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인치유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Holistic Therapy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한 행복힐링모임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변화 (Development of Holistic Therapy Program and Changes in Stress of Happy Healing Group Subjects)

  • 이하영;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8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개발한 '전인 치유 프로그램'을 행복힐링모임을 통해 수행한 대상자 62명의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이었다. 방법: 전인치유 프로그램을 행복힐링모임에 주당 1회(90분)씩 6회기를 수행하였고, 회기 및단 계별내용을 기록하였다. 결과: 일반인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전인치유프로그램은 회기별로 '도입-전개-마무리'의 세부적 3단계로 구성되었다. 전인치유요법으로 행복힐링모임 수행 후에 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은 사전 평균치에 비해 사후의 평균치는 26.371점으로 유의성이 있게 감소하였다(p < .000).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변화는 사전에서는 34.306점, 사후에는 9.096점으로유의하게감소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는 사전에 비해서사후에는 201.661점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기분 상태 변화는 사전에는 69.451점이었고사후에는 123.983점으로 높게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었다(p < .000). 결론: 전인치유 프로그램을 행복힐링모임에 적용한 대상자에게서는 일반 또는 사회적심리적 스트레스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기분상태의 변화는 높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었다. 이 결과로 평가할 때에 새 전인 치유요법이 행복힐링모임에 매우 유용한 자연치유적 요법 중의 하나라고 판단되었다.

자연치유와 전인적 의학(Holistic Medicine)으로서의 단식요법(斷食療法)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n Fasting Cure as Natural Healing and Holistic Medicine)

  • 윤인숙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8-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치유와 전인적 의학으로서의 단식요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종교사상에서 나타난 단식의 역사와 의의를 찾아 문헌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단식이 심신치유에 적용된 사례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식은 종교사상에서 정신적인 중대한 역할을 함으로 단식행위가 인간의 삶에서 정신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식은 인간의 심신을 치유하는 수단으로서 오랜 과거로부터 오늘날에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자연치유적 의료행위로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단식요법은 자연치유적 방법에 의한 전인적 의학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단식요법을 통해 현대사회에 각종 질병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스트레스성 질병과 생활습관성 만성질환에 대하여 전인적 의학 차원에서의 효율적 치유의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회원병원 소개 - 대구파티마병원

  • 한국가톨릭의료협회
    • 헬스앤미션
    • /
    • 통권24호
    • /
    • pp.32-37
    • /
    • 2011
  • `전인적인 돌봄으로 전인적인 치유를!'이라는 2015 VISION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1년 '건강의 동반자'라는 슬로건을 설정하고 의료기관 인증, 최선 방사선 암치료기 '래피드아크' 도입, 지속적인 리모델링 등을 통하여 질병으로 고통 받는 이들과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게 희망이 되고자하는 병원 사명을 지키고자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 PDF

기독교의 전인치유사역 (Holistic Healing Work of Christianity)

  • 황옥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5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lls, roles and attitudes of the Christian medical staff in a modern medical system for holistic healing through belief in God's healing methods and God's view about medical treatment. The meaning of healing in the Bible is derived from Rapha in the Old Testament, it's meaning is 'heal wound', 'restore to original condition', 'repair', 'console' and 'be heal'. In the New Testament, the meaning of healing is 'to serve' and 'be in one's service' derived from Therapuein and preserve', 'rescue', 'save a life from death' derived from Sozo. The term of soteriology originated from Sozo.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healing in the Bible is restoring original completeness to the same as Cod's characteristics. The meaning of disease i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imbalance or disharmonious. Disease is usually depravity from moral life to immoral life and abnormal life process with accompaning specific symptoms. Medical staff were called to God's work. recognized God's will for them, and absolutely leaned on God's power to intervene and work above spatial-temporal transcendently. They use spiritual power with medical treatment skills, help sick people to possibly have dynamic and individual relation with God and help to maintain their well-being and complete healing. Attitudes of medical staff were compassion and love, virtue of modesty, strong and daring, patience with belief, healing with God's word, using spiritual insight, play. using medical knowledge and techniques, continuing spiritual training, laying on of hands and repentance.

  • PDF

어린이 도서관의 전인적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루돌프 슈타이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listic Healing Environment of Children's Library -Focused on the theory of Rudolf Steiner-)

  • 김혜연;김광호;진달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7-55
    • /
    • 2007
  • The theme of this study is holistic healing environment of children's library and it was researched on the basis of anthroposophy theory of Rudolf Steiner. According to Steiner's theory, human being consists of body, spirit, and soul. Especially, children are sensitive ones, and through synthetic function of 12 kinds of senses, they can be holistically healed (healing of body, spirit, and soul). As the sense independently functions or it is a element that cannot be described, it needs spatial plan to support synthetic function of it. We classified the healing space's meaning of children library by motion (including art and music), reading, & landscape healing activities and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 to support each activity.

  • PDF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으로서 힐링(Healing)호흡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Breathing Method of Healing as a Health-Oriented Leisure Activity)

  • 김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40-14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흡의 치유적 기제가 현대인의 심신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건강지향적 여가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문헌고찰해 보고자하였다. 이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여가는 다양한 분야에서 양적 증가를 나타내고 있는데 현대인들의 건강한 삶의 가치에 대한 높은 관심은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의 기회제공을 확대하고 건강관리 실천의 실효성을 뒷받침하게 될 것이다. 둘째, 개인이 힐링의 치유 과정을 거쳐 삶에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 나간다면 사회적 관계에서 요구되는 '전인적 힐링' 패러다임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힐링(Healing) 호흡'의 인지적 호흡 활동의 유도는 몸과 마음의 치유적 효과를 더욱 높이고자 하는 건강 증진의 목적을 둔 여가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힐링(Healing) 호흡법을 통한 현대인들의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의 실천은 인간 생명의 본질적 가치를 높이고 전인적(全人的) 사회화의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교육과 진로체험 교육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Effect of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High School Students)

  • 백주경;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0-51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지역 고등학생 568명을 임의 선정하여 학교 진로교육(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현장견학, 대학 혹은 전공체험,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각 항목별로 만족도에 따라서 3개의 상(a), 중(b), 하(c)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진로교육 상담 후에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결과: 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대학 혹은 전공체험,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의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에서 a>b>c집단 순이며, a집단이 b 및 c집단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수업의 만족도의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a·b·c집단의 수치 간에는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현장견학 수업의 만족도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고, a집단은 b와 c집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결론: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상담이 교육 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효과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Counseling on Career Decision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 백주경;조성현;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0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 568명을 대상으로 학교 진로교육 상담 후에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학교 진로교육 참여현황',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와 '진로교육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대상자에게 진로교육 상담 후에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결과: 학교 진로교육 상담 후에 대상자에 대한 설문내용 중 '진로결정 정보사항'에서는 '결정했으나 고려중이다'가 49.3%로 높게 나타났다. '자신의 진로'를 선택할 때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부모님의 조언'이 28.0%, '학교에서 진행되는 진로교육이 진로결정의 효과'는 52.2%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 진로교육활동 참여'에는 13개 항목이 있으며, '학교 진로교육 참여현황'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94.7%) 및 '진로와 직업'(94%)이 높았고,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10.6%)이 가장 낮았다. 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만족도 평균치는 3.49점이었다. 가장 높은 항목은 '대학 혹은 전공체험'이 3.66점이었고, '교과 연계 진로교육'은 3.2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모의 조언'과 '학교에서 진행되는 진로교육'이 진로결정에 효과가 있었다. 진로교육 활동 중 '대학 혹은 전공체험', '진로캠프', '진로 및 직업체험' 등과 같은 진로체험형의 교육이 학생들에게 교육 만족도가 높았다.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게 나타났다.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 환경 이론과 심리치유 공간 개념 - 어린이 유치원 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Educational environment Theory of Reggio Emilia and Space Concept for Healing - Focused on the Childcare Facilities)

  • 변지혜;김광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25-3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comprehensive plann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emotional needs are achieved in childcare faciliti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childcare facilities has increased since it was discovered that high 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can not be guaranteed in current childcare facilities while the number of women participating in labor force, hence the number of children spending most of their time in these facilities is rapidly increasing. Methods: Correlation analysis on Reggio Emilia Approach to education environment and Max Luscher's psychological healing theory, and case study. Result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4 key element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4 emotional statu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Based on the elements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Reggio Emilia Approach, case studies were pursued in 3 different childcare facilities in Korea. Implications: Evaluation of these case studies addresses the important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comprehensive planning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hildcare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