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기술

검색결과 2,975건 처리시간 0.033초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소액 결제 모델의 인증 및 프라이버시 지원하기 위한 개념 설계 (Concept Design to support Authentication and Privacy of Micropayment Model for Traditional Market Activation)

  • 차병래;박봉구;김대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65-67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현황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리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인 인프라와 환경 개선 사업보다 IT 측면에서의 소상인의 소액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NFC 기반의 소액 결제 모델과 토큰화 기술을 제안한다. 소액결제 모델은 NFC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결제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암호화 및 토큰화 기술에 의한 사용자들의 간접 인증과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ebXML기반 컨테이너터미널 EDI시스템 (ebXML base containerterminal EDI systems)

  • 최형림;최현덕;이호인;이현철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신정보기술 패러다임
    • /
    • pp.321-330
    • /
    • 2002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은 개인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기업간의 업무 내역에 있어서도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기존 기업간 문서 교환 시스템의 표준으로 활용되어 오던 독자적인 VAN망을 이용한 전통적 방식의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역시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전통적 방식의 EDI가 기업 간 거래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표준 포맷'으로 된 기업 거래 문서를 컴퓨터로 상호 통신한다는 EDI의 기본적인 개념에 충실하며 정확한 데이터 전송 및 보안이 가능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초기 구축비용 과다와 패쇄적인 구조로 인하여 시스템 확장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유지 보수 및 운영에도 지속적인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전통적 방식의 EDI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테이너터미널과 선사간의 EDI를 이용한 메시지 송ㆍ수신 업무를 지난 2001년 8월 정부에서 기업간 전자 거래를 위한 데이터 교환 모델로서 권고한 ebXML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ebXML기반 EDI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 PDF

컴퓨터 활용 프로젝트 미디어교육의 중등 기술교과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An Effects of Project Media Education with Computer in Technological Academic Achievement and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n middle school)

  • 문혜성;사공옥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63-16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인쇄매체, 영상매체를 활용하는 프로젝트 미디어교육이 중학생 기술교육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을 전통적 교사중심 강의수업을 받는 집단과 프로젝트 미디어교육을 받는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첫째, 프로젝트 미디어교육 학습집단이 전통적 강의방식 학습집단에 비해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업성취도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학습결과물 영역의 학업성취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프로젝트 미디어교육 학습집단이 전통 학습집단에 비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요소들 중,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의 솔선수범 및 독립성, 창의성의 요소들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신뢰도가 기업대 소비자간 전자상거래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Trust on Electronic Commerce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 박치관;박준병;김응규
    • 정보기술응용연구
    • /
    • 제1권3_4호
    • /
    • pp.47-67
    • /
    • 1999
  • 전자상거래가 기대보다 미진한 여러 가지 이유들 중의 하나가 가상시장이 전통적인 시장에 비해서 본질적으로 제약이 있고, 아직은 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구현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가상공간에서는 전통시장에서처럼 거래쌍방이 직접 만나서 상대방을 확인하거나 실물의 품질을 확인하고, 대금을 지불하면 바로 현물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시장에서의 거래습관에 익숙해진 소비자들로는 새로운 제도가 주는 파격적인 이익을 얻어서 경험해보거나 가상공간의 약점이 제도적으로 보완되기 이전에는 전자상거래에 대한 확산을 얻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는 거래행위에 있어서 신뢰도와 관계된 문제로, 본 연구는 신뢰도가 인터넷을 통한 구매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 신뢰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적인 방안들을 모색해봄으로써 초창기 전자상거래를 시도하려는 기업들과 전자상거래의 정책결정을 하게될 담당자들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신뢰도는 전자상거래 이용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서비스의 서비스 특성에 대한 고찰 (An Inquiry into The Properties of E-service)

  • 김은희;이경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211-214
    • /
    • 2014
  • 최근 E-Service의 기술 촉진이나 적용 범위는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으나, 이에 반해 E-Service의 이론과 실행은 여전히 초기 단계이고, E-Service상의 서비스나 서비스 경험에 대한 정의가 부재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 서비스와 E-Service의 차이점을 도출하여 E-Service만의 특화점을 학문적으로 확인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Service의 정의를 우선 설명하고, 전통적인 서비스의 주요 특성 5가지를 활용하여 E-Service와의 특성을 비교한 후, 5가지 특성에서 각각 전통적인 서비스와 E-Service간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E-Service의 가장 큰 특징인 기술과 정보의 만남을 통해 가치의 창조가 포함되는 점을 추가하여 E-Service가 기존 상품이나 오프라인 서비스에 대한 보완재나 대체제가 아닌 E-Service 만의 고유 핵심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명백한 E-Service만의 우위 요소를 정의한 후 학문적으로 명확한 차이점을 밝혀내 보고자 한다.

  • PDF

천연염색 교육을 통한 평택지역 일자리창출 활성화 연구 (Study on activation of job creation in Pyeongtaek area through natural dyeing education)

  • 박혜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신산업으로 주목되고 있는 산업 중 전통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 필요성 증대에 따른 지역사회의 노력과 산·학·연의 협업이 절실한 상황에서 국내 전통문화예술을 살리고 지역사회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동인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지역 전통문화·예술·관광행사 및 디자인 상품개발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시대가 변화되고 전통기법 전승에 대한 교육이 갈수록 외면되고 소외 시 되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년간 평택지역의 산업체, 지역대학, 연구소가 협동하여 실시한 천연염색교육과 문화예술행사를 통해 전통문화예술의 전승과 고부가가치 일자리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행론의 관점에서 본 전통 스토리텔링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Storytelling in the sense of Performance Theory)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23-130
    • /
    • 2018
  • 스토리텔링 연구에서 그동안 '스토리'의 정태적 측면만이 고려되고, '텔링'의 동적이고 구체적인 현장이 등한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논의에 있어서, 스토리 중심에서 탈피하여 말하기와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런 점을 적극 수용하여 이 글에서 거론하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란 설화 구연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용어이다. 스토리텔링이 구연화자에 의해 표현될 경우가 바로 구술 연행이라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라 할 수 있다. 사실상 스토리텔링의 오랜 역사는 이야기 연행과 같은 구연 스토리텔링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물론 현 시대의 스토리텔링이 구술 시대의 스토리텔링과 같은 것일 수는 없겠지만, 전통스토리텔링의 구연상황은 텔링이 중요한 이 시대에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준다. 우선 전통 스토리텔링의 형식에서 주목할 것이 바로 연행의 '반성성'이다. 이는 연행 형식 내에 자기 자신을 점검하고 되돌아보는 일종의 자기-참조의 양식이다. 이를 통해 전통 스토리텔링은 텔링의 현장성과 일회성을 수시로 의식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두 번째는 전통 스토리텔링의 '틀'이다. 틀을 통해 전통 스토리텔링은 연행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한다. 틀은 일종의 연행 분위기를 조장하고 형성하는 일련의 발화와 행위를 포괄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전통 스토리텔링의 틀에 대한 일반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고등학생의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 제 7차 교육과정의 기술.가정교과 차용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Among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 심지영;이귀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7-172
    • /
    • 2006
  • 본 연구는 현행 7차 교육과정 중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교과내용을 분석하고,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및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실천적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구성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내용은 중학교 3학년의 '상차림과 식사예절', 고등학교 1학년의 '초대와 행사의 계획과 준비', 고등학교 2-3학년의 '음식문화와 음식마련'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 가정생활에서는 적용하지 못하였고 특히 '명절과 세시풍속의 의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교과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가정 내에서의 계승여부, 인식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요구도의 하위변인(필요도, 흥미도, 활용도)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교육은 고등학생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교육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내용으로는 만드는 방법이, 교육방법으로는 조리실습과 음식문화 체험활동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술개발 성공사례-<주>럭키건업

  • 김연상
    • 과학과기술
    • /
    • 제28권1호통권308호
    • /
    • pp.82-83
    • /
    • 1995
  • 건축자재 전문제조업체로 20년 전통을 자랑하는 (주)럭키건업은 최근「세라믹 하이텍 팬널」이라는 건축용 내외장재인 신제품을 개발, 각광을 받고 있다.

  • PDF

EDI 기술 동향 연구

  • 김완평
    • 정보와 통신
    • /
    • 제17권10호
    • /
    • pp.140-14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EDI개념을 간략히 알아보고 인터넷 환경에서의 EDI 기술 동향을 연구하였다. EDIFACT, MIME, XML/EDI, ebXML등의 표준화 작업을 간단히 소개하고 전통적인 VAN EDI, Web EDI, XML/EDI 메시징 시스템 유형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EDI 기술 동향을 조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