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이

Search Result 52,210,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Developing an Entropic Drawdown-at-Risk (EDaR) Fluctuation Forecasting Model for Commodity Futures Market Using Entropy-Based Dependency and Causality Network Modularity (엔트로피 기반 인과관계 네트워크의 모듈성을 활용한 상품 선물 시장의 EDaR 변동 예측 모형 개발)

  • Choi, Insu;Kim,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0-37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이 엔트로피 개념을 활용하여 주요 상품 선물의 하방 리스크 지수의 정보 흐름을 바탕으로 한 인과관계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구성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금융 시장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정보 흐름의 존재 여부를 바탕으로 상품 선물의 하방 리스크 지수의 예측력이 개선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 불확실성의 감소량을 측정하는 전이 엔트로피를 인과관계의 측정 지표로 상정하였으며, 전이 엔트로피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유한크기효과(finite size effect)를 조정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지표인 효율적 전이 엔트로피를 활용하여 정보 흐름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금융 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EDaR 의 등락 예측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금융 시장 지수를 효율적 전이 엔트로피를 이용한 인과관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금융 시장의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구성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내 금융 시장 등락 예측에 있어 더 적은 데이터 열을 활용하여 거의 유사한 예측 결과를 냄으로써 상품 선물 시장 관련 예측의 데이터 열 선택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ross-Lingual Transfer of Pretrained Transformers to Resource-Scarce Languages (사전 학습된 Transformer 언어 모델의 이종 언어 간 전이 학습을 통한 자원 희소성 문제 극복)

  • Lee, Chanhee;Park, Chanjun;Kim, Gyeongmin;Oh, Dongsuk;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135-140
    • /
    • 2020
  • 사전 학습된 Transformer 기반 언어 모델은 자연어처리 시스템에 적용되었을 시 광범위한 사례에서 큰 폭의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여기서 사전 학습에 사용되는 언어 모델링 태스크는 비지도 학습에 속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데이터의 확보가 쉬운 편이다. 하지만 몇 종의 주류 언어를 제외한 대부분 언어는 활용할 수 있는 언어 자원 자체가 희소하며, 따라서 이러한 사전 학습 기술의 혜택도 누리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원 희소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종 언어 간 전이 학습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언어 자원이 풍부한 언어에서 학습된 Transformer 기반 언어 모델에서 얻은 파라미터 중 재활용 가능한 부분을 이용하여 목표 언어의 모델을 초기화한 후 학습을 진행한다. 또한, 기존 언어와 목표 언어의 차이를 학습하는 역할을 하는 적응층들을 추가하여 이종 언어 간 전이 학습을 돕는다. 제안된 방법을 언어 자원이 희귀한 상황에 대하여 실험해본 결과, 전이 학습을 사용하지 않은 기준 모델 대비 perplexity와 단어 예측의 정확도가 큰 폭으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I) -Focus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경상도 지역과 전라도 지역 초등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 비교(I) -인지도와 선호도를 중심으로-)

  • Hwang, Hye-In;Kim, Hy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9
    • /
    • pp.1439-1446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as well as compare regional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between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recognition score of overall native local food between students in Gyeongsang (9.43 out of 20 dishes for 254 students) and students in Jeolla (9.13 out of 20 dishes for 261 students). The recognition levels (4.88 out of 10 dishes) of native local foods in students in Gyeongsang-d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4.40 out of 10 dishes) in Jeolla-do (P<0.001). Second, the preference level (2.91 points) for native local food in students in Gyeongsang-d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2.72 points) in students Jeolla-do (P<0.001)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preference level (3.03 points) of students in Gyeongsang-do for native local foo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2.80 points) of students in Jeolla-do (P<0.001)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In conclusion, students in Jeolla-do perceived native local foods in Jeolla-do and Gyeongsang-do impartially, whereas students in Gyeongsang-do perceived native local foods better. The overall samp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native local food in Gyeongsang-do to native local food in Jeolla-do. Thus,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erm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nhance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in Jeolla-do, food culture and dietar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n Analysis on Recent Construction Trends of GNSS (최신 GNSS 구축 동향 분석)

  • Choi, Cha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27-1030
    • /
    • 2013
  • 미래전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작전이 중심이 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며, 정보작전에 운용되는 시스템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전자전 형태의 항법전이 더욱 대두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해 강대국들이 독자적인 GNSS 첨단위성항법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쟁을 하고 있는 시점에서 최신 추진 동향을 분석하고, 현 구축단계를 점검함으로써 향후 우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Transition based Joint Model for Korean Morpheme Segmentation and POS Tagging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전이 기반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

  • Min, Jin-Woo;Na, Seung-Hoon;Kim, Young-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305-308
    • /
    • 2017
  • 한국어 형태소 분석은 많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형태소를 분류하고 형태소에 맞는 알맞은 품사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형태소의 품사를 태깅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크게 음절 단위 형태소 분석과 단어 단위 형태소 분석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존 파싱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전이 기반 방식을 적용하여 전이 기반 단어 단위 한국어 형태소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 해당 모델을 한국어 형태소 분석 데이터인 세종 품사 부착 말뭉치 셋에 적용하여 F1 97.77 %로 기존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켰다.

  • PDF

자연생태계에서의 유전물질의 전이

  • 이건형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6 no.3
    • /
    • pp.44-47
    • /
    • 1990
  • Avery, MacLeod, McCarty가 1944년에 세균에서 유전적 재조합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 세균은 진화 학자들과 미생물 학자들로 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세균은 자연생태계에서 또다른 형태의 유전적 적응성을 지니고 그러한 돌영변이 중 일부는 모세포(parent cell)보다도 주변환경에 더 잘 적응되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GEM들이 생태계에서 유전자들 전이시키는 빈도가 대부분 낮았고, 토양이나 다른 자연생태계애서 유전자의 전이가 지속적으로 일어난다는 실험적 증거는 없었지만 이들을 생태계에 방출한 결과 유전자 전이가 몇몇 실험에서 확인된 적이 있어 토양에서의 유전적 전이의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 하지만 어떻게 전이되고 토양의 물리, 화학및 전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donor와 recipient의 수와 정확한 감지 방법등이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더우기 토양환경에서 미생물의 활성과 생태, 군집 동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내려면 얼마만큼의 재조합 세균이 단위면적당 필요한지도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밝히는 것은 학문적인면 뿐만 아니라 진화론적인 이론에도 도움이 되며 GEM들이 토양이나 다른 생태계에 유출되었을 때의 환경영향평가나 규제를 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 PDF

Scenarion proposal, requirements analysis, and performance test about transition mechanism in the mobile internet environment (이동 인터넷 환경에서의 전이 메커니즘에 대한 시나리오 제시와 요구사항 분석 및 성능 측정)

  • 권금연;황인준;안병호;이승윤;강현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1-33
    • /
    • 2003
  • 현재 국외에서는 산업계 및 학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IPv4와 연동 가능한 IPv6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IETF의 표준화 기술을 중심으로 몇몇 기관에서 고정망 중심의 IPv6 전이 메커니즘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연동 기술에 대한 연구가 고정망에 중심을 두고 있어 이동망에서의 연동 구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IPv6망에서의 이중 스택 구조는 고정망을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동 인터넷 환경에서의 전이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인터넷 환경에서의 전이 메커니즘에 대한 시나리오 제안과 요구사항 분석을 하고, 절기서 제안된 메커니즘들 중 6to4에 이동성을 적응했을 때의 성능 측정 결과를 제시한다

  • PDF

비즈니스 인사이드 - 제17회 국제포장기자재전 5월 22일 개막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5
    • /
    • pp.102-103
    • /
    • 2012
  • 제17회 국제포장기자재전(코리아팩2012)이 오는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4일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 2,3,4,5홀에서 열린다. 세계 23개국 650개 기업이 참가하는 올해 전시회에서는 국제포장기자재전, 국제물류기기전, 제약 화장품산업전, 국제의약품전, 국제연구 실험기자재 및 첨단분석장비전, 국제바이오환경산업전, 국제화학장치산업전 등 7개 전시회가 동시 개최된다. 국제포장기자재전은 월간포장(대표 백재민)과 경영전람(대표 김여수)이 1992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전시회로 2004년부터 8년 연속으로 지식경제부 '브랜드전시회 및 유망전시회'로 선정됐다. 올해는 경기도 3대 대표 산업 전시회로 선정되기도 했다.

  • PDF

A Transition based Joint Model for Korean Morpheme Segmentation and POS Tagging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전이 기반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

  • Min, Jin-Woo;Na, Seung-Hoon;Kim, Young-Kil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305-308
    • /
    • 2017
  • 한국어 형태소 분석은 많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형태소를 분류하고 형태소에 맞는 알맞은 품사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형태소의 품사를 태깅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크게 음절 단위 형태소 분석과 단어 단위 형태소 분석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존 파싱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전이 기반 방식을 적용하여 전이 기반 단어 단위 한국어 형태소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 해당 모델을 한국어 형태소 분석 데이터인 세종 품사 부착 말뭉치 셋에 적용하여 F1 97.77 %로 기존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켰다.

  • PDF

Fault Tree Analysis based on State-Transition Model (상태 전이 모델 기반 결함 트리 분석)

  • Chung, In-S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0
    • /
    • pp.49-58
    • /
    • 2011
  • Fault Tree Analysis(FTA) builds fault trees to perform safety analysis of systems. However, building fault trees depends on domain knowledge and expertize on target systems and consumes lots of time and effor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that builds fault trees systematically based on state-transition models which are software design artifacts. For the end, this paper identifies conditions that should be satisfied to guarantee safety of state-transition models and develop templates for fault tree construction. This paper also describes the results of appling the proposed method to railway crossing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