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빔

Search Result 1,4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olymerization of HEMA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Fabrication of Soft contact lens (전자빔조사에 의한 HEMA의 중합과 소프트콘택트렌즈 제조)

  • Hwang, Kwang-Ha;Shin, Joong-Hyeok;Sung, Yu-Jin;Jeong, Keun-Seung;Jun, 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7 no.2
    • /
    • pp.135-141
    • /
    • 2012
  • Purpose: Polymerization of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which can be used in the soft contact lens has been performed by using electron beam(EB) irradiation, and examined the best condition for the polymerization. Compa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ntact lenses to the one fabricated by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we check the use possibility of the EB irradiation to the fabrication of the soft contact len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HEMA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 the additive ratio and the dose of electron beam (0~120 kGy).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was measured depending on the EB dose to research the best synthetic condition under the EB irradi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ntact lens such as water content(%), oxygen transmissibility(Dk/t) and optical transmittance were analysed by using the FT-IR results with comparing the two different polymerization method (thermal and electron beam polymerization) with same additive ratio. Results: When the dose of electron beam was above 100 kGy,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HEMA was above 99% with regardless using cross-linker and initiator. The water content of the lens fabricated by EB method showed 10% higher than the one by the thermal method which was 40%. The lens fabricated by EB method also showed higher oxygen transmissibility(Dk/t) as same with the water content, and showed twice higher value in the lens fabricated by pure HEMA. According to the FT-IR results, hydrophilic property of the lens fabricated by EB method was increased due to increasing the intermolecular hydrogen bonding. It showed above 90% optical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range of wavelength on the contact lenses fabricated by the both of two different polymerization method. Conclusions: The polymerization of HEMA without cross-linker and initiator was successful above 100 kGy of EB irradiation. Moreover the lens fabricated from the polymer synthesized by pure HEMA with 100 kGy of EB showed the highest water content and oxygen transmissibility. Therefore EB irradiation is another possible method to synthesize the polymer which can be used for the soft contact lens.

Change of Sprouting-related Enzymes Activities and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potato Root (Ipomea batatas Lam.)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전자빔 조사에 의한 고구마의 발아관련 효소의 활성과 식품특성 변화)

  • Lim, Sung Jin;Song, Mi Seon;Lee, Gyeong Ae;Cho, Jae-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5 no.4
    • /
    • pp.267-272
    • /
    • 2012
  • We investigated that electron beam irradiation is the effective method to control the sprouting of sweetpotato roots without changing of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In 12 and $25^{\circ}C$ storage after electron beam irradiation, all control samples were sprouted from 6 and 4 weeks after storage, respectively. The sprouting rate of control increased with time and the rate reached to 11.2-12.4 and 70.5-74.2% at 8 weeks after 12 and $25^{\circ}C$ storage. Also, the sprouting of middle and below positioning sweetpotato roots at 12 and $25^{\circ}C$ storage after irradiation reached to 8.6-11.3 and 42.7-48.7% after a storage period of 8 weeks, respectively. However, the sprouting of all sweetpotato roots stored at $4^{\circ}C$ and upper (0-7 cm) positioning samples of box stored at 12 and $25^{\circ}C$ with electron beam was completely inhibited due to increase peroxidase and indole acetic acid (IAA) oxidase activity. Also, all samples with electron beam such as hardness, pH, sugar content, weight loss, and vitamin C and dacarotene content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control. Therefore, if electron beam will be irradiated to sweetpotato roots above 0.1 kGy before packing, it will effectively inhibit their sprouting stored at $25^{\circ}C$ without the change of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Removal of PAHs and PCBs in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s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전자빔 조사에 의한 오염토양중의 PAHs및 PCBs의 분해)

  • 김석구;정장식;김이태;배우근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3
    • /
    • pp.61-70
    • /
    • 2002
  • Direct electron beam irradiation experiments on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by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were performed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direct electron beam irradiation process for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AHs was about 97 % at 600 kGy and PCBs about 70 % at 800 kGy. PAHs were removed 27 % more, compared to PCBs although the absorbed dose was as low as 200 kGy. The contaminants decomposition was due predominantly to direct interaction of high-energy electrons and the target compounds rather than due to oxidation/reduction reaction by reactive intermediates. Radiolysis of electron beam may be able to decontaminate contaminated soil by toxic and recalcitrant organic compounds like as PAHs and PCBs effectively, but it may be economically uncompetitive. Thus, developments of post-treatment process of conventional site remediation technologies may be more practical and economical than direct radiolysis.

Nano-scale pattern delineation by fabrication of electron-optical lens for micro E-beam system (마이크로 전자빔 시스템을 위한 전자광학렌즈의 제작에 의한 나노 패턴 형성)

  • Lee, Yong-Jae;Park, Jung-Yeong;Chun, Kuk-Jin;Kuk,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D
    • /
    • v.35D no.9
    • /
    • pp.42-47
    • /
    • 1998
  • We have fabricated electron-optical lens for micro E-beam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current E-beam lithography. Our electron-optical lens consists of multiple silicon electrodes which were fabricated by micromachining technology and assembled by anodic bonding. The assembled system was installed in UHV chamber to observ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focused electrons by the electro-optical lens. We used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tip for electron source. By performing lithography with the focused electrons with PMMA(poly-methylmethacrylate) as E-beam resist. We could draw 0.13${\mu}{\textrm}{m}$ nano-scale lines.

  • PDF

Measurement of the transition probabilities at 394.55 nm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of Gd (Gd 증기 증착용 394.55 nm 전이선의 전이확률 측정)

  • 고광훈;정의창;김택수;권덕희;노시표;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2-13
    • /
    • 2002
  • 원자력 산업용 중성자 흡수체 제조에 사용되는 Gd 금속증기 발생기에 설치할 목적으로 394.55 nm 전이선의 전이확률을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 증기 증발률을 장시간 동안 일정한 양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증기밀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반도체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원자흡수 분광계를 제작하고 있다. 전자빔 가열로 발생된 원자빔은 가속된 전자빔과의 충돌에 의하여 가열표면의 온도를 알면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인 원자빔 성질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Welding of the $3^{rd}$ Harmonic Superconducting RF Cavity Using Electron Beam (전자빔을 이용한 초전도 3차 하모닉 고주파 공동기의 용접)

  • Hong, Man-Su;Gwon, Hyeok-Chae;Park, In-Su;Son, Yeong-Uk;Kim, Yeong-Chan;Jeong, Jin-Hwa;Choe, Jin-Hyeok;Hwang, Jeong-Yeon;Song, Sang-Geun;Kim, Suk-Hwa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6.10a
    • /
    • pp.161-163
    • /
    • 2006
  • 포항가속기는 선형가속기 및 저장링을 통하여 2.5Gev의 고에너지 전자빔 생성과 저장, 유지 되고 있다. 저장링에서 안정적으로 방사광을 추출하여 각종 실험 및 연구를 위하여 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전자가 매우 안정적이고 높은 집적도를 가진 전자다발 형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전자다발의 집적도가 높을수록 전자간의 상호 간섭으로 보유에너지가 더 빠른 시간에 소진되어 전자빔의 수명이 짧아진다. 3차 하모닉 RF 공동기는 전자다발의 운동방향으로 길게 늘려서 전자밀도를 줄여 전자빔의 운전수명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이다. 공동기의 제작은 소재준비, 성형, 가공, 용접, 연마, 열처리 등의 여러 공정을 거쳐 완료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공동기의 제작 공정 중 전자빔을 이용한 시험용접, 본용접, 용접부 검사 및 용접부의 연마와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Study on electron beam treatment on $Cu_2Se$ thin films by DC sputtering method (DC sputter방식으로 제조된 $Cu_2Se$ 박막의 전자빔 처리에 따른 특성 연구)

  • Kwon, Hyuk;Kim, ChaeWoong;Jung, SeungChul;Kim, DongJin;Park, InSun;Jeong, Chae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53.1-53.1
    • /
    • 2011
  • 현재 태양전지시장에서 비중이 많은 실리콘 태양전지는 높은 효율에 비해 제조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칼코파라이트 구조의 $CuInSe_2$ (CIS)계 화합물은 직접 천이형 반도체로서 높은 광흡수 계수($1{\times}105cm-{\acute{e}1$)와 밴드갭 조절의 용이성 및 열적 안정성 등으로 인해 고효율 박막 태양전지용 광흡수층 재료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CIS 계 물질에 속하는 Cu(InGa)$Se_2$ (CIGS) 태양전지의 경우 양산화에 sputtering방식사용하고 Showa Shell에서는 대면적 CIGS 모듈 효율 13.4%를 달성한 바 있다. 현재 CIGS는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selenization 공정을 사용하는데 이 공정은 유독한 $H_2Se$ gas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과 긴 시간 동안 열처리를 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을 사용하여 후속 공정을 실시하였다. 전자빔을 사용할 경우 낮은 온도에서 precursor를 처리하며 짧은 시간에 공정이 끝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dalime glass위에 조성비(Cu 60.87% Se 38.66%)인 Cu_2Se$ target(4.002"${\times}0.123$") 을 DC sputter를 이용하여 DC power를 50W,100W를 주고 Working pressure를 20,15,10,5,3,1mtorr로 조절하여 증착하였다. 전자빔의 세기 조건을 3Kv, Rf power 200W, Ar 7sccm로 전자빔 조사 시간을 1,2,3,4,5min으로 늘려가며 최적화 실험 하였고 최적화된 조건으로 $Cu_2Se$ target에 조사 하였다. 박막의 특성평가는 전자빔 조사 전/후에 대해 XRD, SEM, XRF, Hall measurement, UV-VIS을 이용하여 분석평가를 하였다. 이 실험은 $Cu_2Se$상이 자라는 특성과 표면 상태에 따라 CIGS박막을 증착하였을 때 나타나는 효율 변화를 알아 보기위한 초기 공정 실험이다.

  • PDF

Simulation of a Electron Beam-produced Plasma (전자빔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 Bae, Hyo-Won;Shim, Seung-Bo;Hwang, Seok-Won;Song, In-Cheol;Lee, Hae June;Lee, Ho-Jun;Park, Chung-H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431_14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에 의해 생성되는 저온 플라즈마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아보았다. 전자빔 소스에서 전자를 생성하여 가속 전압을 인가하여 챔버로 보내고, 챔버 속의 Argon 중성 기체와 전자가 충돌하여 2차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저온 플라즈마가 생성된다. 이 때 중성기체의 압력과 가속전압의 변화에 따라서 플라즈마 밀도와 온도가 변하는데,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Particle-In-Cell(PIC)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다. 챔버 내부에서 전자빔과 중성기체에 의한 변화를 관측했고, 이 때 전자빔 소스에서 Negative Acceleration Voltage는 10V~40V, 챔버 내부의 Argon 중성 기체의 압력은 1mTorr~20mTorr 조건하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Electron Energy Distribution function (EEDF)을 관찰한 결과, 가속전압이 높을수록 낮은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의 수가 증가하여 전자 밀도는 증가하며, 가스 압력이 높을수록 EEDF의 기울기가 커지면서 전자온도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everse Link Beamforming for the WCDMA System (WCDMA역방향 링크에 대한 빔포밍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재식;김종윤;장태규;김재화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6a
    • /
    • pp.45-47
    • /
    • 2001
  • 본 논문은 WCDMA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의 빔포밍 적용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안된 빔포밍 구조는 제어채널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빔포밍 계수계산과 데이터 채널에 적용하는 분리구조를 가지고 있다. 적응 빔포밍의 대표적 방식인 LMS 알고리즘과steer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성능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환경 변수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는 빔포밍 알고리즘의 구현과 설계에 있어 중요한 지침을 주리라 기대된다.

  • PDF

Fabrication and operation of electron lenses of micro-column (마이크로 전자 컬럼의 렌즈 제작 및 동작)

  • Jang, Won-K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1203-1206
    • /
    • 2004
  • 마이크로 컬럼은 차세대 리소그라피 기술의 하나로 마이크로 컬럼의 기능이 기존의 전자빔 컬럼을 능가하여 주목을 받는다. 초소형 전자빔 컬럼은 기존의 전자빔 컬럼과 비교하여 수차, 렌즈의 크기 및 원형에 성능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정확한 정렬과 가공 기술은 초소형 전자빔 마이크로 컬럼의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준치 piezoelectric transducer (PZT)나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을 이용한 정렬 기술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시는 레이저 회절 패턴방식과 레이저 정밀 가공으로 실리콘 렌즈와 파이렉스 spacer를 정확하게 교대로 조립하였으며, 이 방법으로 완성된 마이크로 컬럼의 STEM동작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