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문화유산

Search Result 38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Value of Cultural Heritage and its Role for the Culture-Creative Industries (문화창의산업에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 Jang, Ho-su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8 no.2
    • /
    • pp.82-95
    • /
    • 2015
  • Cultural heritage contains traditional values and we have to conserve its intrinsic value. But in the other hands it is argued that it's no need to preserve heritage for its own sake, and nowadays we appreciate that active use of heritage is enhancing its value and making position secure in its society. It will need not only to protect heritage, but also to ensure its use, and its economic value are harnessed to the benefit of local communities. We are going to enter upon experience economy through information society and to have a creative economy policy discourse. The effects of globalisation on societies are manifested in the attrition of their values, identities of vernacular heritage. Therefor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heritage must be examined. In this article I suggest the methodologies of vitalizing cultural heritage based creative industries, especially through making the creative ecosystem and optimising the performance of the cultural heritage based cluster.

Development of Virtual 3D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Culture Archetype of BanChaDo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 개발)

  • Kim, Hye-Weon;Kim, Eun-Ji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67-37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료 검증을 바탕으로 반차도의 문화원형(文和元型, Culture Archetype) 가상복원을 통한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반차도란 의궤에 담긴, 조선 시대 왕실의 행차를 그린 그림을 의미한다. 조선의 왕실문화를 활용한 궁궐콘텐츠는 한국 고유의 것이며, 스토리텔링이 풍부한 반차도를 활용한다면 국민의 전통문화 향유를 증대시킬 수 있다. 현대에서는 재현행사를 통해 왕실의 행차를 재현하고 있지만, 실내에서는 재현하기 어려워 왕실 행차에 대한 문화유산 접근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닷컴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제공하는 반차도 관련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반차도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므로 심도 있는 반차도 학습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료 고증 메타데이터에 기반을 두어 문화원형 가상복원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문화원형 가상복원을 위한 3D 증강현실 콘텐츠의 활용 가능 모습을 살펴보고, 기록유산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를 제안하다.

  • PDF

Implications of the Transition into National Heritage System and the Enact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국가유산 체계전환 및 전통조경 법제화의 함의)

  • Hwang, Kwon-S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1-12
    • /
    • 2023
  • After 60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Korea's national system of protecting what has been value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National Heritage System'. To meet the new system, the classification of national heritage has been re-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 cultural heritage, natural heritage, and intangible heritage. In accordance with the sub-classification, acts for cultural heritage act and intangible heritage has been amended and act for natural heritage has been enacted. Act for natural heritage defines natural heritage as natural objects or cultural heritage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ub-classification are categorized as follows; animal, plant, geological and natural reserves, natural landscapes, historical-cultural landscapes, and mixed landscapes. It also allows creating traditional landscapes so that traditional way of landscaping can be encouraged and integrated with modern life within historic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new concept of traditional landscaping, existing practices will be also needed to be changed. Traditional landscaping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setting out the new administrative paradigm which focuses on more value preservation. This paper recommends that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experts of traditional landscaping, and owners should be established to integrate the new policy in practice.

A Proposal of VST-HMD based XR Experience Framework for Immersive Cultural Heritage Site Education (몰입형 문화유산 현장 교육을 위한 VST-HMD 기반 XR 체험 프레임워크 제안)

  • Kwon, Oh-Ya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97-40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의 몰입형 교육을 위한 VST(Video See-through) 방식의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 XR(eXtended Reality)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매장문화재적 요소가 강한 문화유산 현장의 경우 실물이 남아있지 않아 교육 및 체험 측면에서 흥미로운 정보 전달이 어렵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중적인 확산에 따라 이를 이용해 문화유산 현장에 소실된 문화유산을 AR(Augmented Reality)로 복원 및 시각화하거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나아가 OST(Optical See-through) 방식의 안경형 AR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사례들도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몰입감과 사용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보였으며, 단순히 소실된 문화유산의 복원된 모습을 정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에 그쳐 문화유산 현장에 내재된 동적인 역사 스토리를 재현한다는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 VST-HMD를 이용하여 AR 기반의 정적 문화유산 시각화뿐만 아니라 VR(Virtual Reality) 기반의 동적 역사 스토리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XR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더욱 몰입감 있고 만족스러운 문화유산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