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공간

검색결과 1,402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의 전통마을에서 본 공간구성과 환경설계 원칙

  • 신상섭;강인애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61-67
    • /
    • 2003
  • 우리의 선인들은 자연환경과 풍토조건을 고려하여 ‘인간과 자연의 합일’이라는 안정된 생활환경공간을 조성하였는바 복거관에 따라 주거지를 조성하고 경작물재배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며 이웃과 공동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삶터를 경영하였으며, 우주관에 따라 생활영역을 구축하여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정신세계로 확장시켜 나가는 형이상학적 관념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즉, 전통마을의 경영에는 하늘과 땅과 사람(천+지+인, 산+수+방위+사람)이 조우하여 균형을 이루고 합일되는 생명영속사상의 준거틀을 운용하여 물질적 풍요는 물론 정신적 풍요를 중시하는 환경설계 철학을 엿볼 수 있다. 특히, 마을의 조영체들을 자연환경 속으로 깊숙이 관입시켜 생태환경에 대한 질서와 평형원리를 존중하는 유기체론적 설계목표를 반영하였다. 안정된 생활환경공간으로서 생태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환경설계기법은 입지, 토지이용과 동선, 주거형태, 생태, 영역성, 교육생활문화, 경관, 공동체 구성과 관련된 원칙의 내용을 담고 있다.

  • PDF

한국 전통주거의 미적 관점에 의한 공간 연계성 연구 (A Study on a Space Linkage of the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 김종환;박성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99-107
    • /
    • 2011
  •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not only as visual and figurative but also experiencing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uld be perceived as "true space" of connecting people, life and experience. Although it was not clearly defined as a visual entity, the value, phenomenon and experience of space materialized through conjecture and expectation are interpreted as the arena of aesthetics and philosophy. This study aims at drawing a conclus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which is perceived as experiencing space centered on objective and subjective human behaviors, makes a linkage to aesthetic elements.

한국 전통건축의 미학적 특성을 통한 주거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현대 주거공간의 단절성 해결방안으로서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using Design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focu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s solution of severance in modern housing -)

  • 박희정;모정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19-42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so that it resolve severance problems in modern housing. The main method adopted this study was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on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study did the followings; First, it reviewed literature about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severance problems in modern housing. Second, it identified the mai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lessen severance problems in modern housing in the context of severance among people, architecture and nature. Third, it applied the analyze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modern housing and showed the housing design example.

  • PDF

한국 전통주거의 미적 관점에 의한 공간 연계성 연구 (A Study on a Space Linkage of the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 김종환;박성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53-62
    • /
    • 2010
  •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not only as visual and figurative but also experiencing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uld be perceived as "true space" of connecting people, life and experience. Although it was not clearly defined as a visual entity, the value, phenomenon and experience of space materialized through conjecture and expectation are interpreted as the arena of aesthetics and philosophy. This study aims at drawing a conclus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which is perceived as experiencing space centered on objective and subjective human behaviors, makes a linkage to aesthetic elements.

전통 및 수정 중요도-성과도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사용자와 건축 전문가의 공간 별 리스크 인식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in Risk Perception of Daycare Center between End-Users and Construction Experts by Applying Traditional and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이경태;김홍주;제갈재웅;김재원;김주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3-15
    • /
    • 2022
  • 어린이집은 아이들의 심신 및 사회성 발달 등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어린이집 각 공간은 사용자인 아이뿐 아니라 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불충분한 관련 법규 및 획일화된 설계 시공 과정은 어린이집 각 공간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최종사용자(원장, 교사) 및 건설 전문가(설계 및 시공자) 사이의 각 공간별 중요도-성과도 인식차이에서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공간 및 집단 간 인식차이 요인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전통 및 수정 IPA를 통해 어린이집 건설 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하고, 분석방법에 다른 결과를 비교함으로, 향후 어린이집 발주 시 활용 가능하며 시공 및 운영 과정에서 각자의 공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갈등 발생 최소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각 IPA 방법에 따라 전통 IPA가 사전의 인식을 보는데 수월하다면, 수정 IPA는 성과물의 만족도를 기준으로 중요도를 파악함으로 결과물에 대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IPA의 특성에 따라서 결과를 비교한다면, 어린이집 건설 전후 상황에 따른 사용자와 건설 전문가 집단의 인식차이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Study on Public Design Development Plan for Traditional Culture Transmission Zone -With Focus on Public Desig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Daechon-dong Theme Park-)

  • 황요순;임채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56
    • /
    • 2015
  • 도시를 재생 발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들 중에서 풍부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의 발전에 대한 잠재적인 발견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내 지자체의 유사한 환경에 대한 공공디자인 활용가치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정체성에 대하여 지나친 광의(廣義)의 의미를 지양(止揚)하고 지역의 전통문화지역 자산 중 역사와 문화, 생활경제권의 계획적인 발전 방안을 통해 입지현황 분석 및 전통문화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파급효과가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에 미치는 결과에 대해 논의 하였고, 그 결과 국내 외의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에 전략 및 개발 연구설계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미가 부여된 공간은 지역의 문화원형적 소재를 내포한 문화콘텐츠로서, 공간의 활성화 및 광주광역시의 도시브랜드 가치창출을 위한 창의적 발전의 여지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에 대촌동 테마파크 공간해석과 기호학적 공간기획의 방법론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 본 연구가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으로써 국내의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에 대한 모멘텀(Momentum) 환경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 I : 성립과정과 조직체계 (Der Entstehungsprozess und das System der Raumordnung und Raumplanung in Deutschland (I))

  • 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1-496
    • /
    • 2007
  • 이 글은 국토 및 지역계획과 관련하여 오랜 역사와 독특한 전통을 갖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연방주의의 정치적 질서 아래 다극 분산적 국토발전을 꾸준히 추구해 온 독일을 사례로 공간계획의 성립과정과 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의 공간계획은 20세기에 들어 본격화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1960년 중반에 들어서서야 비로소 오늘날과 같은 통일적 형태의 공간계획이 확립되었다.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은 행정계층별 계획에 대한 실정법이 마련되어 있고, 국토 및 지역개발 계획(기본계획)과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법적 체계로 이원적 성격을 띠고 있다. 특히 분권주의 전통을 반영하여 주정부가 공간계획에 고권을 갖고 있으며, 특히 최하위 행정단위인 게마인데에서 강력한 법집행이 이뤄지고 있다.

  • PDF

전주의 금융ㆍ상업공간의 형성과 변화 -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and Commercial Space in Jeonju :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박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54-768
    • /
    • 2003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전주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일제강점기 금융ㆍ상업공간이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전주에서 규모가 큰 금융기관은 대정통에서 현재 중앙동 우체국을 중심으로 입지하였고 작은 규모의 금융기관은 도청과 남문시장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입지하였다. 일제강점기 상업공간에는 전통적으로 성장해 온 정기시장과 새롭게 등장한 상설시장이 있었다. 조선상인은 남문시장 주변에 상설점포와 상업회사를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인 소유의 상업회사는 수뿐 아니라 규모면에서도 일본인 회사를 능가하였고 전통적으로 성장한 상인이 남문시장을 중심으로 계속 상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상업공간은 민족별로 분리 현상이 나타났는데, 대정통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상업공간이. 남문시장을 중심으로 조선인의 상업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었다. 전주의 금융과 상업활동이 대정통에 집중되면서 대정통은 지가가 상승하여 평균 지가를 훨씬 웃돌았고 역전통과 함께 도심을 형성하였다.

한.중.일 전통주거의 공간구조 및 공간이용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충효당, 4진 사합원, 니노마루고덴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ing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Respect of Spatial Structure and Space Use)

  • 김민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01-109
    • /
    • 2011
  • Until now, several comparative approaches were developed within the studi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housings. In those studies, however, each space in the traditional houses was only treated in individual and fragmentary manners, and they lacked the interpretation of the topological attribute of each space within a holistic structure organized by unit spaces, and of the cultural-behavioral meaning of them within a holistic space-use pattern of the housing. The topological attribute and behavioral meaning can be analyzed and interpreted with the quantitative spatial analysis method such as Space Syntax.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ditional housing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holistic aspect of spatial structure using Space Syntax, and to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with relating the structural attributes to the space-use pattern. In this study, the 'Banga' in Chosun era, the 'Siheyuan' in Ming-Ching era, and the 'Shoinzukuri' in Edo era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subjects. The integration indices were calculated from the convex maps representing the subjects, and the common and different attributes of the three subjects were defined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GIS 기법을 활용한 도시지역 상권 특성 분석 - 대형할인점과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 (Analyzing Characteristic of Business District in Urban Area Using GIS Methods - Focused on Large-Scale Store and Traditional Market -)

  • 송봉근;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101
    • /
    • 2017
  •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GIS 기법을 활용하여 전통시장과 대형할인점의 상권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통시장과 대형할인점의 정보를 GIS로 구축한 후, Kernel 밀도 분석, Network analysis, Huff 확률모형 등 다양한 GIS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전통시장의 공간특성은 대형할인점이 밀집된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권특성을 도출한 결과, 대형할인점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157,071명으로 전통시장 59,953명보다 약 3배 많았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인구가 밀집되고 전통시장에 인접한 지역에 대형할인점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소상공인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형할인점 입지선정에 대한 기준 및 규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상권 특성을 공간적이고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향후 소상공인 상권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