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주시

Search Result 4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Design Application for Signboard Arrangement of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전주한옥마을 간판정비를 위한 디자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 Hyoung, Sung-Eun;Hong, Jung-Pyo;Chung, Sung-Wh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4
    • /
    • pp.461-470
    • /
    • 2009
  •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based on signboard arrangement works in order to foste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a main city of traditional culture. Overall composition has been suggested based on basic direction of signboard design in order to ensure design standardization method and utilization and right installation of various signboards. Enquete had been progressed by dividing into three area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mobility and regulation/range of signboard with taking 600 number of persons from Jeonju citizens, outsiders and resident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targets. Based on above result, design concept and detailed sign application method had been defined and pictogram and signboard installation method of Korean style house was suggested. As fo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regulations of signboard arrangement, cooperative method among Jeonju City, publicity company, deliberation committee and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 were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had summarized the project progress of signboard design fo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so that it may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nsuring that this village would be developed as a region where tradition and history will be well conserved in the future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 PDF

The Effect of Mirroring Environment on the Attitude of Client in Counselling (상담 시 거울 환경이 내담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Kim, Mi-So;Seo, Seon-Yeong;Lee, Eun-Sol;Jeon, Na-Hyeon;Jo, A-Hae;Kim, Eun-J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6
    • /
    • pp.427-43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mirror environment influences the attitude of the client when counselling. A group of 16 experimenters, 16 controls, a group with a mirror environment, and 32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ventional mirror environment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 - alienation' factor of the Authentic Scale(A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rovided the mirror environ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SD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esence of the mirror environment affects the client 's authentic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of the factors of the Authentic Scale.

A Study on Environment of Daldongnae and Regeneration in Jeonju - Focused on the Jaman-maeul area in Jeonju City - (전북 전주시 달동네 환경 분석과 마을 가꾸기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북 전주시 교동 자만마을을 중심으로 -)

  • Lee, S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5 no.3
    • /
    • pp.41-48
    • /
    • 2013
  •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Daldongnae (hillside shantytown) in Jaman-dong, Jeonju, and to propose the countermeasures for village regeneration. Based on the survey of current conditions in the area and the case study of successful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suggests regenerating concepts for the community.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alyzes that Jaman-dong is faced with the population decline, especially among the young, the lack of communit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and the unfavorable situation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case study involves three successful Daldongnae regeneration projects: the culture-based regeneration of Cultural Village (in Gamcheon-dong, Busan), the regeneration focused on healthcare and education of Ibagugil (in Choryang-dong, Busan), and the community-led regeneration of Rainbow Village (in Dae-dong, Daejeon). The regenerating concepts for the community are as follows: utilizing the existing local community center as a gathering place for the residents, furnishing a cultural space for a growing number of visitors, adding new parking space, installing convenient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etter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improving street landscapes, and establishing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Acoustic Properties of the Jeonju World Cup Stadium (전주월드컵 경기장의 음향특성 평가)

  • Yeon Chul-Ho;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95-500
    • /
    • 2002
  • 전주월드컵 경기장은 Fully Digital sidelobe-free array 방식의 음향시스템을 도입한 유일한 경기장으로서 대규모 경기장에 Line Array type의 스피커를 사용한 최초의 예가 된다. 현장음향실험을 통하여 경기장의 주요 음향 파라미터인 음압레벨(SPL), 잔향시간(RT), 음성명료도(D50), 음성이해도(RASTI) 등을 측정함으로 전주월드컵 경기장의 음향시스템의 특성과 종합적인 음향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주음원(Messenger)만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음압레벨(SPL)은 관중석의 객석간 위치별 음압레벨 표준편차가 약 2.78dB로 나타났다. 이 값은 당초의 음압레벨분포편차의 목표치인 ${\pm}3dB$의 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음압레벨은 평균 100.1dB로 목표치인 96dB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향시간(RT)은 공석시 전체 관중석 평균 2.94초로 나타났으며, 1000Hz에서의 평균 잔향시간은 2.58초로 나타났다. 잔향시간은 실제 경기장의 사용 시 약 0.3-0.4초의 감소가 발생되리라 판단된다. 음성명료도(D50)는 전체 관중석 평균 $56.2\%$로 매우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고 음성이해도(RASTI)는 전체 관중석 평균 0.63으로 목표치인 0.5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현장음향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주월드컵 경기장의 음향성공은 음향설계 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야외 경기장 같은 대형공간에서의 음향시스템에 있어서 Fully Digital sidelobe-free array 방식의 음향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Development of Urban Community (도시개발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신축부지선정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

  • Choi, He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1 s.55
    • /
    • pp.145-166
    • /
    • 2005
  •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of site selection for constructing new public library by development of urba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These are legal aspec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of selecting conditions of location for new building. In order to select the suitable site in the Jeon Ju City, the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indices with regard to inform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of the local residents and a statistical data was investigated. And also, a user question investigation was executed. The vision and objectives of establishing new pubic librar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the library policy maker to develope the library policy and to secure a budget from the regional government.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정과정의 비교 분석: 민·관 정책중개자를 중심으로

  • Lee, Dan-Bi;Gu, Min-Gy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8 no.3
    • /
    • pp.413-436
    • /
    • 2014
  • 본 논문은 청주·청원과 전주·완주의 행정구역 통합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2009년 두 지역의 통합은 모두 무산되었다. 그러나 2010년부터 이루어진 재시도에서 청주·청원은 통합에 성공한 반면 전주·완주의 통합은 또다시 무산되었다. 행정구역 통합을 설명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구조 및 환경 등 외생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어 역사적 배경, 지리적 조건, 통합의 시기 등에서 여러 유사점이 있는 두 지역의 비교연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특히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과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로 정책중개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인 통합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통합절차를 5단계로 나누어 그 충족 정도를 분석하였다. 정책중개자는 그 정책선호와 지위를 기준으로 (1)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 (2)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3)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4) 선호 없음의 네 가지 역할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1기(2009년~2010년)에는 두 지역 모두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가 나타났다. 그 결과 전주·완주에서는 여론조사에서, 청주·청원에서는 의회의결단계에서 그 통합시도가 무산되었다. 제2기(2010년~2013년)에는 전주·완주에서는 정책중개자 유형이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유형으로 바뀌어 주민투표단계까지 도달하는 데 그쳤으나, 청주·청원에서는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로 바뀌어 최종 통합시 설치법 단계까지 도달해 통합이 완성되었다.

A Total Life Cycle Process for Post Catch up R&D Methodology (탈추격형 연구방법으로서 R&D 전주기 프로세스)

  • Park,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5
    • /
    • pp.184-197
    • /
    • 2013
  • 본고에서는 탈추격형 연구방법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R&D 전주기 프로세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의 개념 정립에 필요한 R&D 관련 기본 개념들과 과거 추격형 R&D의 연구방법론으로 활용되었던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를 소개하였다. 향후 새롭게 정립되어야 할 탈추격형 R&D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특성으로써 기술의 아이디어 생성부터 시장에서 활용되는 기술 수명 전주기에 걸쳐 프로세스 활동을 정립하였다. 또한 연구개발 기획 시부터 산업화에 이르는 R&D 전주기 프로세스에서 강점과 약점을 비교하여 탈추격형 R&D에서 특히 보강되어야 할 주요 활동과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에서의 수행해야 할 주요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탈추격형 R&D를 실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써 적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Electric Pole Positioning System use for Constructing Power Distribution GIS Data Base (배전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시 전주 Positioning 기법 연구개발)

  • 이봉재;송재주;신진호;한칠성;조선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37-639
    • /
    • 2001
  • 한전에서는 판매업무의 혁신을 기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운영기반으로 하는 신배전정보시스템(NDIS : 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구축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현재 일부 지사.지점에서 시범운영중에 있으며, 향후 적극적인 운영확산이 예정되어 있다. NDIS에서는 국가기본도를 GIS의 기초도면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DB구축시 기존 설비 도면과의 상대위치오차가 발생되고, 설비가 누락 또는 오분류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이를 보정하는데 많은 노력이 드는 실정이다. 국가기본도 사용을 전제할 때 이러한 문제점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며, 한전에서는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배전설비에서 위치의 기준이 되는 전주를 중심으로 기초도면 변경에 다른 적정 전주위치 Positioning 기법연구와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한전에서의 전주위치 Positioning 적용환경과 함께 연구개발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for Life Cycle Assessment(LCA) of Hybrid TTX carbody with Composites (하이브리드 복합재 차체 틸팅차량에 대한 전주기 평가(LCA) 연구)

  • Lee Sang-Jin;Jeong Jong-Cheol;Cho Se-Hyun;Kim Jung-Suk;Seo Soung-il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03-1108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형 틸팅 차량의 복합재 적용 차체에 대한 비용 모델링과 전주기 평가(LCA)를 수행하였다. 원자재 생산에서 차체 제작, 수명이 끝나는 시점까지의 사용에 대한 모든 단계에서의 비용을 분석했다. 5년 동안 년간 90대의 생산량에 대한 금속 차체, 2종의 복합재 차체에 대해 비교하였다. 2종의 복합재 차체는 하이브리드 스틸-복합재 구조와 전체 복합재 차체를 나타낸다. 또한, 이 두 경우 모두에 대해 오토클레이브, 진공 성형, 레진 인퓨젼 공법의 성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작시의 모든 성형 공법에 대해 하이브리드 차체는 전체 복합재 차체 보다 $4\~6\%$ 비용이 낮았다. 전체 복합재 차체의 경우, 레진 인퓨젼의 경우가 오토클레이브에 대해서는 $11\%$ 낮은 가장 낮은 제작 비용이 소요되었다. 비용-전주기 분석을 통해 전체 복합재 차체는 가장 높은 제작비용이 소요되고 사회 경제학적 측면에서 전체 전주기 비용과 환경영향은 단순 차량 구입 비용보다 더 중요한 변수이며 전체 복합재 차체가 분명한 최적의 해답 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