreover, the estimated floods of the log-normal trend model increases as the target year increases.

Differences in Flood Runoff Regarding Climate Changes Utilizing GSSHA Model on the Bukhan River Basin (GSSHA를 활용한 북한강 유역 미래 홍수량 변화 예측 연구)

  • Shin, Jea-Whan;Jang, Suk-Hwan;Choi, Hong-Chan;Yoon, T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39
    • /
    • 2022
  • 최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한기후일수 증가, 이상기후 등의 환경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이·치수 측면에서 물관리 정책 수립 등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악지형이 많고 수계형태가 복잡한 지형적 특성과 여름철에 연강수량이 집중되는 계절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 대상 유역은 DMZ 이북의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북한강 전체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요 댐 유역별로 세분하여 6개 댐유역(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 팔당댐)에서 홍수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상류의 미계측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 격자기반으로 매개변수의 물리적인 계산이 가능한 분포형 모형인 GSSHA 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실현 여부에 따른 저탄소 및 고탄소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미래 전·중·후반기의 기간별로 적용하여, 현재를 포함한 7가지 시나리오를 반영하였다. 연구결과, 미래 전반기에서는 홍수량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중반기 및 후반기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유역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탄소 배출 농도에 따른 평균 홍수량 변화율은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1.03 %에서 +4.01 %,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4.54 %에서 +17.73 %로 나타났다. 저탄소와 고탄소 시나리오를 비교하면 홍수량 변화율 차이는 미래 기간 및 소유역 마다 상이하지만, 최소 359 %에서 최대 527 %까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인류의 탄소저감 노력은 기후변화 자체를 막을 수는 없으나, 그 영향을 최대 5배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강 유역의 미래 기간별 확률홍수량 예측값 및 수문특성의 변화 전망을 주요 댐 유역에서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한 이·치수 정책 마련 및 접경지역의 재난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effect of ditch restoration on soil loss reduction in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고랭지밭의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 효과분석)

  • Sung, Yunsoo;Kim, Jonggun;Choi, Yujin;Im, Gyeong-Jae;Kim, K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4-244
    • /
    • 2018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현상으로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점에 강우로 인한 토양유실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토양유실은 도시지역보단 농업지역에서 다량 발생되고 있어 많은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유입되 환경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문제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강원도 내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선정된 홍천군 자운지구는 소양호 상류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의 농경지가 고랭지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천군 자운지구 내 고랭지밭은 대규모 농업단지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 내 위치한 구거가 무단으로 점용되어 농경지로 활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홍천군에서는 농경지로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길제 구거 복원으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분석은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홍천군 자운지구의 지적 상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구거를 복원할 경우 발생되는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했다.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모형은 SATEEC L Module이다. SATEEC L Module은 수치표고모형과 최대 허용 경사장을 이용하여 경사장을 산정한 후 Moore and Burch의 방법을 이용하여 LS factor를 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Module을 사용하여 산정된 LS factor와 USLE 공식을 적용하여 구거 복원 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면 자운지구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을 약 16.6%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의 토양유실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f Soyang Reservoir and Chungju Reservoi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가용수자원 평가)

  • Choi, Sung-Gyu;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7-151
    • /
    • 2007
  • 인위적인 온실가스 증가의 영향으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전 지구적인 온난화 추세를 상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및 집중호우의 증가 추세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여 가용 수자원의 변동이 커지고 있다. 추가적인 댐 건설이 어려운 상황이고, 댐 운영의 불확실성에 의한 현실적인 운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보수적인 댐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예측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연구소에서 개발된 A2, B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다목적댐에서의 용수공급능력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대규모 유역의 대표적인 다목적댐을 선정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유입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저수지 모의운영 기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각 댐의 신뢰도 95% 용수공급능력과 예상발전량을 산정함으로써 가용수자원을 평가하였다. 또한 다목적댐의 과거 실적 유입량 자료를 이용한 모의운영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과거 실적에 의한 결과와 비교할 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향후 국내 가용 수자원량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로부터 댐 운영에 있어서 홍수기의 안정적인 댐관리와 갈수기의 적절한 수자원 분배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저수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유역의 수자원 영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댐의 순기능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댐별 방류량을 변동하여 하류 주요지점에 미치는 유황개선효과를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댐의 효율을 최대화한 하류확보가능하천유지유량을 월별평균량으로 산정하였다. 이는 향후 오염총량제 기준유량 및 환경용수의 법제화를 통한 하천유지용수의 증가시 비구조적 대책의 공급가능 최대량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원에서 인위적으로 방류한 양이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두 지점의 1월 유출이 100 % 이상인 것은 동절기 하천 결빙으로 인한 유량파악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의 하천수위는 계측기에 기록된 수위값으로 유량을 산정한 것이다. 3월, 10월, 12월의 유출이 많은 것은 전월말 발생한 강우의 영향으로 크게 나타났다.다. 5. 초장의 절대치는 품종간에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조파구간에는 초장에 큰 변이가 없었고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짧아졌다. 초장의 신장속도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현저하게 빨라지고 특히 조생종이 만생종보다 더욱 가속적인 경향이었다. 따라서 최고초장과 최저초장과의 절대치의 차이는 조생종일수록 적고 만생종일수록 큰 격차를 보이었다. 6. 간직경에 있어서도 만생종은 일반적으로 조기파종할수록 굵고, 조생종과 중생종은 4월 25일 파종기가 가장 굵은 편이며 이보다 파종기가 지연 가늘어지는 경향이었다. 7. 간중은 품종의 조만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적기(4월 25일~5월 15일)보다 조기 혹은 만기 파종하면 작아지나 파종기 이동에 따른 간중의 변화는 품종의 조만성에 따라 양상을 달리하여 조생종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