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시 디자인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7초

전시공간의 표현요소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ve Factors of Exhibition Space)

  • 김준호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6-47
    • /
    • 2000
  • 전시공간에는 공간성과 시간성이 교차한다. 구조화된 공간은 시간적 인식 매커니즘으로 개별 시퀀스의 맥락적 합으로 인식된다. 그것은 마치 한편의 영화를 감상할 때나 전통 중국음식을 음미할 때에 잔상, 잔미의 연속적 롤 플레잉의 과정과 유사하다. (중략)

  • PDF

박람회 전시공간의 커뮤니케이션 계획에 관한 연구 - 무역박람회 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ommunication Plan in the Display Space of the Trade Fair - Focusing on the Trade Fair Display -)

  • 이우진;신수길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79-188
    • /
    • 2001
  • 전시공간은 인간 그리고 전시물에 대해 그 외형과 더불어 내재된 가치의 상호작용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건축 및 실내건축의 설계, 전시 프로그램의 기획 조정, 전시공간에의 구체화, 운영 및 관리 등의 여러 가지 작업들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되는 결과물이다. 그러므로 박람회의 전시공간은 축적된 가치의 산물들을 보유하는 장소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관람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룰 수 있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무역박람회 전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시물의 특성, 전시내용, 전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시장의 위치와 형태에 따른 효과적인 커뮤니케이tus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무역박람회 전시매장의 전시공간은 그 위치에 따라 벽형, 모퉁이형, 머리형, 섬형, 양 입구형 5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계획은 수동적 커뮤니케이션 구역, 능동적 커뮤니케이션 구역, 집약적 커뮤니케이션 구역, 기능수행 구역으로 그 기능을 구분하여 계획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무역박람회 전시공간의 전시형태와 위치에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계획을 통하여 성공적인 전시를 위한 내용과 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며 무역박람회 전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첨단과학기술 체험전시를 위한 연출기법 및 전시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 첨단과학분야(NT, MEMS, BT)의 체험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isplay technique and display organization system for experience display of science technique - Focused on experience display of up-to-date science technique(NT, MEMS, BT) -)

  • 송현미;최준혁;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2-18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subject of up-to-date scientific technology, according with science museum, and to deviate from the old style, simply-seeing display, and the passive display which simply support narrative styles by one-way action. In addition, for motivating audience to take part in the display, this study is to analyze displaying technique, key marks of an exhibit and then to create the way which science museum should follow in order to plan interactive scenario and display technique. By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museums, which I took for a sample, this study will work out display scenario, based on interactive concept, and experience display technique. Moreover, this study will suggest alternatives and basis in order to develop display technique of up-to-date science in science museum.

  • PDF

비선형 스토리텔링 전시형 문화콘텐츠 몰입을 위한 비접촉 인터랙션 행위 디자인 모델 제안 (A proposal of a Non-contact Interaction Behavior Design Model for the Immersion of Culture Contents based on Non-linear Storytelling)

  • 김소진;설연수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호
    • /
    • pp.77-91
    • /
    • 2023
  • 사용자의 행위를 상호적인 탐색과정으로 활용하는 인터랙션 방식과 기술들이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각종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접촉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서비스 방식이 변화하고 있지만 인터랙션 방식에 대한 개발자들의 무분별한 정의로 인해 오히려 탐색과정이 복잡해지는 양상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사용자가 전시콘텐츠를 학습하기에 앞서 개발자가 정의한 인터랙션 가이드를 먼저 학습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전시 체험자를 위한 원활한 문화콘텐츠 정보 소통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를 위한 손쉬운 인터랙션에 대한 사전 연구가 필요하며, 비접촉 전시콘텐츠 개발 시 사용자 상호작용의 사용편의성 제고를 위한 연구 역시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시콘텐츠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고 보편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비접촉 인터랙션을 연구하고 행위(제스처)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개발자와 사용자의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문화자원 서사구조를 기반으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고 문화콘텐츠로써 인터랙션 지점을 도출하였으며 사용자가 인터랙션 방식을 자연스럽게 추측하고 학습할 수 있는 손짓 기반 비접촉 행위 중 가장 효율성이 높은 탐색과정을 선별하였다. 나아가 비선형 내러티브 기반 인터랙션의 의미와 공간적 행위 요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적 효과와 효율성이 높은 어포던스 행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전시형 문화콘텐츠 탐색활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비접촉 인터랙션을 이해하고, 전시콘텐츠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비접촉 인터랙션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는 행위를 최종적인 모델로 제안하였다.

국내.외 PV 통합 프로젝트의 사례분석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Photovoltaic Integrated Projects)

  • 윤성원;김혜성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85-94
    • /
    • 2008
  • 본 논문은 국내 외 PV 통합 프로젝트를 구조 디자인의 시각에서 평가한 논문이다. 국내 외 대표사례를 공공시설과 전시시설로 구분하여 국내 사례 3가지, 해외사례 3가지의 대표 사례를 들었다. 평가항목은 건축물과의 자연스러운 통합, 엔지니어링디테일, 혁신적인 새로운 설계의 항목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의 공공시설 및 전시시설은 주로 옥상층에 독립지지방식을 사용한 사례가 많았으며 아직 디자인적 통합부분에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전시시설은 건축물 설계단계에서부터 PV 패널을 염두에 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그에 비해 해외 공공시설 및 전시시설의 경우는 주로 모듈 접합방식을 사용하면서 구조적인 통합과 디자인적 통합을 동시에 이루었으며 사용하는 PV패널의 종류도 좀 더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시디자인의 변천과정과 요인에 관한 연구 - 독립기념관의 시기별 전시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ransition Process and factor of Exhibition Design - Based on the Exhibition's Transition in the Independence Hall -)

  • 권순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65-272
    • /
    • 2006
  • Traditionally exhibition design as been restricted to architectural, interior, and lighting design, but recently it has begun to overlap into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art. Exhibition design also increasingly involves the application of film, fashion, and the new media. In the past, exhibits were arranged and displayed for the visitor to view directly, but with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exhibit media a connection has been created between the exhibit and the visitor. However exhibition design has reached the limits of continuous growth without background theory, when now it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museum's activ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exhibition's design. Exhibition design has developed and grown rapidly since the Taejeon Expo in 1993, but it is a difficult development without a theoretical structure. The flow of exhibition design must be systemized, as the systemizat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exhibition design has not yet been achiev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arrangement of exhibition design flow, an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factors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exhibition design and exhibit medium development, based on the 18 year history of the Independence Hall that introduced the first systematic planning of an exhibition in 1987.

프라다의 전시기획과 의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kirt Exhibition of Prada)

  • 이은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49-158
    • /
    • 2005
  • 본 연구는 90년대 이후 안티 디자인, 미니멀스타일의 오리지널리티를 가진 프라다의 전시 기획을 통하여 최근 트렌드인 노노스, 해체, 기능주의에 대한 프라다의 패션스타일을 다시 한번 검색하고, 전시기획에서 보여주는 현대디자인의 의미와 디자이너 프라다가 보여주는 창조를 통해 변모해 가는 기능주의와 패션의 예술성, 문화적 담론으로 다가가는 패션전시기획에 대하여 새로운 장을 여는 패션의 전시장 진출에 있다. 패션은 정지해 있지 않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전시장 속에서는 다양한 장르와 융합된 패션아이템 뿐 아니라 빛과 움직임에 대한 해석, 현대디자인의 새로운 발전, 그리고 끊임없이 질문에 대답해야 하는 현대예술과 문화의 새로운 출구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