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체집단 논의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Factor Affecting Intention to Carrying Mobile Device and User Segmentation Based on Those Factors: Focused on User of Cellular Phones, Laptop Computer, and PDAs. (모바일 기기 휴대 의도 기준의 사용자 집단 세분화 및 집단별 특성 분석: 휴대전화, 랩탑 컴퓨터, PDA사용자를 중심으로)

  • Hwang Yong-Eun;Seo Hy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7-44
    • /
    • 2006
  • 본 연구는 모바일기기 사용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사용자들의 모바일기기 휴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기준으로 사용자들을 세분화 하였다. 선행문헌연구를 통해 휴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유용성, 즐거움, 불안감과 사회적 영향인 주관적 규범, 가시성, 이미지, 자발성 등을 도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휴대폰이나 노트북, PDA등을 소유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휴대의도의 영향변수 분석결과 불안감과 주관적 규범이 휴대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기준변수로 군집분석을 통해 전체 표본을 네 집단으로 세분화 하였다. 세분화 결과 군집 1은 주관적 규범만이 영향을 미치는 집단으로 전체응답의 36.25%를 차지하고 있으며, 군집 2는 불안감만이 영향을 미치는 집단으로 전체 응답의 13.44%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3은 불안감과 주관적 규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집단으로서 전체 응답에서 19.06%를 차지하고 마지막으로 군집 4는 불안감과 주관적 규범 모두 영향을 미치는 집단으로 전체응답의 31.25%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 박진아;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31-13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에 적절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하기 위하여, 맞춤화 정도를 달리한 두 가지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종래의 대량 생산형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이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맞춤화가 가장 심화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에서의 디자인 만족도가 높았으므로, 의류 제품에 있어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 요소별 선호도를 분석해 본 결과,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색채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소비자에게 색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집단으로 선정한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전체 응답자 집단에 비하여 소재 변수를 의미 있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 집단과 연구집단의 경우 모두 스타일이 가장 중요하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대량 맞춤화형 의류 제품의 수용 가능성과 이에 적합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 PDF

20대 남성의 피하지방 분포경향에 관한 연구

  • 김기엽;박명애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97-105
    • /
    • 1997
  •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신체의 활동량 감소, 과잉 영양공급으로 체중이 증가하여 체형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형을 변화시키는 여러 요인 중에서 피하지방으로 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초음파 피하지망 계측기를 사용하여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19 .approx. 24세를 집단1, 25 .approx. 28세를 집단2로하여 각 집단간의 피하지방 분포경향과 각 집단간의 피하지방 계측피를 요인분석하여 남성복 의복제작 및 현대남성의 올바른 체형해석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피하지방이 침착하기 쉬운 부위는 허리앞1/2과 배앞 1/2로 나타 났고, 피하지방이 침착하기 어려운 부위는 하퇴전면으로 나타났다. 피하지방두께 계측에서 집단간 유의 차 검증결과 20대 후반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작은 폭으로 지방침착이 일어났다. 집단1의 요인분석 결과 요인1은 허리부위, 요인2는 체간부1/2과 체간부 측면부위로 나타났다. 집단2의 요인분석결과 요인 1은 윗가슴부위와 허리부위, 요인2는 전체적부위로 나타났다. 전체집단에서는 요인분석결과 요인1은 상 지, 하지부위, 요인2는 허리부위로 나타났다. 연령의 증가와 함께 피하지방 침착이 체간부 하부인 허리 와 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netic Variation in the Natural Populations of Abies holophylla Max. Based on RAPD Analysis (RAPD 분석(分析)에 의한 전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유전변이(遺傳變異))

  • Kim, In Sik;Hyun, Jung O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8 no.3
    • /
    • pp.408-418
    • /
    • 1999
  • On the basin of RAPD analysis,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natural populations of Abies holophylla was estimated by AMOVA procedure. The average value of percent of polymorphic markers was 71.9%. Most variation existed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80.2%).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Phi}_{ST}$) was 0.198. When the populations were grouped as two region(i.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egions), 8.5% of the total genetic variation was explained as regional differences. The heterogeneity of molecular variance among populations was investigated with Bartlett's test, which revealed that populations of Mt. Taebaek and Mt. Gariwang were more heterogeneous. Generally, the populations of Taebaek Mountain Reion were more heterogeneous than those of Sobaek Mountain Reion. Finally, the applicability of AMOVA to the populations frenetic study was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other measures of genetic differentiation which were widely used.

  • PDF

Studying the Genetic Diversity and Phenetic Relationships of Porphyra yezoensis Populations in Korea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RAPD를 이용한 한국 김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과 표현형 관계)

  • Kim, Young-Mog;Eom, Sung-Hwan;Huh, Man K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2
    • /
    • pp.152-157
    • /
    • 2019
  • Porphyra yezoensis is a red algal species in the genus Porphyra. The phene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four populations of P. yezoensis in Korea were reconstructed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Overall, 55 fragments were generated among the tested P. yezoensis array with 20 OPERON primers. A total of 30(54.5%) of these bands were polymorphic. The OPA-18-02 band was amplified in the samples of Nakdong population and absent in them of other three populations. The OPA-20-02 band was only amplified in the Seocheon population. Both bands exhibited distinctive patterns in specific populations. The effectiv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e) ranged from 1.161 to 1.293 with a mean of 1.366. The Seocheon population had a high expected diversity (0.163). The Nakdong population was an isolated endemic and intertidal zone. Thus the narrow distributed Nakdong population had a low expected diversity (0.092). Shannon's index of phenotypic diversity (I) of the Seocheon population (0.238) was the highest among all populations. Total genetic diversity ($H_T$) varied between 0.132 for OPA-02 and 0.420 for OPA-19. The interlocus variation of genetic diversity ($H_S$) was 0.059 for OPA-18 and 0.339 for OPA-19. On a per locus basis, the proportion of total genetic variation due to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G_{ST}$) ranged from 0.012 for OPA-11 to 0.762 for OPA-18 with a mean of 0.415, indicating that 42% of the total variation was found among these populations. In an assessment of the proportion of diversity present within this species, 58.5% (100%-41.5%) of genetic variation resided within the populations studied. The Nm was estimated to be low (0.705).

The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 Behavior on Group Performance and Group Innovation Behavior: An Investigation of a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of their Leader (카리스마적 리더행동이 집단성과와 집단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자발적 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 Lee, Sang-Hoon;Kim, Kyoung-Su;Cho, Yong-Hyeo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9 no.3
    • /
    • pp.13-26
    • /
    • 2021
  • This study suggested and investigated a charismatic leadership at the group level. Data from 463 in 86 groups showed that charismatic leadership was valid at the group level. We found that charismatic leader behavior positively affected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of their leader at the group level. In addition we found that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of their leader positively affected group performance and innovation behavior at the group level. We also found that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of their leade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ismatic leadership and group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ismatic leadership and group's innovation behavior based on group level of analysis. In conclusion sec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as discussed from a theoretical and a practical perspectives and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Acoustic radiation from a line array of bubbles in water (수중 공기방울의 선형 배열에 의한 음향 방출 특성)

  • 최복경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181-185
    • /
    • 1993
  • 물 속에 만들어진 공기방울들은 각자 자신의 반지름에 반비례하는 공진주파수로 음파를 방출하며, 많은 공기방울들이 모인 공기방울 집단은 집단의 전체 크기에 반비례하는 집단 공진주파수를 가진다는 현상이 그동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수십, 수백 개의 유한한 개수를 가진 공기방울들의 음파방출 주파수 특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 일차원 배열의 공기방울들을 발생시켜 공기방울들에서 나오는 음파방출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수중에 형성된 공기방울들은 그들 간에 거리 간격이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기방울들 간의 상호작용이 변화한다고 간주한 유효 결합 조화진동자 모형을 새로이 만들어 해석하였으며, 실험값과 좋은 이치를 보여주었다.

  • PDF

A Two-Phase Parallel Genetic Algorithm (2-단계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

  • 길원배;이승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0-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의 새로운 병렬화 방법을 제안 하고 있다. 기존의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Parallel Genetic Algorithm: PGA)은 전체 개체집단을 부개체집단 (Subpopulation)으로 나누어 해의 가능 영역을 동시에 탐색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데 반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병렬화 방법은 전체 해의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서 독립된 개체집단들이 서로 다른 영역을 탐색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두 가지 단계의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먼저 적응교배 연산자(Adaptive Crossover Operator: ACO)를 이용한 PGA를 통해 지역해에 인접한 범위들로 해의 영역을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각각의 영역들에서 다시 병렬로 GA를 적용시켜 자세하게 탐색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수행되는 PGA 단계에서는 탐색 시간을 줄이고 두 번째 PGA 단계에서는 보다 자세한 탐색을 하기 위해 정밀도(Precision)의 조정을 유전자 알고리즘의 병렬화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빠르고 자세한 탐색이 가능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병렬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Usage of Multimedia for elementary students music composition and analysis of their achievement (초등 음악과 창작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과 학업성취도 분석, 비교 연구)

  • 박흥복;윤기천;한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12-415
    • /
    • 2001
  • 본 연구는 초등 음악과 창작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과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활용 집단과 전통적인 수업 집단으로 구분하여 극용하고 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멀티미디어 활용은 Noteworthy 1.70b를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장전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며,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로는 멀티미디어 활용 집단의 학업 성취도가 전통 수업 집단의 성취도보다 높을 것이라고 설정하였고, 결과 분석은 SAS(통계분석프로그램)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은 학습 집단 전체에 대한 학업 성취도를 균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The Evaluation of a Cooperation with computer which affects to the achievement degree for studying (컴퓨터를 활용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 Cho, Youn-Hee;Lee, Yu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96-1399
    • /
    • 2007
  • 컴퓨터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컴퓨터 보유 가정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이 늘어나고, 활용분야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과거의 교수-학습 방법과는 달리 최근에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E-러닝, ICT, 컴퓨터 활용, 인터넷 등을 접목하여 학생들의 협동심과 책임감을 요하는 협동학습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런데, 협동학습의 집단은 크게 인문계열, 실업계열 고등학생 집단과 중학생 집단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하는 정도와 이용시간 등을 학습에 얼마만큼 도움이 되는지 분석하고, 계열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학생들의 집단에서 개인의 적극성과 참여정도에 대한 영향이 집단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들의 성적차이의 관점을 분석하고,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주변 환경에 따른 영향력의 정도, 협동학습의 결과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