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선형 스토리텔링 전시형 문화콘텐츠 몰입을 위한 비접촉 인터랙션 행위 디자인 모델 제안

A proposal of a Non-contact Interaction Behavior Design Model for the Immersion of Culture Contents based on Non-linear Storytelling

  • 김소진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 설연수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투고 : 2022.11.21
  • 심사 : 2023.01.04
  • 발행 : 2023.02.28

초록

사용자의 행위를 상호적인 탐색과정으로 활용하는 인터랙션 방식과 기술들이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각종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접촉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서비스 방식이 변화하고 있지만 인터랙션 방식에 대한 개발자들의 무분별한 정의로 인해 오히려 탐색과정이 복잡해지는 양상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사용자가 전시콘텐츠를 학습하기에 앞서 개발자가 정의한 인터랙션 가이드를 먼저 학습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전시 체험자를 위한 원활한 문화콘텐츠 정보 소통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를 위한 손쉬운 인터랙션에 대한 사전 연구가 필요하며, 비접촉 전시콘텐츠 개발 시 사용자 상호작용의 사용편의성 제고를 위한 연구 역시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시콘텐츠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고 보편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비접촉 인터랙션을 연구하고 행위(제스처)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개발자와 사용자의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문화자원 서사구조를 기반으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고 문화콘텐츠로써 인터랙션 지점을 도출하였으며 사용자가 인터랙션 방식을 자연스럽게 추측하고 학습할 수 있는 손짓 기반 비접촉 행위 중 가장 효율성이 높은 탐색과정을 선별하였다. 나아가 비선형 내러티브 기반 인터랙션의 의미와 공간적 행위 요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적 효과와 효율성이 높은 어포던스 행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전시형 문화콘텐츠 탐색활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비접촉 인터랙션을 이해하고, 전시콘텐츠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비접촉 인터랙션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는 행위를 최종적인 모델로 제안하였다.

Interaction methods and technologies for mutual exploration based on user behavior are evolving variously. Especially,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a wide range of sensors, they have developed from contact to non-contact methods. However, developers' senseless definitions of the interaction methods have made the exploration process quite complicated, which rather creates the hassle of users needing to learn the interaction guide defined by the developers before experiencing the exhibition contents. In this context, in order to make visitors smoothly communicate with exhibition contents, a preliminary study on easy interaction for users of various ages is needed, and in particular, research on improving the usability of user interaction is also essential when developing non-contact exhibition contents. So, in this study, a method to reduce the confusion between developers and users was sought by researching non-contact interaction that could be universally interacted with in the field of exhibition contents and proposing behavior designs. First,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cultural resources, exist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 points of interactions as cultural contents were derived. Then the most efficient search process was selected among non-contact behaviors based on hand gestures that allow users to naturally guess and learn interaction methods.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meaning of non-linear narrative-based interac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of spatial behavior elements, affordance behavior with high learning effect and efficiency wa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an action that helps users to understand non-contact interaction naturally in the process of exploring exhibition-type cultural contents and to utilize non-contact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immersion in exhibition contents is proposed as a final model.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의 지원을 받아서 수행된 연구임. 과제번호(R2021080001)

참고문헌

  1. 정승혜, "광고 연구의 질적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년
  2. 김광욱, "스토리텔링의 개념," 겨레어문학, Vol. 41, 249-276(28page), 2008년 12월
  3. 이영식, "서사의 화자와 시점의 문제," 2004, (웹)서사연구실, http://bibliotherapy.pe.kr/
  4. 김민수, "가장 인간적인 소통의 형식," 거름 2002년
  5. 제라르 주네트,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6.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2006년, pp.13-18
  7. 류은영,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 인문콘텐츠, Vol. 14, pp. 229-262, 2009년 3월
  8. 쟈넷머레이,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년 12월
  9.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출판, 2014년 3월
  10. 이명규, "아시아문화정보원의 문화자원 분류체계연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중장기 연구계획, 2015년
  11. 김봉군, "문장기술론," 삼영사, 2005년 2월
  12. 2021년, https://www.youtube.com/watch?v=xQncwrlOdUM (accessed Nov. 14, 2022.)
  13. C.D Wickens, "Engineering Psychology and Human Performance," New York: Harper Collins, 1992.
  14. 류시천, "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타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2000년
  15.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독서 실행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특허청. 10-2013-005060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