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문화 중심도시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Tourism Resources on the Historical Sites -In case of Kyungju and Kyoto- (문화유적지의 관광자원화 특성에 관한 연구 -경주와 교토를 중심으로-)

  • Chun Myung-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
    • /
    • pp.93-10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what are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tourism resources in the historical sites and what kind of factors can roll as the tourism resources in two old cities, Kyungju and Kyoto, Those two old cities are the oldest cities in the world and they have several world cultural heritages that registered by UNESCO. In Old historic cultural sites has its own tourism resources factors and characters such as Uniqueness, Authenticity, Historical character, Regional character, Art factor, Religious factor,

  • PDF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Perception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 A Case of Gyeongbok Palace - (역사문화경관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복궁 내부의 조망점을 중심으로 -)

  • Suh, Joo-Hwan;Kim, Su-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108-117
    • /
    • 2013
  • Modern city doesn't have its own identity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s despite the fact that each city has a historical value. This is due to the demolition of historical and regional values. As such problems are connected to urban problems, they become even more serious. Thu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set Gyeongbokgung(Palace) as an object to look into landscape factors and found out the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preference. Then,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quantitative relations between the physical attribute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and human response. As such, the researchers aimed to set and propose a confirmed standard in terms of identity and regional & historical value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Sinc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n object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that was reproduced based on original landscape in the past, a future study should be on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based on the proportion of modern landscape. Based on such studies, a new plan should be made for forming the urban historic cultural landscape.

Design Industry Clusters of Euljiro and Hongdae Area in Seoul - A Creative Industry Cluster Perspective (을지로와 홍대앞 디자인산업 클러스터 비교 연구 - 창조산업클러스터 관점을 중심으로 -)

  • Hee-Ra, Moon;U-Seok, Seo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v.21 no.3
    • /
    • pp.89-124
    • /
    • 2018
  • Although design industry belongs to one of the creative industries and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urban cultural economy based on its cluster formation, researches on design industry are rarely made explici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industry cluster. After reviewing the life cycle of design industry clusters in Euljiro and Hongdae Area in Seoul, this study compares these two clusters with respect of diverse dimensions of creative industry cluster such as agglomeration economy, spin-off activitie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Research methodology includes the analysis of ?Seoul Business Statistics?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4 professional designers. The result shows that design industry cluster in Euljiro is close to the traditional industry cluster mainly dependent on printing industry with very limited impact on urban economy, while Hongdae Area develops creative industry cluster by virtue of university spin-offs, art markets, hybrid cultural consumption space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esigners contributing to urban economy in diverse ways. This comparative analys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various environmental components to encourage creative activities in developing the creative industry cluster.

Planning the New City Based on the Geomancy: A Case of the Design of the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NMAC) (경관풍수에 입각한 신도시의 개념적 설계 : 행정중심복합 예정도시를 사례로)

  • Seo, Tae-Yeol;Ock, Han-S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5 s.110
    • /
    • pp.491-513
    • /
    • 2005
  • The Republic of Korea is planning to build the no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NMA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new city that relies on the Korean geomancy, oriental viewpoint on man and nature relationship, particularly in Korea. According to the Geomancy which could conceptualize the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in the site, the overall landscape image of the city could be symbolized by two flying crane with three Taegueks. In transforming the overall landscape image to urban form, two diamonds which means eternity and strength arises from the western spatial viewpoint, as means to protect and harmonize the human, land and mountain relationship in this site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is site as generative and sacred place in Korean people's mind. On the one hand, through juxtaposing of the two diamonds a geometric structure shows up, on the other hand the main axis of the city could be established from two crane and three Taegueks. On the North-South axis from the core of the symbolic green axis, symbolic things will be located,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s will be Placed on the East-West axis. Peripherals of the central axis also play a role in developing overall land use from image. The buildings and residents could be arranged and located according to undulations and this is based on the oriental theory of geomancy. We can build cultural amenities on the head part of the crane and on the core area.

Exploring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Based on East Asian Garden Culture - Centering on Community and Integration - (동아시아 정원문화에 기반한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모색 - 공동체성과 통합성을 중심으로 -)

  • Ahn, Myung-Jun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13-26
    • /
    • 2023
  • Landscapes and garden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medium of practice in contemporary cities.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s the city through the frame of gardens. This is because gardens are being reconceptualized as a medium of activity for urban residents and have become an important subject of ac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the creation of urban villag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and proposes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landscape theory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by focusing on the urban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urban residents through the medium of gardens, as well as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is both a process and a result of looking back at the evolution of landscape for over a century and rethinking the identity of landscape. We first examined garden city theory, noting that Ebenezer Howard and Frederick Law Olmsted's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rdens and cities were not so different, and that "working and responsive landscapes" were fundamental to cities and the beginning of landscape theory. We also examine how their ideals have not been fully realized in cities over the past century, but the prototype of gardens based on traditional garden culture is now being formed in East Asian cities, and the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 in response. The conclusion is that a new version of the garden concept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living infrastructure in our cities, and a new garden city theory is needed to make it work. To this end, each chapter examines three arguments, as follows First, the values of gardens and East Asian garden cultures in contemporary cities are shaped by the themes of community and integrity. Second, Korean communality, represented by apartments, is expressed through gardening and requires the reconciliation of city and life and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specialized field to support it. Third, we examine and consider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theory of practice in which city-based, everyday life, and garden mediums, i.e., city, life, and garden, are organic, based on an oriental view of natur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contemporary gardens and cities are looking for important elements and values that still need to be rediscovered in East Asian landscape and garden cultures. Although the proposal of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cannot guarantee the continuation of landscaping, it can be an opportunity for all fields related to cities, not just landscaping, to collaborate and consider garden cities.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the concept of garden and city suitable for metropolitan or dense cities, ways to spread and support garden culture based on community,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design theory suitable for lifestyle and terrain conditions, search for sustainable/resilient garden city theory tha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 new role for landscape in the 21st century" will be seriously considered.

The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Focused on Namhang Market in Busan) (문화를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부산 남항시장을 중심으로))

  • Kim, Hae-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73-86
    • /
    • 2014
  • The traditional markets representing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have been pivotal in retail markets for a long time, but they suffer from deterioration due to the downturns of competitiveness caused by the inactive confrontation with changes of life styles and the large retailers' marketing territories. Recently the efforts to 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s are widely developed, and this research will cover the necessity of such activation through the use of market competitiveness and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alities. By analyzing the case of Namhang market in Busan,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 activation measures in the aspects of hardware, software, human ware, and a joint venture.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Urban Periodical market in Won-ju City (도시풍물시장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원주시 쌍다리 풍물시장을 중심으로 -)

  • An, Yeong-Gap
    • Korean Business Review
    • /
    • v.6
    • /
    • pp.181-199
    • /
    • 1993
  • 이제까지 부활된 정기시장인 원주시 쌍다리 풍물시장의 현황을 관찰, 면담, 설문지를 통하여 많은 문제점과 나름대로의 대안을 살펴보았다. 여러 가지 문제해결의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쌍다리 풍물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기에 앞서 풍물시장의 이해 관계자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쌍다리 풍물시장의 이해관계자는 크게 4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상설상인들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거리에서 노점상을 했던 도시빈민들이 대부분이며, 설문지에서 나타나듯이 낮은 학력, 소자본 그리고 노령인구층과 여자의 비율이 높다. 이들은 두 가지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매장의 소유권과 5일장이다. 매장의 소유권은 이들에게 있어서 큰 희망이며, 5일 장날의 매상은 평소의 $5{\sim}6$배를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풍물시장 번영회라는 그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단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풍물시장 번영회는 상설상인들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여러 노력들을 하고 있다. 둘째로는 이동상인들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장터를 떠돌아 다니며 상행위를 하는 부류로서 상설상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학력과 장년층이 많다. 이들은 5일장의 성쇄와 깊은 관련이 있으나, 5일장이 열리는 상설시장의 발전에는 아무런 흥미가 없다. 즉, 이동상인이 많이 모여드는 곳은 5일장이 크게 번창하지만, 그곳의 장이 패할 기미가 보이면 미련 없이 떠난다. 따라서 보다 많은 이동상인의 유치는 도시 5일장의 성쇄와 깊은 관련이 있다. 셋째로는 시당국을 들 수 있다. 시당국에 의해서 쌍다리 풍물시장은 노점단속에 반발하는 노점상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생겨났으며, 5일장 역시 시당국에 의해서 부활된 것이다. 그러나 단기적인 측면만을 고려한 듯한 인상을 풍기는 쌍다리 풍물시장에 대한 행정은 대단히 아쉬운 부분이며 앞으로도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의 해결은 시당국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풍물시장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들 중 유일하게 조직과 행정력을 가지고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주체인 것이다. 넷째로는 풍물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주로 원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며 쌍다리 풍물시장을 이용하는 이유는 저렴한 가격에도 원인이 있지만 민족의 정서가 어려있는 시골장터에 대한 향수 역시 큰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소비자 설문에서 구경거리를 위하여 장에 오는 소비자의 비율이 생각 외로 높게 나타남으로써 알 수 있다. 미국을 위시한 선진국들의 시장개방 압력과 우루과이라운드의 등장으로 우리나라는 경제, 사회문화적인 위기에 봉착해 있다. 1960년대 이후 계속되어 온 경제 제일주의 정책으로 우리 민족의 정서와 문화를 보존하는 일에 등한시하여 왔다. 이 때문에 우리 민족 고유의 뿌리를 점차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시노점상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부에서 도시 5일장을 개장한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라 아니할 수 없다. 이렇게 정부주도로 개장된 5일장이 운영되어 온 지 2년이 되어가고 있다. 개장 초기에는 시에서의 지원도 적극적이고 소비자들의 호응도 좋았으나, 최근에 들어 활성화의 속도가 둔화되면서 도시 5일장의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의 주도로 시작된 5일장이므로 정부의 적극적인 추진하에 풍물시장 번영회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쌍다리 풍물시장의 5일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도시 5일장의 개념을 ${\ulcorner}$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전통문화(향토문화)를 유지하고 시민들의 정서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여가공간 조성${\lrcorner}$으로 규정해야 한다. 이러한 개념 하에 5일장의 주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시청 지역경제과를 중심으로 지자제의 실시에 발맞춰 지역특색에 맞게 5일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학을 수립해야 한다. 서울대형백화점인 롯데 슈퍼백화점이 송파 큰장터나 그랜드 백화점의 향토물산전의 성공은 도시 5일장의 활성화 가능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Design Application for Signboard Arrangement of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전주한옥마을 간판정비를 위한 디자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 Hyoung, Sung-Eun;Hong, Jung-Pyo;Chung, Sung-Wh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4
    • /
    • pp.461-470
    • /
    • 2009
  •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based on signboard arrangement works in order to foste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a main city of traditional culture. Overall composition has been suggested based on basic direction of signboard design in order to ensure design standardization method and utilization and right installation of various signboards. Enquete had been progressed by dividing into three area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mobility and regulation/range of signboard with taking 600 number of persons from Jeonju citizens, outsiders and resident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targets. Based on above result, design concept and detailed sign application method had been defined and pictogram and signboard installation method of Korean style house was suggested. As fo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regulations of signboard arrangement, cooperative method among Jeonju City, publicity company, deliberation committee and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 were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had summarized the project progress of signboard design fo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so that it may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nsuring that this village would be developed as a region where tradition and history will be well conserved in the future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