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관찰(觀察)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2초

선천성 심장기형의 수술 후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심정지액과 혈성 심정지액의 전자현미경적 심근 구조의 비교 관찰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Versus Blood Cardioplegic Solutions: A Prospective, Myocardial Ultrastructural Study)

  • 김시호;이영석;우종수;성시찬;최필조;조광조;방정희;노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8-16
    • /
    • 2007
  • 배경: 선천성 심장기형의 수술적 교정 시,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HTK) 심정지액과 혈성심정지액의 심근 보호에 관한 비교를 위해 술 후 심근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벙법: 개심술을 계획하고 있는 선천성 심기형 환아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전향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2명 중 11명(HTK 집단)은 개심술 시 HTK 심정지액을, 다른 11명(혈성 심정지액 집단)은 혈성 심정지액을 사용하였다. 술 중 재관류 30분 후 우심실에서 작은 조직을 채취하여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심근 초미세구조에 대한 평가는 무작위 체계적 표본 추출법에 의한 반정량적 평가법을 사용하였다. 1명의 병리조직학자에 의해 사전정보의 제공 없이 시행되었다. 결과: 미토론드리아의 보존 형태에 대한 반정량적 평가는 혈성 심정지액 집단이 $19.65{\pm}4.75$ 그리고 HTK 집단이 $25.25{\pm}5.85$ (p=0.03)였다. 혈성심정지액 집단 중 6명의(54.5%) 환아에서 그리고 HTK 집단 중 3명(27.3%)에서 3도 이상의 사이질의 부종을 보였다. 결론: 전자현미경적 초미세구조의 보존은 HTK 심정지액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임상적 그리고 수술 중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술 중 심근 보호에 대한 우월성에 대한 비교는 계속적인 관찰과 연구를 요한다.

Streptomyces mitakaensis의 원형질체 형성과정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of Protoplast Formation of Streptomyces mitakaensis)

  • 한순옥;정미경;이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97
    • /
    • 1987
  • Streptomyces mitakaensis 균사체를 lysozyme으로 처리하여 원형질체를 형성하면서 형태변이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균사체는 균사를 형성하고 포자를 형성했으며, 세포벽과 세포막이 완전한 상태로 나타났으나, lysozyme을 처리한 후에는 균사체 말단에서 단일세포가 분리되고, 세포벽이 분리되기 시작하여 30분-60분 후에는 원래 세포의 약 3배 이상 팽대한 원형질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고슴도치 유문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Endocrine Cells in the Pyloric Region of the Korean Hedgehog(Erinaceus koreanus))

  • 이재현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177-184
    • /
    • 1987
  • 한국산 고슴도치 유문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를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여 EC, ECL, D1 및 G형 등의 4종류의 세포를 분류하였다. EC세포는 고전자밀도의 다형태성 과립을 가지며, 과립내에는 더 높은 전자밀도의 dense body가 보였다. 과립의 크기는 $160{\sim}530nm$였다. ECL세포는 원형 또는 난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이들 과립내용물의 전자밀도는 높고, 편재하거나 공포상으로 출현하였다. 과립의 크기는 $200{\sim}560nm$였다. D1세포는 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과립의 전자밀도는 낮고, 때로 한계막과 과립내용물 사이에 좁은 halo를 나타내었다. 과립의 크기는 $130{\sim}400nm$였다. G세포는 원형 또는 난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비교적 낮은 전자밀도의 과립내용물과 한계막 사이에 좁은 halo를 보였다. 과립의 크기는 $140{\sim}370nm$였다.

  • PDF

실험적 간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미세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 (Ultrastructural Changes of Fat-storing Cells in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 김미진;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224-238
    • /
    • 1992
  • 간 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변화를 미세 구조학적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사염화탄소를 mineral oil에 녹여 1 : 1로 회석한 후 Kg당 0.5 ml의 용량을 주 2회씩 12주간 흰쥐에 복강 주입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1주 간격으로 도살하고, 적출된 간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연역조직화학적 검사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소견상 소엽 중심주의 염증 반응 및 세포 침윤 현상은 사염화탄소 투여 후 1주부터 나타나서 4주 째 가장 심하였으며, 이시기에 desmin염색 반응 양성세포의 수도 증가되었다. 괴사 및 섬유화는 2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6주부터 결절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괴사성 병변은 8주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세포 침윤 정도는 감소되면서 desmin에 대한 반응성도 낮아졌고, 경변성 변화는 10주 이후부터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적 소견상 fat-storing cell의 숫적 증가는 1주부터 관찰되었으며 지방적이 감소하고 rER이 팽창된 이행세포는 2주째 출현하여 4주에 가장 현저히 증가되었다. 섬유아세포는 3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rER이 확장되었으며 지방적은 없거나 1-2개의 소적이 세포돌기에서 관찰되었다. 섬유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행세포 및 fat-storing cell은 감소하고 섬유아세포는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fat-storing cell은 간섬유화 과정에서 활성화되고 증식하여 형태학적으로 이행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전환함으로써, 정지상태에 있는 섬유아세포의 전구체로서 간섬유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침샘의 Nitric Oxide Synthase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Nitric Oxide Synthase in Rat Salivary Glands)

  • 이영환;고정식;박대균;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221-233
    • /
    • 2008
  • 산화질소는 생물체내에서 생리적이나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침샘조직에서 침분비작용과 샘혈류 조절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산화질소합성효소 (nitric oxide synthase, NOS)는 동위효소로서 내피산화질소합성효소 (endothelial NOS, eNOS), 신경산화질소합성효소 (neuronal NOS, nNOS)와 유도산화질소합성효소 (inducible NOS, iNOS)가 있으며, 세포내에서 내인성산화질소를 합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화질소합성효소의 세포내 분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매우 드물며, 흰쥐 침샘에서의 산화질소생산효소(NOS)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없었다. 흰쥐 침샘에서 NOS의 세포내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전자현미경방법을 이용한 금입자표지법을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eNOS에 양성 면역반응을 보이는 구조는 침샘의 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에 있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었으며, 점액분비세포의 점액분비과립에서는 비교적 약한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즉 턱밑샘과 혀밑샘을 구성하고 있는 두 종류의 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비교적 많이 표지되었으며,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는 적은 수의 금입자가 관찰되었고, 침샘의 소엽속관 (intralobular duct)의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에서도 금입자가 표지된 것이 관찰되었다. 귀밑샘에서도 장액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표지되었다. nNOS의 양성 면역반응은 턱밑샘에서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만 약간의 금입자가 관찰되었으며, 턱밑샘, 혀밑샘 및 귀밑샘의 분비세포와 분비관세포에서는 iNOS에 대한 양성 면역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흰쥐 침샘에서 산화질소합성효소 중 eNOS는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에 존재하며, 특히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성분비과립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분비관 중에서 소엽속관에도 분포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다른 동위효소인 nNOS와 iNOS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산화질소합성효소가 흰쥐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침샘에서 산화질소가 침의 생산과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활력 우정자의 분리 (Separation of Highly Motile Bovine Spermatozoa)

  • 김명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2권2호
    • /
    • pp.99-116
    • /
    • 1985
  • 소의 번식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6%, 10% 및 20%의 bovine serum albumin 을 사용한 선인들의 방법과 tyrode액을 사용하여 시도한 저자의 방법으로 소의 원정액, 희석정액 및 일반시판 냉동정액으로부터 고활력정자를 분리수집하여 정자의 각종 성상과 광학현미경적 형태를 비교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정액으로부터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여 분리한 정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운동성, 운동성 정자수, 정상정자율 및 전진운동성이 현저히 높았고 정자회수율은 6%일 때 가장 높았다. 2. 원정액으로부터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여 고활력정자를 분리한 후 냉동한 정액의 정자운동성, 정상정자율 및 전진운동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고, 이러한 현상은 bovine serum albumin의 농도가 20%일 때에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다. 3.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여 분리한 고활력정자의 냉동전 및 냉동후의 광학현미경적인 기형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4.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여 분리한 고활력정자는 전자현미경으로 세포막의 확장 및 공포 형성, acrosome의 확장과 density loss의 변형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5. 일반시판 냉동정액으로부터의 고활력정자의 분리는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할 때는 어려웠으나, tyrode액을 사용한 이 실험에서는 가능하였다. 6. 원정액, 희석정액 및 냉동정액의 고활력정자회수율은 tyrode 액을 이용하여 80분간 정치하였을때 현저히 높았다. 7. Tyrode 액을 이용하여 원정액, 희석정액 및 냉동정액으로부터 분리된 고활력정자의 운동성, 전진운동성 및 정상정자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8. Tyrode 액을 이용하여 원정액, 희석정액 및 냉동정액으로부터 분리한 고활력정자의 광학현미경적 기형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 PDF

육(肉)의 가열변화(加熱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가열우육(加熱牛肉)의 조직변화(組織變化)에 관(關)한 전자현미경적 관찰- (Heat-induced Changes in Meat -I. Electronmicroscopic Studies on Changes in Heated Bovine Muscle-)

  • 조무제;윤한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0-35
    • /
    • 1982
  • 육(肉)의 가열시(加熱時) 육조직내(肉組織內)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우육(牛肉)을 $80^{\circ}C$로 가열(加熱)한후 scanning 및 transmission 전자현미경으로 육(肉)의 endomysial connective tissue, sarcolemma, transverse fidge, Z-disc, A 및 I-band등(等)을 관찰한바 $80^{\circ}C$에의 가열(加熱)로 endomysium, sarcolemma 등(等)이 응고됨과 아울러 심한 파괴현상을 보였으며 근원섬유 구조에 있어서도 I-band가 심한 절단현상을 보임과 아울러 A-band에 있어서는 심한 응고현상이 관찰되었으나 Z-disc는 비교적 열(熱)에 잘 견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유미양서류 Ambystoma mexicanum란의 다수정 현상에 대한 주사 전자현미경적 연구 (SEM Study of Sperm Penetration in Polyspermic Urodele Amphibian (Ambystoma mexicanum) Eggs)

  • Chung, Hae-Moon;George M. Malacinsk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1985
  • 유미 양서류의 일종인 액솔로를 (Ambystoma mexicanum)의 정자가 난자 속으로 들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관찰하였다. 액솔로틀의 난은 전형적인 다수정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정이 일어날 때 정자의 꼬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이 난자의 표면을 뚫고 들어간다. 각각의 정자가 들어가는 점은 난자 표면에 명확한 부분 즉, 정자 침입점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수정이 시작되는 단계에서는 난자의 표면에 별다른 붕괴현상이 관찰되지 않으며, 일단 수정이 끝난 후에는 정자 침입점은 긴 미세융모로 덮이게 된다.

  • PDF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추출물이 급성 수은 중독된 생쥐의 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s on the Mouse Liver with Acute Toxicated by Mercury Chloride)

  • 정민주;윤중식;허진;노영복;최영복;김종세;이현화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1-10
    • /
    • 2008
  • 본 연구는 급성 수은 독성에 대한 민들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 g 내외의 생쥐를 대상으로 대조군, 수은(5 mg/kg) 투여군, 수은 투여 후 민들레(3 g/kg)를 구강투여 한 후 다시 24, 48, 72, 96시간, 1주일군으로 세분하여 간장 손상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혈액중 aspartate amiotransferase (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수치는 민들레 투여군이 수은 투여군보다 감소되었다. 또한 간조직의 SOD와 catalase활성도 역시 민들레 투여군이 수은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간 조직의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심한 조직괴사가 관찰되지만 민들레 투여군에서는 문맥주위의 약간의 괴사와 심한 호중구 침윤현상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간장에서 수은 투여군은 간세포의 핵이 함입되어 불규칙했으며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의 수조가 팽대되고,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민들레 투여군은 핵이 정상적인 상태로 관찰되었고, 전자밀도가 높은 미토콘드리아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리보솜이 부착된 상태로 층판구조를 형성하는 조면소포체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민들레가 수은으로 유발된 간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민들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내독소 투여에 의한 Kupffer 세포의 미세형태학적 해독반응 (Fine Structure and Detoxification Kinetics in Kupffer Cells after Injection of Endotoxin in Rats)

  • 최준혁;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313-337
    • /
    • 1993
  • 내독소에 의한 간 상해 때 Kupffer 세포의 역할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내독소 (Escherichia coli 026 : B6 lipopolysaccharide)를 Sprague-Dawley rat에 체중 100g 당 1.5mg을 복강내에 투여하여 15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16시간, 24시간, 72시간, 120시간 후 Kupffer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소견으로는 내독소 투여 15분 후 부터 Kupffer 세포 수의 증가와 비대가 관찰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심해졌고, 동모양혈관내 호중구, 적혈구 및 섬유소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4시간 후에는 동모양혈관의 울혈과 확장이 관찰되었고 호중구외에도 호산구 및 림프구 등의 염증세포가 침윤되었다. 72시간 후 울혈은 감소되었고, 120시간 경과 후 Kupffer 세포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형태학상 대조군과는 큰 차이는 없었다. 전자현미경적 소견으로는 내독소 투여 15분 후부터 Kupffer 세포에서는 포음소포의 증가와 일차 리소솜과 이차 리소솜의 수와 크기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심해졌다. 진정염색질이 증가하였고 무과립형질내세망의 증가와 종창, 과립형질내세망의 종창, 골지복합체의 종창 및 폴리리보솜이 관찰되었다. 사립체의 종창, 전자밀도 저하 및 능선의 소실이 관찰되었고, 혈소판과 섬유소의 응집으로 인한 미소혈전이 동모양혈관내에서 관찰되었다. 72시간 후 Kupffer 세포의 이차리소솜이 감소되었으며, 120시간후 Kupffer 세포는 형태학적으로 대조군과 큰 차이는 없었다. 간세포는 1시간 후 지방변성이 보였고, 16시간 후에는 저산소성 공포 및 괴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Kupffer 세포는 음세포작용에 의해 내독소를 탐식하고 진정염색질의 양의 증가와 세포소기관의 증가에 의해 활성화되어 리소솜의 형성을 증가시켜 내독소를 분해하고 해독화하여 간세포의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내독소에 의한 간 상해는 간세포에 대한 직집적인 독성작용이라기 보다는 이러한 Kupffer 세포의 탐식과 분해하는 기능부전과 동모양혈관내 미소혈전 형성에 의한 허혈이 간 상해를 일으키는데 관여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