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테마마을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농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마을테마 개발 사례 -군산, 산청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 김혜민;조순재;나장원;최혜성;이부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78-178
    • /
    • 2004
  • 현재 국민의 여가활동 패턴변화와 주5일 근무제 도입 등으로 전통문화, 자연체험 기회제공의 장으로서 농촌이 재인식되고 있으며,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농촌진흥청) 등 농촌지역 부존자원의 잠재서비스 개발ㆍ연출 및 농촌마을만이 가진 다양한 가치 발굴, 이를 자원으로 활용한 마을 활성화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이때 농촌마을 부존자원의 다양한 부가가치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이자 공동체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략)

  • PDF

AHP법을 이용한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의 성과분석 (Accomplishment Analysi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by AHP Method)

  • 나란희;윤용철;김영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57-68
    • /
    • 2010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전통테마마을 사업의 추진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지표의 중요도는 주민만족도 (150), 주민참여도 (145), 경제적효과 (123), 민박가구수 (101), 리더양성정도 (96), 사업이해도 (90) 순으로 나타났다. 6개 마을에 적용한 결과, 해바리마을, 다랭이마을, 남사예담촌, 물레방아떡마을, 산첩렵마을 순으로 평가량이 산정되었다. 농촌마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촌 전통테마마을의 현황 및 운영 실태에 대한 사례 연구 -청원군 소전리 벌랏한지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and Operation Situation of Rural Traditional Theme Community -Case of the Bullat Communitye at Sojun-li in Cheongweon-gun-)

  • 원세용;박재평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1-59
    • /
    • 2007
  • This study is on analyzing of current and operation situation of rural Traditonal Theme Community started from 2002. In this study it analysed result of strength and weakness from the step of selection of plan to the process and operation situation about Bullat Community at Sojun-li in Cheongweon-gun, and suggested improvement method based on the result. First, rural communities have to get peculiar theme for success of green tourism. In spite of the disadvantage as regional conditions for access, the special themes of every communities brought good results about project propulsion. Second, It is need to manage programs which are tour events for short-term, and experience programs for staying all days for increasing income. To make succeed this kind of program, is necessary for giving informations for various visitors such as personal, family and groups. Third, there is need to make continuous programs attracting for four seasons, and operation management having a stable income.

  • PDF

장소성 강화를 위한 '안동포마을' 공간스토리텔링 ('Andongpo Village' Spatial Storytelling for Strengthening of Its Placeness)

  • 배진희;권기창
    • 지역과문화
    • /
    • 제6권4호
    • /
    • pp.73-97
    • /
    • 2019
  • 본 연구는 안동포마을의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고 장소성 강화를 위해 공간스토리텔링 한 것이다. 이론적 고찰, 장소성 강화 선진사례 분석, 마을 환경과 문화자원 분석을 통해 마을의 맥락을 파악하고 전통 삶의 방식과 길쌈문화가 담긴 전통마을의 장소성을 도출하였다. 그에 따라 공간스토리텔링의 주제를'천년의 숨결! 천년의 노래!'로 설정하고 구체화를 위한 테마로는 '헌신·나눔·추억·만남·건강·화합'으로 설정하였다. 또 설정된 각각의 테마에 부합한 공간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야기를 재현하거나 창조함으로써 안동포마을은 전통문화의 창조성과 장소적 자산이 공존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방문객은 장소성을 체험하고 완성해 가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운영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안동포마을 브랜드가치 및 주민 삶의 질이 향상되고 관광객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통테마마을 육성 연구

  • 조록환;박은식;황대용;고정숙;조영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34-151
    • /
    • 2004
  • WTO 뉴라운드와 DDA협상 등 농산물수입개방 확대로 국내 농업ㆍ농촌의 여건은 점점 악화되어가고 있다. 우리 농촌이 국제적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기 시작하여 농산물의 생산과 판매에 있어서 영향주고 있다. 농산물가격이 보장되지 않고 국제적 경쟁을 통해 이겨야하는데 현실적으로 국내의 농산물가격 경쟁에서 이기기 힘들다. 따라서 각국의 농업정책도 자국내 농정에서 글로벌 스탠다드에 의한 국제시장 메카니즘 강요를 받고 있으며, 농업도 생산증대에 역점을 두어왔으나 소비자지향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중략)

  • PDF

농촌관광마을 체험지도 인력의 활동특성 분석 (A Study on Rural Interpreters' Experience in Rural Tourism Village)

  • 조영숙;이문주;조록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4-84
    • /
    • 2009
  • 농촌관광은 농촌마을을 중심으로 활성화가 되어야하며 이를 매개로 하여 농촌주민의 농외 소득증대와 더불어 농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최근에 이르러 농촌관광의 성패는 그 마을이 가진 잠재적 어메니티 자원뿐만 아니라 이러한 잠재자원을 활용하여 마을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인적자원이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마을의 해설 및 체험지도 인력을 대상으로 활동특성 현황을 파악하고자 마을단위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정부가 지원한 마을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녹색농촌체험마을(농림수산식품부), 농촌전통테마마을(농촌진흥청)은 2009년까지 총 612개소이나 이 중 인력기반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2007년까지 선정된 농촌관광마을 403개 중 100개 마을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은 마을의 추진위원장 중심으로 리더 100명, 추진위원장 추천의 마을해설 및 체험지도 인력 명단에서 2~4명 정도, 총 300명을 자기기입식 및 직접면접 조사를 병행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해설 및 체험지도자 활용유형을 생태해설, 생활문화, 농업기술, 전통놀이/문화, 전통 음식, 전통공예, 지역설화로 분류하였으며, 지도방법은 직접시현(체험)과 간접시현(안내/해설)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는 체험지도 인력은 평균 6.6명이었고, 마을해설에 참여하는 내부인력은 평균 3.2명, 외부인력은 0.8명이었으며, 체험지도에 참여하는 내부인력은 평균 4.2명, 외부인력은 1명으로 나타나 마을해설보다는 체험지도에 외부인력을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설 및 체험지도인력들에 대해 농촌관광마을 리더들은 부족하다는 의견이 49%로 과반수 정도를 차지하여 농촌체험지도를 위한 인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해설이나 체험지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체험지도 형태는 주로 새로운 지식을 스스로 공부하여 해설하는 경우가 45.5%, 전문화된 개설이 가능한 비율이 19.9%, 안내만 함 19.5%, 시연만 함 15.2%로서 대부분이 지도인력들이 스스로 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체험거리 한두 가지를 전문적으로 지도하는 비율(41.2%)보다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지도하는 비율이 58.8%로 높게 나타나 한 사람이 몇 가지를 동시에 담당하여 지도하는 체험지도에 대한 전문성 확보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농촌관광마을의 인적자원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마을 해설사의 인적자원의 잠재성을 활용 농촌마을의 발전 동력을 찾고자 함에 연구에 의의가 있다.

  • PDF

농어촌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A Study for the Three Elements of Dangsan Forest and Culture in Rural and Coastal Villages)

  • 최재웅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1호
    • /
    • pp.188-209
    • /
    • 2009
  • 우리나라 농어촌은 인구는 적으나 국토경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자연경관과 전통생활문화가 남아 있는 소중한 공간이다. 우리나라 40,000여 농촌마을 중 많은 수가 사라진 당산숲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경관으로서, 수백 년 전 마을 주민들에 의해 조성된 후, 현재까지 마을주민들에 의해 보전 관리되고 있는 전통경관이며 우리 농촌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그러나, 근래에 개최된 마을숲 관련 학술대회에서도 발표의 주요 테마는 "마을숲의 개념" 정립과 관련된 것이었으며, 그 동안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당산숲 마을숲에 대한 보다 명확한 실체 구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농어촌의 문화경관인 당산숲의 특성을 올바로 이해하고자 한 것으로서, 10년간의 문헌검색, 현지 답사활동 등을 통해 발굴한 40개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조사 분석자료 중에서 당산숲의 3대 구성요소와 당산숲문화로서의 당산제 부분을 발췌하여 정리한 것이다. 당산숲의 3대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당산나무는 내륙의 20마을 중에서 16곳, 해안가 20마을 중에서는 11곳이 있었는데, 당산나무를 정해두지 않은 나머지 13마을은 숲 전체를 당산나무로 여기고 있는 경우이다. 내륙의 20마을 당산숲에서 성황당은 9곳으로 45%, 돌탑은 6곳으로 30%가 나타났으며 두 개의 시설물 중 하나라도 나타나는 비율은 14곳으로 70%이다. 해안가 20마을 당산숲에서 성황당은 15곳으로 75%가 나타났는데, 돌탑은 20개 마을 모두에서 볼 수 없어 두 개의 시설물 중 하나라도 나타나는 비율은 15곳으로 75%이다. 당산숲을 올바로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당산제를 비롯한 당산숲문화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난 10년간 매년 한 두 마을 정도의 당산제에 참가하여 40마을 중에서 강릉 구정리 등 11개 마을의 당산제는 직접 참관하였고, 화순 동산마을 등 4개 마을은 당산제 전날의 금줄 치기, 황토 뿌리기 등 준비상황을 참관하였다. 그 외의 마을은 당산나무나 돌탑에 있는 금줄 등을 통해 당산제를 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