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역 왜곡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Optimal Parameters Estimation of Diffusion Analogy-GIUH Model for Estimation of Reservoir Flood Inflow (저수지 홍수유입량 산정을 위한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최적매개변수 추정)

  • Choi, Yong-Joon;Kim, Joo-Cheol;Lee, Gi-Ha;Jeo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22-1326
    • /
    • 2010
  •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는 통계물리적인 모형으로 이론적 물리적으로 뛰어난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유역의 동적 매개변수인 특성유속과 확산계수의 산정이 어려워 실제적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보청천 산성유역을 대상으로 전역최적화 기법인 SCE-UA를 이용하여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동적 매개변수 산정하였으며, 모형의 재현성을 3개의 수문사상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최적화 결과 차수 단계별 특성유속 및 확산계수의 증감은 변동을 보이지만, 전체적인 경향성은 특성유속의 경우 하천차수가 커질수록, 즉 하류방향에 대해 증가 경향을 나타내며, 반대로 확산계수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최적화 방법에 향후 지체시간, 분산 및 왜곡도 등의 통계적인 제약조건과 동적 매개변수의 공간적 변화 등의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 제약조건 등이 결합된다면 좀 더 발전된 모형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llumination Normalization using Gaussian Model for Detection of Hazardous Material (유해물질검출을 위한 가우시안 모델 기반 조명 정규화)

  • Lee, Jaelin;Park, Younghyeon;Jeon, By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148-149
    • /
    • 2018
  •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나노 단위의 유해물질 영상을 간단한 광학장치를 장착한 휴대폰을 사용해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유해물질 영상 관찰을 위하여 실제 사용되는 현미경에 비하여는 영상 전역에 원치 않는 잡음이 현저하게 발생한다. 특히 대중적인 저가의 광학계를 사용할 경우, 광량이 불균등하게 조사됨에 따라 얻어진 유해물질 영상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기존의 유해물질 농도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좋지 못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전체에 조사되는 불균형한 조명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가우시안 모델에 기반한 조명 정규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영상 전역에 발생한 불균형 조명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찾고자 하는 유해물질 영역의 경계 특성을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PDF

Design of High Spe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lgorithm based on Point Pattern (포인트 패턴 기반의 고속 지문인식 알고리즘 설계)

  • Na Ho-Jun;Kim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111-114
    • /
    • 2006
  • 특징점(minutiae)에 기반한 정합 방식은 간결하고 계산이 쉬워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반면 동일한 지문의 두 입력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왜곡들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왜곡들을 줄이고 포인트 패턴을 이용하여 고속 지문정합 알고리즘을 설계하였으며 1:N정합에 적합한 알고리즘이다.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에서 구한 특징점에 직교좌표의 정보를 조합한 특징점들 중에서 정합을 시도하려는 두 개 특징점 데이터 집합에 대하여 지역 정합을 시도하여 지역 정합된 특징점의 비율이 임계값을 넘어가면 전역 정합을 시도하여 정합 점수를 결정하고 가장 높은 정합수를 얻은 지문 데이터를 결정한다.

  • PDF

Reachability Plot for Non-monotonic Dendrograms (비단조적 덴드로그램을 위한 Reachability Plot)

  • Jeon, Yong-Kweon;Lee, Tae-Hoon;Lee, Byung-Han;Yoon, Sung-R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441-443
    • /
    • 2012
  • 계층 군집화 (Hierarchical Clustering)는 전역정보를 활용하여 군집화를 하기 때문에 다양한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 방법들 중에 비교적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군집화의 결과를 덴드로그램의 형태로 나타내 전체 군집들의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기존 Dendrogram의 정보를 크게 훼손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클러스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Reachability plot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Centroid Linkage 방식과 같이 덴드로그램이 비단조적이 될 수 있는 계층 군집화에서는 이것을 기존의 Reachability plot 방식으로 변환할 경우 정보가 왜곡 되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비단조적 덴드로그램의 경우에도 군집들을 정보의 왜곡 없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Image Mosaicing using Modified Block Matching Algorithm (변형된 블록 정합을 이용한 이미지 모자이킹)

  • 김대현;윤용인;최종수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393-39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화소값으로부터 추출된 유사 특징점(quasi-feature point)을 이용한 이미지 모자이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유사 특징점의 선택은 전역 정합(global matching)의 결과로부터 중첩된 영역을 4개의 부영역(sub-area)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부 영역에서 국부 분산(local variance)의 크기가 큰 블록을 선정, 이 블록의 중심 화소를 유사 특징점으로 선택한다. 유사 특징점에 대한 정합은 카메라 이동에 따른 왜곡(distortion)과 조명의 변화를 고려한 블록 정합 알고리즘(block matching algorithm)을 이용한다.

  • PDF

An Objective Quality Assessment Based on Gabor Wavelet (Gabor 웨이블릿 기반 객관적 화질 평가)

  • 엄민영;최윤식;장석각;조봉관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6
    • /
    • pp.81-88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objective quality assessment method considering the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A subjective quality assessment is obtained by the response of the receptive field in the primary visual cortex and a human's eye can't focus on all of the visual range in a moment. Take advantage of two facts above, we apply Gabor wavelet transform which is well fit the receptive field in the cortex, to divided constant sized subblocks. Then a local distortion of the subblocks and a global distortion for the entire image are calculated in order.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evaluated using video test sequences provided by the Video Quality Experts Group (VQE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good correlation with human perception i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metric, which is what we called GPSNR.

Novel Defog Algorithm via Evaluation of Local Color Saturation (국부영역 색포화 평가 방법을 통한 안개제거 알고리즘)

  • Park, Hyungjo;Park, Dubok;Ko, Hanse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3
    • /
    • pp.119-128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mages corrupted by an external source that generates an attenuation and scattering of light like dust, water droplets and fog. Conventional defog methods typically encounter a distortion such that the restored image has low contrast and oversaturation of color in some regions because of the mis-estimated airlight and wrong media transmission. Therefore, in order to mitigat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robust airlight selection method and local saturation evaluation method for estimating media transmission. The proposed method addresses the wrong media transmission and over-saturation problems caused by the mis-estimated airlight and thereby improves the restored image quality. The results of relevant experiments of the proposed method against conventional ones confirm the improved accuracy of atmospheric light estimation and the quality of restored images with regard to objective and subjective performance measures.

Color Image Compensation Method using Advanced Image Formation Model and Adaptive Filter (개선된 영상생성 모델과 적응적 필터를 이용한 칼라 영상 보정방법)

  • Choi, Ho-Hyung;Yun, Byou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10-18
    • /
    • 2009
  • Color rendition method is necessary for improving the low contrast images which are achieved by PDA, mobile phone camera or PC camera. There are some methods for color rendition. However, after correcting the color, image quality degradations, such as graying-out, halo-artifact and color noise, may occur.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retinex-based color renditi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uses the HSV color coordinate system to avoid the graying-out, and the advanced image formation model to reduce the halo-artifact in which the image is divided into three components as the global illumination, the local illumination, and reflectance.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better performance of color correction over the conveniently method.

An Efficient Partial Distortion Search Algorithm using the Spatial and Temporal Correlations for Fast Motion Estimation (고속 움직임 추정을 위한 시공간적 상관관계 기반의 효율적인 부분 왜곡 탐색 알고리즘)

  • Ha, Dong-Won;Cho, Hyo-Moon;Lee, Jong-Hwa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7 no.1
    • /
    • pp.79-85
    • /
    • 2010
  • In video standards such as H.264/AVC, motion estimation (ME) / compensation (MC) is regarded as a vital component in a video coder as it consume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resources. The full search technique, which is used in general video codecs, gives the highest visual quality but also has the problem of significant computational load. To solve this problem, many fast algorithm has benn proposed. Among them, NPDS show that can maintain its video quality very close to the full search technique while achieving computation reduction by using a halfway-stop technique in the calculation of block distortion measu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lgorithm by determining minimum distortion measure with predictive motion vector and using the new search order. As the result, we can check that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computational load 95% in average compared to the full search, respectively with the PSNR lost about 0.04dB.

A New Hybrid Weight Pooling Method for Object Image Quality Assessment with Luminance Adaptation Effect and Visual Saliency Effect (광적응 효과와 시각 집중 효과를 이용한 새로운 객관적 영상 화질 측정 용 하이브리드 가중치 풀링 기법)

  • Shahab Uddin, A.F.M.;Kim, Donghyun;Choi, Jeung Won;Chung, TaeChoong;Bae, Sung-H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4 no.5
    • /
    • pp.827-835
    • /
    • 2019
  • In the pooling stage of a full 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FR-IQA) technique, the global perceived quality for any distorted image is usually measured from the quality of its local image patches. But all the image patches do not have equal contribution when estimating the overall visual quality since the degree of degradation on those patches depends on various considerations i.e., types of the patches, types of the distortions, distortion sensitivities of the patches, saliency score of the patches, etc. As a result, weighted pooling strategy comes into account and different weighting mechanisms are used by the existing FR-IQA methods. This paper performs a thorough analysis and proposes a novel weighting function by considering the luminance adaptation as well as the visual saliency effect to offer more appropriate local weights, which can be adopted in the existing FR-IQA frameworks to improve their prediction accuracy. The extend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weighting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