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원공급시스템

Search Result 56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Factor Power Supply for LED Lighting Equipment (고효율 고역률 LED 조명장치용 전원공급장치)

  • Jeong, Gang-You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6 no.11
    • /
    • pp.23-34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the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factor power supply for LED lighting equipment. The proposed power supply is the single-stage power structure consisted of the full-bridge diode rectifier and flyback converter, and thus the power-factor correction and output voltage regulation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using only one controller IC and one power semiconductor switch. Furthermore, the proposed power supply reduces the voltage stress and switching loss of main switch using the regenerative snubber, and it improves the system efficiency using the synchronous rectifier. The applied synchronous rectifier is the new voltage-driven type and its operation and construction are simple. In this pap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proposed power supply is explained through the operation analyses of its power-factor correction and main power conversion parts and the operation of synchronous rectifier is described, briefly. Also, a design example of the power circuit of 40W-class prototype is shown and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roposed power supply are validat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implemented prototype by the designed circuit parameter.

해양 환경 적응형 스마트 항로표지 에너지 수집 및 전원 시스템 구성 방안 연구

  • 김영한;안현석;윤창석;조성윤;성주형;김양섭;권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19-220
    • /
    • 2022
  • 최근 항로표지는 기본 업무를 위한 등명기의 구동과 해상 환경 정보 수집 및 데이터 전송 기능들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장비로써 진화하고 있다. 그래서 항로표지를 운영하기 위한 전력량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동작 구동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해상 에너지원을 통해 발전하는 시스템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전원 공급 및 교체가 쉽지 않은 해상 환경에서 태양광, 파력 등의 한정적인 에너지원의 활용은 지속적인 스마트 항로표지의 동작에 한계가 존재한다. 그래서 해양 환경 상황에서도 한정된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에너지 수집을 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 센싱, 정보 연산, 데이터 처리, 무선 정보 전송 등의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 환경 적응 에너지 수집, 백업 전력운영, 항로표지 출력 에너지 재사용, 분산 전력관리 등을 포함한 차세대 스마트 항로표지 전원 시스템 구성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 PDF

Shared Powering System for FTTC deployment (일반주거지역의 FTTC 구축을 위한 공유급전 시스템)

  • Hong Sang-Ki;Ha Joung-Young;Shin Key-S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8a
    • /
    • pp.55-58
    • /
    • 2002
  • 일반주거지역의 FTTC 구축을 위해 ONU의 설치를 위한 옥외형 캐비넷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설치공간 확보와 효율적인 전원공급 문제가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용 가입자 수가 대략 30회선 정도이며 전주나 벽면에 설치되는 PON 방식의 소형 ONU를 위한 전원공급 해결안으로 공유급전방안과 개발된 각각의 구성요소(광동복합케이블, 전원시스템, 파워노드 캐비넷, 파워노드 감시시스템)에 대해 서술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Analysis System for Distributed Generation Inter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System (분산전원 배전계통연계 기술검토 시스템 개발)

  • Yoon, Gi-Gab;Chae, Woo-Kyu;Kim, Sang-Joon;Park, Chang-Ho;Jung, Won-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531-532
    • /
    • 2006
  •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주로 수용가에 가까운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들이 도입된 배전계통은 기존의 단방향 공급형태와는 달리 부하와 전원이 혼재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양방향 전력공급의 형태로 되기 때문에 전력품질 및 보호협조 측면에서 배전계통에 연계시 복잡한 기술적인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의 경우 수작업이나 EMTDC Tool에 의해 기술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신뢰성, 정확성, 객관성외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전력 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신배전정보시스템(NDIS)를 이용하여 8가지 검토항목인 전력용량, 전기방식, 역률, 뱅크역조류, 상시 순시 전압변동, 플리커, 단락용량, 연계가능 용량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rmal Management of Stack Supply Gas of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for Ship Applications (선박 전원용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시스템의 스택 공급 가스의 열관리 문제에 관한 연구)

  • Park, Sang-Kyun;Kim, Mann-E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6
    • /
    • pp.765-772
    • /
    • 2011
  • In this research, the fuel cell system model capable of generating codes in real time was developed to construct of a HIL (Hardware-In-the-Loop) for a SOFC-powered ship. Moreover, the effects of the distribution of the exhaust gas flow rates in a stack, the flow rates of fuels and temperature of air supplied on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fuels supplied to the cathode and the anode, the output power of the stack and system efficiency are examined to minimiz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uels supplied to the stack used in a 500kW SOFC system using methane as a fuel. As a result, the temperatures of fuels supplied to the cathode and the anode maintain at 830K when the opening factor of three-way valve located at outlet of turbine is 0.839. Also the process for optimization of methane flow rate considering the fuel cell stack and system efficiency is requir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s of fuels supplied to the stack.

Contactless power system for the elevator's car auxiliary power (엘리베이터 카 보조 전원을 위한 비접촉 전력전송 시스템)

  • Lim, Eung-Kyo;Rho, Sung-Chan;Kim, Soo-Hong;Kim, Ji-Min;Kim, Yoon-Ho;Kim, Eun-S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49-51
    • /
    • 2007
  • 엘리베이터는 산업의 발전과 각종 건물의 고도화와 더불어 발전하여 왔다. 엘리베이터는 사람 또는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카를 전동기를 통하여 견인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카 내부에 전등 부하를 비롯한 공조시설, 제어설비 등 다양한 부하들이 존재한다. 지금까지의 엘리베이터는 전선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부대설비가 복잡하여 지고 시공상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대설비를 간소화하고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접촉 전원장치를 이용한 이동하는 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비접촉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인버터와 변압기를 설계하여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Research for Implementation of Real-time Power Measurement and Storage System (소규모 전력시스템를 위한 실시간 전원 계측 및 저장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Seo, Jong-Wan;Suh, Hee-Seok;Shin, My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1 no.7
    • /
    • pp.29-36
    • /
    • 2007
  • According to the using of electric power source such as solar cell, fuel cell and wind energy, consumer is supplied from distributed generator and electric power company.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real-time measurement and control instrument for those distributed generator. In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equipment for the power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or. The equipment has real-time measure function and communication with PC via USB port, which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vestigation of transient state, and is compared with measurement instrum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A Study on Auxiliary Power Supply for Railway Vehicle adapted a LLC Resonant Converter (LLC 공진형 컨버터를 적용한 철도차량용 보조전원장치에 대한 연구)

  • Jone, Byoung Je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161-162
    • /
    • 2018
  • 철도챠량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용전원은 보조전원장치(이하 SIV)로 불리는 전력변환장치로부터 공급된다. 본 논문에서는 LLC 공진형 컨버터를 적용하여 스위치의 영전압 스위칭(Zero-Voltage-Switching, ZVS)을 통해 높은 효율을 달성하고, 고속스위칭에 의해 인덕터, 커패시터, 트랜스포머와 같은 소자의 부피를 줄이고 시스템의 효율을 높여 기존의 보조전원장치보다 약 40%이상 소형 경량화가 가능한 보조전원장치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 PD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Power Supply Test-bed Implementation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Self-sustainability Support (자기유지지원을 위한 무선에너지전송기반 무선센서네트워크 전원공급 테스트베드 구현)

  • Lee, Sang-Shin;Song, Min-Hwan;Ryu, Min-Woo;Won, Kwang-Ho;Kim, Joo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416-420
    • /
    • 2011
  • 무선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의 확산에 가장 큰 장애물인 한정된 전원으로 동작하는 특성에 따라 주기적인 배터리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지에서 에너지를 무선으로 공급하는 자기유지 지원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에너지전송을 통해 무선센서네트워크 노드에 에너지를 전송하는 환경을 구축하고 환경에 따라 에너지 수신의 결과를 측정하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테스트베드는 Powercast사의 915MHz 대역에서 3W EIRP (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에너지 송신장치, RF (Radio Frequency) 에너지 획득 모듈 그리고 TI사의 CC2530기반의 무선센서네트워크 노드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수신된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LabView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구현된 테스트베드는 다양한 환경에서 RF를 기반의 무선에너지전송을 통한 자기유지(Self-sustainable) 시스템의 전원공급 상태를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xternal Fault Performance Evaluation of Grid-Connected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외부사고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Lee, Jung-Woon;Seo, Won-Seok;Kim, Young-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131-131
    • /
    • 2009
  •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적인 전력생산 요구 등의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전력구조가 기존의 중압 집중형 발전을 탈피한 분산전원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분산전원으로서의 전력생산은 공급의 안전성, 경쟁력 및 에너지의 지속성 등이 요구되어지는데, 재생에너지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지속성의 한계 및 설치의 제약성을 탈피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현재 연료전지시스템이 가장 근접해 있는 실정이다. 즉, 도시가스 인프라가 우수하고 인구조밀 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각 가정 및 건물에 쉽게 설치하고 공급의 안전성을 갖는 건물용 연료전지는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산전원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올해부터 모니터링사업의 일환으로 수용가에 설치 될 연료전지 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전기와 열을 각 가정에 공급하고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가는 건물용 연료전지의 분산전원으로서의 가능성 및 국민의 수용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연료전지시스템은 상용전력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상용전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성평가의 일환으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연료전지 검사를 위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시험평가 항목으로는 크게 정상특성성능시험, 보호기능성능시험, 과도응답특성성능시험 및 외부사고성능시험 등으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사고 성능시험 항목들인 출력측 단락시험, 계통전압 순간정전?순간강하시험 및 부하차단 시험 등을 통하여 외부사고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외부사고 성능시험의 주 목적은 시스템의 이상 운전이 아니라 외부의 영향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 및 전력품질을 평가한다. 출력측 단락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변환장치를 정격 출력 전압, 정격 출력 주파수 및 정격 출력에서 운전한 후, 교류 전원장치는 단락 전류를 검출하여, 사고 발생 후 0.3초 이내에 개방하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 단락 저항 Rsc를 정격 전류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부하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였다. 스위치 SWSC를 폐로하여 단락 상태를 만들며, 이 때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전류와 차단 또는 정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은 단락전류를 검출하여 0.5초 이내에 개폐기 개방 또는 게이트 블록 기능이 동작하여 시스템을 안정하게 정지시키고 시스템 어떤 부위에도 손상이 없어야 한다. 실험 결과 파워컨디셔너의 출력전류 및 차단 또는 정지된시간이 40ms로 나타났고, 출력전류의 파형도 매우 안정함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든 실험을 수행한 결과 외부사고에 대하여 시스템이 안전하게 정지하는 등 연료전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