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십자인대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5초

경골조면 전이동술을 이용한 개에서의 부분 전십자인대 단열치료 2례 (Tibial Tuberosity Advancement for Partial Rupture of Cranial Cruciate Ligament in Two Dogs)

  • 허수영;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44
    • /
    • 2014
  • 두 마리 개가 (증례 1: 27 kg, 증례 2: 42 kg) 뒷다리 파행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상, 증례 1은 무릎 검사 시 중증도 통증과 마취 상태에만 경골의 전위 증후을 보였고 증례 2는 과신전시 불편함을 호소하였으나 마취 전후 모두 전위 증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검사에서 두 증례 모두 관절 내 종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검사를 바탕으로 전십자인대 단열을 의심하고 관절경을 실시하였다. 관절상에서 증례 1은 불안정한 부분 전십자인대 단열을 증례 2는 안정화된 부분 전십자인대 단열로 진단하였다. 두증례 모두 경골조면 전이동술을 이용하여 치료 하였다. 증례 2에서 술 후 수술 부위에 장액종이 발생하여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술 5개월 후 두 증례 모두 임상증상이 개선되었다. 이 증례들을 바탕으로 경골조면 전이동술은 부분 전십자인대 단열에서 유용한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전방 십자 인대 재재건술 후 발생한 전경골 낭종 - 증례 보고 - (Pretibial Cyst After Arthroscopic Revisional Anterior Cru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A Case Report -)

  • 김하경;윤정로;김택선;여의동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5-228
    • /
    • 2008
  •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발생하는 전경골 낭종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전경골근 동종건을 이용한 전십자인대 재재건술 후 발생한 전경골 낭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 합병증은 경골 터널을 통하여 관절과 낭종이 이어져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들은 전십자 인대 재건술 후 전경골 낭종의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자가 골-슬개건-골 및 슬괵건을 이용한 전십자인대 재건술후 결과 비교 (Clinical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Bone-Patellar Tendon-Bone vs Hamstring Tendon Autograft-)

  • 송은규;이근배;서형연;설종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1-96
    • /
    • 1999
  • 목 적 : 전십자인대 재건술 중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자가 이식건중 골-슬개건-골과 반건양건 및 박건의 슬괵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고 두 군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2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임상적으로 전십자인대 파열로 진단되어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45예(슬개건군)와 1996년 8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반건양건 및 박건을 아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47예(슬괵건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19개월, 17개월로 비슷하였으며 연령, 성별 및 술전 임상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결 과 : 슬관절의 안정성은 술전에 비하여 두 군사이에 유사한 정도의 호전을 보이고 있었으나 장거리 보행이나 운동 후 슬개골 주위 동통과 무릎을 꿇었을 때 공여부의 통증은 슬개건군에서 현저하게 많은 발생을 보이고 있었으며, Lysholm Knee Score, 공여부 감각 저하, 연발음, 대퇴사두근의 위축 및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등은 두 군간에 유사한 정도로 나타났다. 결 론 : 전십자인대 재건술에서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경우와 반건양건 및 박건의 슬괵건을 이용한 경우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경우에서 슬개건 공여부와 슬개 대퇴관절 주위의 합병증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슬개골 주위 합병증의 예방 및 방지를 위해서는 술전 세심한 환자의 선택과 숙련된 수술 수기의 습득, 수술 전후의 적극적인 재활 치료 등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한우 싸움소에서 발생한 전십자인대 파열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in a Korean Native Cattle)

  • 이현;윤성호;박재옥;김승준;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56
    • /
    • 2014
  • 9살 된 한우 싸움소가 왼쪽 뒷다리 파행 때문에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진료가 의뢰되었다. 환축은 좌측다리에 체중을 싣지 못하고 있었으며 파행이 발견되었다. 촉진하였을 때, 무릎관절은 부어 있었고 미열이 느껴졌다. 방사선 사진에서, 관절액의 증가, 연골하골의 미란, 도르레 융기선의 골편 형성, 무릎인대하 지방체의 변화를 보였으며, 정강뼈와 융기사이융기의 앞쪽 변위를 볼 수 있었다. 병력, 신체검사에 기초하여 전십자인대 파열을 잠정 진단하였으며 방사선 사진으로 확진하였다. 대상 환축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서 정상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일 뿐 아니라 투우로서 효용성을 상실하고 현실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하여 신속히 도태 처분하였다.

소형견에서 전 십자인대 단열의 치료를 위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의 평가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for Treatment of Naturally Occurring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in Small Breed Dogs - Case Series)

  • 김충섭;허수영;김민수;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3-489
    • /
    • 2014
  • 본 연구는 소형견에서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로 치료된 증례의 예후와 수술적 기법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5 kg 미만의 7 마리의 성견에서 편측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의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을 이용한 증례를 본 연구에서 이용하였다. 임상적 관찰, 파행 지수, 관절의 운동 범위, 대퇴 둘래 길이를 측정하고 수술 후 부작용에 대해 기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1주에 파행 지수 1을 8주 이후에는 파행 지수 0를 보여 주었다. 수술한 다리의 펴짐각은 다른 쪽 정상 다리와 비교하여 4주에 98.11%로 8주에 99.07%로 12주에 98.73%로 측정되었고 굽힘각은 4주에 98.07%로 8주에 95.88%로 12주에 96.35%로 측정되었다. 수술 후 대퇴 둘레 길이는 다른쪽 정상 다리와 비교하여 4주에 92.95%를 8주에 93.68%를 12주에 95.44%를 보여 주었다. 우리가 수술 한 결과는 이전에 보고된 대형견에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의 이용 결과들과 비교하여 나쁘지 않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증례를 바탕으로 대형견에서와 같이 소형견에서도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이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관절경 수술 소견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와의 비교 (Comparison the Preoperative MRI Findings with Postoperative Arthroscopic Findings on Meniscus Injury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손홍문;이광철;김동휘;박상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52
    • /
    • 2012
  •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동반되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 대해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 소견과 수술 후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본원에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2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절경 소견상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154예였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 판독 결과와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여 위치 및 모양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전방십자인대와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진단의 민감도는 0.88이었고, 전방십자인대와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진단의 민감도는 0.69였다. 또한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는 후각 및 변연부 파열 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는 전각 및 판상 파열 시 민감도가 낮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진단하기 어려운 외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및 변연부 파열에 대해서는 관절경 수술 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겠다.

  • PDF

전십자 인대 재건시 등장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sometric position of the knee dur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박정홍;손권;김광훈;문병영;서정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61
    • /
    • 2004
  • The isometric posi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was calculated during flexion-extension. Flexion-extension motion data of the knee joint were obtained by Fastrak, a three-dimensional motion measurement system. A subject was seated on a flat table and the tibia sensor position was measured with the femur fixed at the table. A three-dimensional knee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 graphic tool to simulate the knee motion. Three surgical positions of the femoral tunnel were selected and the distances between the determined tibial tunnel and each femoral tunnel were calculated. The maximum elongation position was found to be in the ten thirty direction of cloc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