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제어 장치

Search Result 1,476,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Technology Trends in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자동차 전자제어 장치용 소프트웨어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Han, T.M.;Cho,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4
    • /
    • pp.69-82
    • /
    • 2010
  • 과거 단순한 이동 수단이 목적이었던 자동차는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 지향 자동차로 거듭나고 있다. 점차 편리와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제어 장치의 장착이 확대되고 전자제어 장치간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개발이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 빛 안전성 이슈가 최근에 많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자동차 응용 서비스의 개발에서 IT 기술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는 전자장치용 소프트웨어의 표준 플랫폼인 AUTOSAR의 동향과 차량 전자제어 장치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ISO 26262 표준 동향 및 이슈를 살펴본다.

고속열차용 추진제어장치의 기술

  • Jo, Seong-Jun;Jeong, Man-Gyu;Kim, Du-Sik
    • KIPE Magazine
    • /
    • v.14 no.5
    • /
    • pp.25-30
    • /
    • 2009
  • 현대중공업은 철도차량 전장품 분야에서 주변압기, 추진제어장치, 보조전원장치, 배터리 충전기 등 다양한 제품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관련 산업 및 기술 발전에 기여해 왔다. 특히 전동차용 추진제어장치는 국내 최초로 국산화 및 상용화에 성공하여 광주지하철과 대전지하철에 납품한 실적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속열차용 주전력변환장치를 세계에서 네 번째로 개발 및 상용화 하여 신규 고속열차인 KTX-II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열차용 추진제어장치의 기술 동향과 추진제어 장치의 설계 및 제작에 활용된 전력전자 기술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철도 정보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엔지니어링 기술

  • 황종규;이재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7 no.2
    • /
    • pp.12-17
    • /
    • 2004
  • 철도 신호제어장치들은 각자 고유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철도시스템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신호장치는 바이탈한 제어장치로서 안전측 동작(Fail-safe)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계전기 로직에 의해 각 장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전자, 컴퓨터,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철도신호제어장치들도 전자화된 장치들로 대체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신호제어장치들이 전자화되어감에 따라 각 장치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링크도 디지털 통신채널로 대체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 장치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링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중략)

전기철도차량용 주 전력변환장치(추진제어장치)의 이해

  • Jeong, Eun-Seong
    • KIPE Magazine
    • /
    • v.16 no.3
    • /
    • pp.37-41
    • /
    • 2011
  • 현대로템은 전기철도차량의 핵심장치인 주 전력변환장치(추진제어장치) 국산화 및 기술개발에 매진하여 왔으며,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전력전자기술 및 산업기술 발전으로 인한 전기기기, 전력반도체, 제어기술 발전으로 전기철도차량용 주 전력변환장치(추진제어장치)도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이런 산업전반에 걸친 기술발전을 기반으로 현대로템은 전기철도차량용 주 전력변환장치의 원천기술 확보하면서 전기철도차량 시스템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전기철도차량의 핵심장치인 주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최근 전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유도전동기용 주 전력변환장치인 추진제어장치를 소개하고자 한다.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Greenhouse (시설원예용 환경제어장치의 규격 표준화에 관한 연구)

  • 전종길;김경원;오병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67-70
    • /
    • 1999
  • 일반적으로 시설원예용 환경제어장치란 온실 내부 환경을 작물생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시키기 위하여 원예시설에 부착된 환기창이나 냉난방장치, $CO_2$발생기, 양액제어장치 등을 통해 온도, 습도, $CO_2$, EC, pH 등의 각종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수동스위치 조작에서부터 전자제어, 컴퓨터에 의한 복합환경제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제품이 생산 판매되고 있지만, 상호 제품간 호환성이 없으며, 성능에도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략)

  • PDF

신재생에너지원과 에너지 저장장치 기반 비상발전기의 하이브리드 운전 제어기법 개발

  • Bae, Yeong-Gyu;Son, Gwang-Myeong;Park, Ch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3-144
    • /
    • 2012
  •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원과 에너지 저장장치 기반의 비상발전기의 하이브리드 운전 제어기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와 에너지 저장장치 기반의 비상발전기를 하이브리드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장치와 출력이 불규칙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을 평준화 할 수 있는 비상발전기 출력 제어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장치는 부하의 전기에너지 피크 절감을 위한 비상발전기 출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Port-Fuel Injection Design Development of the Small Size Engine (소형엔진의 전자분사장치 설계개발)

  • Park,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21-924
    • /
    • 2010
  • 기존의 소형엔진은 캬브레이터 연료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연비 및 배기가스 성분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하여 전자분사장치를 장착하기위한 설계 및 작동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형엔진은 저가의 범용 동력장치로서 전자화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어장치 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화를 위해서는 크랭크 축과 캠축의 위상각 신호를 통하여 연료분사와 점화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통례이나 본 연구에서는 크랭크 축의 CPS센서와 흡기포트의 압력변동을 이용하여 연료분사와 점화를 제어하는 기구와 장치를 설계 개발하였다. 본 장치는 저가의 범용 엔진에 적용이 가능하며 제어반복성에도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

Control Algorithm of Two Phase Orthogonal Power Supply for Electromagnetic Stirring System (전자기 교반 시스템용 2상 직교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위한 제어 기법)

  • Kim, Byung-Jun;Moon, Dong-Ok;Kim,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419-42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 교반 시스템용 2 상 직교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류 정상상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제어 기법을 제안하다. 2 상 직교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단상 풀브리지 인버터 2 대 대신 3 상 전압원 인버터 1 대를 사용하여 인버터의 레그 숫자가 줄어들고 인버터 스위치의 도통 손실이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 좌표계로의 변환(dq 변환)을 통해 출력전류 정상상태 오차를 0 으로 제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제어 기법의 유효성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전기철도차랑의 보조전원용 전력 변환장치 기술

  • Lee, Eun-Gyu
    • KIPE Magazine
    • /
    • v.14 no.5
    • /
    • pp.31-35
    • /
    • 2009
  • 철도차량에는 여러 형태의 전력 변환 장치들이 존재하고 운영되고 있다. 전기철도차량에서는 차량의 동력원을 제어하는 추진제어장치와 각종 콤프레서를 동작하는 인버터, 차량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정지형 인버터 등이 주요 전력 변환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챠량의 전원과 밧데리 충전을 위한 장치인 전기 철도차량의 보조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종류들과 변화 과정들을 소개 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Wireless Stereoscopic Image Player Use A RF Method (RF방식의 무선 입체 영상 재생 장치 구현)

  • Jung, Jae-Sung;Kim, Kyong-Won;Choi, Chul-Ho;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11-71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RF방식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무선 LCD 셔터 고글로 전송하는 무선 입체 영상 재생 장치의 원리를 제안하고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장치는 기존의 유선 장비에 비해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별도 추가장비 없이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체 영상 지각 원리, 입체 영상 재생 모드, 제안한 입체 영상 재생 장치, 무선 LCD 셔터 고글 동작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PC의 모니터를 통한 시각적 검증으로 제안한 무선 입체 영상 재생 장치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