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과 근대

Search Result 28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njoyment Methods of Traditional Theater Performances in the Early 20th Century (20세기초 극장무대 전통공연물의 향유방식)

  • Jeong, Choong-Kwon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 /
    • no.38
    • /
    • pp.103-138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n succession, trans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enjoyment methods of classical literature (art)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methods that appeared when the performances of the traditional era began to be displayed on the stage of the theaters in modern Seoul. The clues to the reasons for this type of enjoyment can be found in newspapers, magazine articles, and advertisement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e emergence of stage theaters at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caused a sweeping change in the performance environment, including the fact that it was possible for all kinds of people to enjoy art beyond the existing socioeconomic hierarchies or barriers of status, that the performers were given employment through the theater, and that the audience had the tendency of the general public of an unspecified number because the audience was able to see the performances only by paying the viewing fee. The way of enjoying traditional performances also changed based on these new adaptations: the performances were sequential, show-oriented, and re-contextualized as public performances. It is significant that in the traditional era, performers and audiences had been segregated according to their status and a strict hierarchy; now, such cultural norms were breaking down in favor of a kind of equalit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for the audience to experience sensory enjoyment, and theater brought about a new kind of popular consumer enjoyment of an artistic product. Of course, though, it is possible to look back and find problems related to the contemporary context, but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which were the main performances for the lower class, took the first place on the modern theater stage, and as a result, no one can deny that it became possible to move forward in the first phase of an era of public performance.

Meritocracy and Democracy: in the Context of Confucian Modernity (메리토크라시와 민주주의: 유교적 근대성의 맥락에서)

  • Chang, Eun-Joo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119
    • /
    • pp.1-33
    • /
    • 2017
  • This article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meritocracy and democracy in the context of South-Korea's confucian modernity. It starts with the confirmation that South-Korea's confucian-meritocratic tradi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democracy, in similar way as in the western countries where meritocracy was as a basis for democracy evaluated. But meritocracy has not always the positive implication for democracy. This article shows that meritocracy is in its essence 'an ideology of the betrayal' which destroy the basis of democracy through producing and justifying extreme socio-economic inequalities between citizens. But the long confucian-meritocratic tradition of East Asia makes meritocracy ideology attractive for the people, so even the temptation of the 'political meritocracy' is strong, as we see in Singapore and China.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litical meritocracy cannot be the alternative of democracy, seeks the different way to overcome the crisis of democracy than meritocracy indicate. Finally, it discusses shortly which implications this sort of relation between meritocracy and democracy for the future of South-Korean democracy can have.

한국근대미술의 인상파 도입과정과 아카데미즘 형성에 관하여

  • Im, Chang-Seop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9
    • /
    • pp.89-115
    • /
    • 2006
  • 한국근대미술은 유화 도입기인 1910년대를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시작점이다. 1910년경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유화 도입배경과 그것이 당시 사회의 절실한 요청에 의한 것이었는지, 그렇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 한국근대미술 초기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일본근대 유화의 역사는 국수주의와 서구주의 물결이 반복하는 과정에서 점차 일본화된 소재의 등장과 일본정서에 부합하는 화풍을 만들어 나가게 되는 것이 1890년대부터 1910때까지의 일본근대 유화계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를 다시 요약하면 외광파와 인상파가 절충된 양식에 일본의 메이지낭만주의에 부합하는 소재 즉 일본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풍경에 대한 애착 등이 전체 유화의 기류로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새로운 문화의 하나였던 유화는 점차 세계의 다양한 미술사조 속에서 일본화다운 것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구로다 세이키'(黑田淸輝) 이전에 이미 형성되었던 일본근대 유화양식과 구로다의 외광파 양식, 또 외광파가 일본 근대유화의 주류로 형성하게 되는 계기, 여기에 프랑스에서 직접 배워 온 작가들에 의한 인상파 도입 그리고 일본 '메이지낭만주의'(明治浪漫主義)의 등장으로 인한 사회 환경구조의 변화 속에서 양성된 그들의 절충양식의 초기유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근대미술은 '민족적 자부심'과 '민족적 열등감'이 동시에 존재하는 사회적 배경논리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근대미술의 사상적 배경에는 민족 개량주의적 발상과 계몽주의적 문화 활동에 있었다고 할지라도 근본적으로는 미술자체를 근대사회 발전의 연장선 속에서 파악하지 못했고, 따라서 미술자체를 새로운 문명수입이라는 근대적 풍물 정도로만 파악했던 것이 어쩔 수 없는 근대미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미술을 주목한 이유는 근대적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하나의 필수적인 요소로 미술자체를 파악하고 나아가, 식산흥업(殖産興業)의 수단으로 인식 했던 신지식층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명의 발달이 미술의 발달에서 연원한다는 '미술문명론' 같은 시각이 미술자체가 성격이나 창작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어떤 미술이든 그것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근대 즉 문명화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아카데미즘 역시 일본근대미술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초기유학생들은 그 당시 일본의 잡지나 화단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시안들을 피상적으로 이해하는 정도였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초기유학생들의 작품과 그 이후 선전에서 입선하는 작품들은 일본아카데미즘의 영향 밑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일본 근대 유화에서 형성된 외광파의 요소와 인상파 요소들이 일본 낭만주의로 표면화된 하나의 일본근대 유화의 형식 그대로가 한국아카데미즘의 성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922년에 시작된 선전은 심사위원 대부분이 동경미술학교 교수이면서 구로다의 제자이거나 동료였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더욱 확고하게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초기유학생들이 남긴 작품들은 완전한 인상파에 대한 지식이나 깊은 자아의식을 가지고 제작된 것은 아니라,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었던 것들을 그대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그림은 구로다의 외광파라고 부르는 것들의 영향보다는, 인상파를 보고 배웠던 동경미술학교 교수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영향은 그대로 한국 근대미술의 아카데미즘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 PDF

Feature of East Asian Modern Comics (동아시아 근대만화의 특징)

  • Yoon, Ki-Heon;Kwon, Ki-D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0
    • /
    • pp.152-160
    • /
    • 2010
  • Modern comics find their roots in caricatures, which have a basic element of comics as a combination of wrings and drawings.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 new media, comics have been developed by joining modern arts and cartoons which is a news form of western comics. As modern comics have evolved according to situations of the three countries, they expand from the satire on the system, foreign invasions, and internal corruption to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However, the criticism on the system lead to the oppression, and the imperialism in East Asian countries enforce the agitation, war engagement, propaganda of the colonialism on the comics. Current East Asian comics have been occupying the largest part in the world comics, and have their roots in the modern comics. So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East Asian comics.

A Study on Eclecticism of Newport Mansions in Rhode Island (미국 로드아일랜드 뉴포트 맨션의 절충주의에 관한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37-40
    • /
    • 2009
  • 미국 뉴포트의 주택들은 20세기를 전후로 하는 시기에 당시 최상류층의 휴양용 저택들로서, 미국의 절충주의 건축을 대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 주택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유럽의 건축적 전통과 영향을 절충주의적 철학에 따라 자신들의 형식으로 완성한 양식상의 전개를 살펴보고자 한다. 단순히 외국의 건축으로서 보다는 전통적 건축보다 외국의 영향에 의한 근대건축 문화를 이룩한, 우리나라의 건축 양식적 문제를 상호 비교하여 살펴보는 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A Study on Tradition Discourse in Korean Modern Drama between 1894 and 1910 (근대계몽기 한국연극사의 전통담론 연구 II)

  • Paek, Hyun-Mi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18
    • /
    • pp.347-377
    • /
    • 2009
  • This paper examines the tradition discourses in Korean modern drama of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It focuses particularly on how key intellectuals differentiated the definition and interpreted 'Theater-Improvement' while they insisted on improving traditional performance. Tradition discourse focused on how to improve its contents of performances. There were three categories in discussion. First, Confucian intelligent insisted that traditional performance should be discarded, because it led to customs disorder among the public. Second, patriotic and progressive intellectuals led by Sin Chae-Ho(신채호) and Bak Yen-Sik(박은식), preferred the reformed content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 dealing with historical heroes. in order to stimulate patriotism in the Korean. Third, Lee In-Jik(이인직) who had worked at a popular newspaper company in Japan tried to make 'New Theater' criticizing decayed officials and the stupid nation. He did not concern about the colonialism of Japan.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in Korean modern drama history, tradition discourses faced different directions, dependent on their political positions, familiar foreign cultures, and their view on traditional cul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