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 직접 이동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esign & Implementation of a Maze Game Using Vuforia Engine (Vuforia 엔진을 이용한 증강현실 미로 찾기 게임에 대한연구)

  • Lee, Ju-Young;Lee, Kyung-Su;Lee, Yoon-Won;Kang, DongByeong;Jeong, Gu-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79-8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퀄컴의 Vuforia 엔진을 이용한 증강현실 미로 찾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Vuforia 엔진은 증강 현실 엔진 중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져 다양한 마커를 활용할 수 있으며 속도, 마커 인식 면에서 다른 AR 엔진에 비해 뛰어나다. 본 논문에서는 Vuforia 엔진에 기반한 미로 찾기 앱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이미지 마커를 인식한 후, 스마트폰 화면에 3D 캐릭터와 미로를 출력해주도록 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을 기울여 캐릭터를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미로 찾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Vessel detection robot development for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cracks (균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선체 균열탐지 로봇 개발)

  • Park, Se-Yeon;Lee, Han-Byeol;Song, Yeon-Ju;Choi, Hun;Kim, Hy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96-999
    • /
    • 2020
  • 노후 선박의 증가로 선체 검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선체 벽면의 균열을 찾고 보수하는 작업은 위험성이 높고 효율성이 낮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체의 벽면에 진공 흡착하여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고 선체 벽면을 이동하면서 균열을 탐지하는 로봇을 개발하였다. 선체 균열탐지 로봇은 선체뿐만 아니라 사람이 직접 균열을 찾기 힘들거나 위험한 곳에 유용할 것이며 균열로 인한 선박 사고 발생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전자파에 대한 생체 반응

  • 박웅양;서정선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2 no.2
    • /
    • pp.62-70
    • /
    • 2001
  • 우리 나라 인구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수의 이동통신 전화가 사용되고 있다. 이동 전화 사용자의 수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며, 또한 이를 이용한 각종 정보의 교환이 늘어남으로써 개인당 사용량도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빈도의 증가와 더불어 이동전화에 의한 뇌종양, 유방암 및 기형 등 각종 인체 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전자파는 크게 이미 잘 알려진 전자기장이나 자외선, 방사선 등과 인체에 대한 효과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주파수 대역이 전혀 다르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의 크기만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외선이나 방사선처럼 전자파도 인체 질환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전자통신제품 사용의 증가에 따라 전자파에 대한 생체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사용에 따라 암발생이 증가하고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역학 및 생물학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 보다 더 많은 수의 논문들이 전자파와 종양 발생이 관련 없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란은 더 많은 연구와 토론이 필요할 것이다. 정확한 이동전화 주파수대역 전자파가 생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전자파 자체의 생물리학적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자파에 대한 인체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DNA나 단백질 같은 분자수준에서 세포나 실험동물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포 수준의 연구는 전자파와 한 종류의 세포의 관계를 직접 분석할 수 있다. 세포내에서 DNA나 단백질의 변화는 바로 조직 및 장기내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생체내에서는 하나의 세포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것보다 면역계, 신경계 및 순환계 등 타 장기나 세포의 영향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세포 수준에서 전자파만의 효과를 장기나 개체내에서 분석하는 전자파에 의한 종양발생 관계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자파 중에서 이동전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생체 연구는 많지 않으나 이들로부터 이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에 대한 생체 영향 평가 자료를 많이 모을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면 핸드폰과 전자파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수준에서 생체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전자파 노출에 대한 효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PDF

Geographical Mo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지역 산업수요와 지역이동 : 전문고 졸업생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 Kim, Kyung-Nyu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3 no.2
    • /
    • pp.53-89
    • /
    • 2010
  • Curricula relevant to labor market needs are often designed with the goals of individual employ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at the forefront.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regional scope by investigating the extent and determinants of the geographic mo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effects of that mobility on first-job wage rates. Geographic mobility was defined as being employed in other provinces in which vocational schools were located. About 38% of graduates were employed in other provinces. Geographic mobi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gender and human capital such as health, course of study, vocational certificate, and job training. Mobility led to higher wage rates even after controlling for sample selection bias. The implication is that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a which focus excessively on provincial concerns may weaken a workforce's effectiveness.

  • PDF

HT-RR:Procedure for Improving authentication by CoTI and Binding information (HT-RR:CoTI와 직전 바인딩 정보를 이용한 바인딩 갱신 패킷의 인증 향상 기법)

  • Byun, Kyung-Hwan;Park, Min-Woo;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55-1158
    • /
    • 2008
  • MIPv6(Mobile IPv6)는 이동노드(mobile node, MN)의 이동성(mobility)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이동노드와 상대노드(correspondent node, CN)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경로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두 노드가 홈 링크를 통하지 않고도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최적화를 위해 바인딩 갱신(binding update)과정을 수행하며, MIPv6는 RR(return routability)를 통해 바인딩 갱신을 보호한다. 하지만 RR을 통한 바인딩 갱신은 거짓된 바인딩 갱신 공격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RR과정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HT-RR메커니즘을 제안한다.

Electronic Payment and Exchange Security Service under m-Logistics Environments (m-Logistics 환경에서 전자지불 및 거래보안 서비스)

  • 정용규;이동원;안승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55-57
    • /
    • 2002
  • 국내외적으로 전자상거래 이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물류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시대에 부합하는 물류서비스 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 업무환경이 현장에서 단순 반복 업무로 이뤄진다는 Logistics의 특성상 차별화 된 서비스를 위해 Mobile 기기를 도입한다는 것은 필수적인 추세가 되어 가고 있다. m-Logistics의 확산은 이제 시대의 흐름이되었으며,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전략은 기업의 수익과 비용감소에 직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물론 물류분야에 Mobile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물류업무의 표준화, 모바일 기기의 기능강화, 무선통신 인프라의 확충, 기업투자비 경감등의 조건을 해결해야 한다는 선행과제가 있지만, 공차 운행으로 인한 물류비 절감과 유무선 통합 물류관리를 통한 업무 생산성 및 고객서비스 개선이라는 기대효과는 Mobile의 도입을 충분히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요소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m-Logistics환경에서 물류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한 전자지불과 거래보안 서비스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 PDF

Design of Authoring Tool for generating WIPI Codes using GUI Widget (GUI 위젯을 이용한 위피 코드 생성 저작도구 설계)

  • Lee, Dong-Su;Park, Ki-Chang;Kim, Chul-Hyun;Lee, Sang-Jun;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331-334
    • /
    • 2008
  • 현재 위피 저작도구는 위피 코드 작성의 편의성이 부족하고, 시각화를 배제한 문법 중심의 프로그래밍 도구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규모가 작은 위피 응용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직접 코딩해서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위피 상위레벨(High level) 컴포넌트를 GUI 위젯(Widget)으로 시각화하고, 이를 모바일 레이아웃에 쉽게 적용한 후, 위피 코드로 렌더링(Rendering) 해주는 저작도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젯, 기본 위피 코드, 에뮬레이터 관리를 위해 W2PM(Widget and WIPI Platform Management)을 제안하고, 이를 시스템 기능 요구사항에 반영하여 GUI 위젯을 이용한 위피 저작도구를 설계한다. 제안한 도구는 개발자가 Look & Feel을 자유롭게 조정하고, 중.소규모의 위피 응용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효율적이다.

Implementation of Electronically Controlled Traffic Light for Child Protection (어린이 보호를 위한 전자제어 신호등의 구현)

  • Park, Myeong-Chul;Park, Joo-Ryeol;Lee, Dong-Gue;Kim, Myeong–Gi;Lee, Gi-Hoon;Yu, Ju-Young;Lee, Sang-Yup;Park,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69-170
    • /
    • 2021
  • 기존 신호등은 보행자를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다. 이는 어린아이는 물론 성인들까지 차량의 위협으로부터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전제로 아두이노 액추에이터와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제어 신호등을 적용하고자 한다. 현재의 신호등 시스템은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행자 신호등과 차량용 신호등의 led가 자동으로 변화하여 차량과 보행자를 통제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어린아이들의 돌발행동과 운전자의 미숙한 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신호등 시스템 대신 스위치와 액추에이터, 초음파 센서, 블루투스 모듈을 적용한 어린이용 보호 전자제어 신호등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신호등 시스템과는 다르게 보행자의 직접적인 개입을 통해 시스템을 제어하고, 원활한 교통환경을 만들 수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Delivery Drone Using Aduino (아두이노를 활용한 택배드론의 구현)

  • Park, Myeong-Chul;Kim, Yun-Han;Jo, Do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51-152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드론 산업의 성장속도가 점차 빨라짐에 따라 드론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물류시장의 화두는 신속한 배송이지만 기존 택배 및 우편물 등을 배송하기에는 도로의 교통상황에 따라 시간이 많이 들고 인력비와 수송비등 자원이 많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택배 시스템에서 사람이 직접 이동해서 물건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드론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배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드론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보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돌발 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GPS 및 아두이노기반의 여러 센서들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 외 문자알림 서비스를 이용하여 택배의 실시간 위치를 알 수 있게 하고 도착알림 등을 받게 하여 편리성을 높이는데 역점을 두었다.

  • PDF

Effect of Mobile Users'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Have on the Util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용 경험이 이동통신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Lee, Jae-Hong;Ahn, Joong-Ho;Sung, Ki-Moon;Jeong, Woo-Young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5 no.2
    • /
    • pp.37-53
    • /
    • 2010
  • As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is growing every single year in Korea, it has pulled the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as wells as the executives. This research is aimed to find out factors of the mobile market that affect the util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We adopted a survey method with a pinpointed focus on how users' profile and individual experience relates with the util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For this objective, first, we primarily analyzed the mobile user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usage patterns. Then, we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that are empirically examined using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hich will contribute to investiga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mobile business. Some suggestions constitute the remaining part of this research. First, user characteristic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amount expended for mobile service. Second, user experience is another critical aspect that is highly linked with mobile payment. In alignment with our research, we propose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income, and user experience about mobile internet usage and mobile contents usage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devising both near- and long-term mobile business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