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 피부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1초

선형 이온 소스 적용을 통한 폴리머 소재의 표면구조 제어 (The surface morphology control of the polymeric material using a linear ion source)

  • 신민호;김병준;박영배;김도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1.2-141.2
    • /
    • 2016
  • 디스플레이, 센서 등 전자소자는 소형화 단계를 지나 인체 부착형 소자로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인체 부착을 위해서는 민감한 피부에 장시간 부착시 무해성과 탈부착의 자유로움이 요구되기에 기존의 화학물질을 활용한 접착 방식에서 개코도마뱀 또는 딱정벌레 발바닥에서 영감을 얻은 자연모사형 건식 접착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폴리머를 이용하여 자연모사형 마이크로/나노구조 형성은 기계적으로 가공된 금형 몰딩과 후처리를 통한 매우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폴리머 소재에 플라즈마를 활용한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며, 건식 접착용 폴리머 소재(PMMA, PDMS)에 따른 표면구조 변화와 표면에너지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위해서 본 연구실에서 자체 개발한 선형이온소스를 활용하였으며 입사에너지, 노출시간, 사용가스에 따른 표면형상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처리조건에 따른 표면에너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물접촉각 변화를 측정하였다. PMMA는 입사에너지,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쉽게 나노기둥구조가 형성되었으나, 과도한 입사에너지 또는 노출시간에서는 표면구조가 에칭되면서 무너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PDMS는 동일한 조건에서 주름구조 형태를 보였으며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주름구조의 간격이 늘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나노 구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PMMA가 피부 부착형 접착 패치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피부치료기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Skin Treatment Unit using Low Temperature Plasma)

  • 송광현;고윤석;이우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427-1434
    • /
    • 2014
  • 의료기기중 체외에서 인체로 물리적 에너지를 가하거나 그 의료기기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인체의 화학적 변화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것은 고도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요구된다. 특히 인체의 모든 부분 중 가장 외부로 노출되어있는 피부에 대한 치료는 매우 중요 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피부 치료 시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위험 요소를 줄이고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은 높은 치료 효과와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 개발 (Development of a Personal Compound Stimulus Device for Skin-care)

  • 이전;김지현;정금희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9권1호
    • /
    • pp.12-19
    • /
    • 2012
  • 국내외적으로 경제수준의 향상과 웰빙 트렌트로 인해 피부미용기기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형기기 및 일부 보급된 개인용 피부미용기기와 차별화된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합자극의 종류로 한약재 추출액의 생화학 자극,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온열 자극, 다양한 피부미용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광 자극을 선택하였으며, 이들이 동시에 제공 가능하도록 복합자극부 구조를 설계하였다. 생화학 자극은 탈지면 패드에 함유된 한약재혼합추출물이 온열에 의해 기화됨으로써 피부에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온열자극은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를 통해, 그리고 광자극은 850nm 파장을 갖는 고출력 근적외선 LED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의 보완 및 성능평가를 위하여 온열자극부 및 광 자극부를 테스트하였다. 온열자극의 경우 목표온도 도달시간, 제어 오차가 각 2분 이내, ${\pm}1.5^{\circ}C$ 이내로 적절히 동작하였으며, 광 자극의 경우 근적외선 LED와 발열체가 결합된 구조로 인해 정상 동작범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확인되어 방열체 제작 추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C2C12 mouse myoblast을 대상으로 한약재 자극을 제외한 복합자극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RT-PCR분석 결과 $37^{\circ}C$ 온열자극과 광 자극의 복합자극을 인가한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collagen I mRNA 발현량이 4.9배, collagen III mRNA 발현량이 1.3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신 피부 전자선 조사(TSEB)시 두정부(Vertex)에서의 선량 변화 평가 (Evaluation of dose variation at the vertex during Total Skin Electron Beam)

  • Jeon Byeong-Chul;An Seung-Kwon;Lee Sang-Gyu;Kim Joo-Ho;Cho Kwang-Hwan;Cho Jung-Hee;Park Jae-Il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2-116
    • /
    • 2000
  • 목적 전신피부 전자선 치료시 두정부의 scalp는 항상 사방향으로 입사된다. 본 연구는 두정부에서의 선량균등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본원에서 자체 제작한 전자선 반사체(electron reflector)를 두정부의 scalp 위치에 놓아 반사되는 전자선을 이용하여 선량변화를 조사하고 전자선 반사체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두정부에서의 선량측정은 6MeV 전자선을 이용한 전리조(ion-chamber)와 열형광선량계(TLD)를 사용하였고, 산란되는 전자선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자체 제작한 $40{\times}40cm^2$, 1 mm 두께의 전자선 반사체를 팬톰위에 위치시켜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두정부에서의 표면선량은 전자선 반사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37.8\%$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반사체를 사용하였을 때는 $62.2\%$의 선량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전신피부전자선조사는 두정부에서의 under-dose를 확인할 수 있었고, 본원에서 자체 제작한 전자선 반사체 사용시 두정부에서의 선량 균등성이 향상되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치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자선에너지에 따른 치료보조기구의 표면선량 평가 (Evaluating Surface dose of Treatment Immobiliz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ir Electron Energy)

  • 박철우;임인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60-363
    • /
    • 2010
  • 본 연구는 방사선치료 시 환자 체위고정과 정확한 부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Themo-plastic, Vac-lock, Cotton, Plaster의 보조기구가 전자선 에너지의 변화에 따라 환자의 피부선량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방법으로는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전자선 6Mev, 9Mev, 12Mev, 15Mev의 에너지로 평행 평판형 전리함을 설치하고 선원에서 표면까지의 거리는 100cm, 조사야의 크기 $10cm{\times}10cm$, 입사각도 $0^{\circ}$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보조기구 종류에 따른 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매회 선량은 100MU를 조사하였고 측정값은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결과로서는 Vac-lock이 표면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순으로 Themo-plastic, Plaster, Cotton으로 나타났다.

자가방사법에 의한 올레산이 결합된 펩타이드의 피부침투 확인 (Autoradiographic Verification of Transdermal Penetration of Oleic Acid-conjugated Peptide Nanosomes)

  • 이경은;정민교;엄재훈;정세희;하권수;박정해;이진성;한성식;최면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185-191
    • /
    • 2010
  • Short 펩타이드는 약용화장품(cosmeceuticals)으로 가능성이 있지만, 펩타이드의 친수성 성질 때문에 피부를 통한 전달이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short 펩타이드를 약용화장품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통과할 수 있는 성질로 바꾸어야만 한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콜라겐 type I의 신호펩타이드로 작용할 수 있는 KTTKS의 5개 펩타이드에 양친매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올레산을 결합시켰고, 그 후 나노좀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좀은 동결투과전자현미경법을 이용하여 크기가 100에서 200 nm 사이의 리포좀의 형태임이 확인되었으며, 제타전위측정장치(ELS)를 통해 24주 동안 안정적인 크기를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제조된 나노좀을 피부에 바른 후 자가방사기록법(autoradiography)을 이용하여 피부에 침투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5개 펩타이드의 친수성 성질로 인하여 펩타이드만 피부에 도말하였을 때는 피부에 침투되지 않았으나, 펩타이드와 올레산을 결합하여 나노좀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피부의 진피층까지 잘 도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자가방사법이 피부를 통한 효과물질의 전달을 검증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임을 보여줌과 동시에 피부에 효과를 나타내는 친수성펩타이드의 피부를 통한 전달에 올레산 결합을 이용한 나노좀 형태가 효과적인 것을 보여주었다.

광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계측 (Sensing System of Biological Signal using Photo Sensor)

  • 김한일;반용준;강민우;이명섭;구경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전자세라믹 방전플라즈마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
    • /
    • pp.242-246
    • /
    • 2002
  • 인체의 손가락 끝에서 발생하는 맥의 파형과 온도, 피부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복합센서를 설계 제작하였다. 인체신호를 계측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손가락 끝의 맥 파형을 계측하고자 광센서를 활용하여 계측시스템을 구현하였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체온측정은 대략 $0.01^{\circ}C$의 분해능을 구현 할 수 있었고, 피부저항 측정은 최대 $5M{\Omega}$까지 측정 가능하고 최소분동은 $5k{\Omega}$ 정도이며, 맥박측정은 새롭게 포토센서를 적용하여 미소진동을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ICT기반의 피부 수분 및 자외선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밴드 및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A Implementation of Smart Band and Data Monitoring System available of Measuring Skin Moisture and UV based on ICT)

  • 정세훈;심춘보;유강수;소원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15-724
    • /
    • 2017
  • 현재 각종 스마트 기기가 발전되고 최근엔 인간의 신체에 부착되어 스마트 컴퓨팅이 가능한 Wearable Device 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환경적,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기미, 여드름, 아토피, 두피 트러블 등의 피부 질환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치료를 위한 개인의 의료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피부 미용과 관련된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높은 휴대성과 진단 정확성을 가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반의 스마트 헬스케어 이미징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oT를 기반으로 수분 및 UV 센서를 활용한 Wearable Device인 스마트 미밴드 H/W 및 센서정보 모니터링 S/W를 결합한 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피부학(Dermatology)을 위한 고해상도 초음파 진단 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gh resolution Ultrasound Diagnostic system for Dermatology)

  • 류점수;임춘성;김영길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6호
    • /
    • pp.66-71
    • /
    • 1998
  • 본 연구에서 피부계통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는 고해상도 영상진단기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영상진단기는 sector scanning 방식으로서 A-mode, B-mode, M-mode의 80${\mu}m$ 축방향, 250${\mu}m$ 축방향 해상도로 $5mm {\times} 5mm$의 인체 단면 영상을 초당 20frame으로 나타낸다. 이 영상장치는 대부분의 피부학(dermatology) 계통의 질환에 그 병리학적인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과(ophthalmology)나 치과(odontology) 계통의 병리학적인 판단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피부미용(dermato-cosmetology)을 위한 분야에도 응용 가능하다.

  • PDF

고전경락과의 부합율 향상을 위한 경혈자극방식의 개선 및 식별시스템의 설계 (Improvement of Stimulus Pattern and Design of Discrimination System for Coincident ratio Elevation with Traditional Meridians)

  • 이용흠;고수복;정동명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2-31
    • /
    • 2003
  • 한의학에서 진단과 치료의 기본 대상인 경혈?경락의 혈위 식별을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방식은 직류를 인체 피부에 자극하여 양도점을 식별하고 있다. 그러나 직류는 피부의 저항과 용량성으로 인한 시간에 따른 전류 감소현상을 나타내며, 이러한 시간적 감소현상은 경락진단의 변수로는 유의성을 가지나 식별율 및 부합율, 인체영향력, 재현성 등에서 식별데이터의 신뢰성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1.28V의 4kHz, 듀티비 40%의 구형파인 SPAC(Single Power Alternative Current) 자극방식의 최적 파라메터를 추출하였다. 또한 피부 상태에 관계없이 식별이 어려운 부위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피부 전류량의 절대값과 상대값을 동시에 표시하고, 측정 전류량을 그래프로 연속 표시하여 식별에 유리하도록 하였다. 추출된 최적파라메터와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스템을 구현하여 경혈자극 방식에 따른 식별율, 재현성, 인체영향력 및 고전 경혈점과의 부합율을 비교하여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