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송 지연

Search Result 2,38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Method for Minimizing Data Delay in Energy Efficient Sensor MAC Protocols (데이터 전송 지연 최소화 기법)

  • 서창수;고영배;김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715-717
    • /
    • 2004
  • 최근 무선 통신 기술과 전자 기술의 진보로 지능형 센서(Smart Sensor)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는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Ad-Hoc 네트워크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새로운 이슈이다. 최근 센서관련 논문에서는 각 센서 노드의 제한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이 없을 경우 노드의 통신 모듈을 Sleep 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 한다. 이를 위해서 모든 센서 노드들은 동기화를 맞추어 listen과 sleep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 효율성과 데이터 전송 지연간의 반비례 관계이다. 에너지의 효율성을 위해 Sleep 시간을 길게 할수록, Sleep 시간에서 발생한 데이터의 지연 시간도 길어지게 되므로, 데이터의 지연을 고려하여 sleep 시간을 적당히 조정해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성을 위해 listen/sleep 주기를 사용하면서도 데이터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율적 sleep 시간에 대해 논의 해 보려 한다.

  • PDF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Adaptive Delta Modulation Using High-Order Prediction and Delayed-Decision (고차 예측기와 지연 결정을 이용한 ADM 부호화기의 성능 개선)

  • 조동호;은종관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6
    • /
    • pp.5-13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16Kbps 및 32 Kbps 전송속도에서 ADM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 식을 적용한다. 첫째로, 고차 예측기 또는 적응 예측기를 ADM에 활용한다. ADM의 경우에 2차 또는 3 차 예측기를 사용하면 16Kbps 전송속도에서는 별로 개선이 없지만 32Kbps 전송속도에서는 SQNR\sub SEG\척도로 약 3-4dB의 상당한 이득이 얻어진다. 또한 ADM에 적응 예측기를 활용하면 최대 성능은 SZNR\sub SEG\ dir 2dB 정도 개선되지만 양자화 잡음의 축적 때문에 동작 범위가 매우 좁아진다. 둘 째로, 지연 결정 방식을 ADM에 이용한다. 지연 결정 방식을 2차 예측기를 갖고 있는 ADM에 적용하면 약 2dB 정도 개선되지만 양자화 잡음의 축적 때문에 동작 범위가 매우 좁아진다. 둘째로 지연 결정 방 식을 ADM 에 이용한다. 지연 결정 방식을 2차 예측기를 갖고 있는 ADM에 적용하면 1차 예측기를 갖 고 있는 ADMDP 적용했을 때 보다 16또는 32Kbps일 때 SQNR\sub SEG\척도로 재래의 ADM 보다 약 5dB 정도의 성능 개선이 얻어진다.

  • PDF

Delay Improving Mechanism for AODV using Bloom Filter (Bloom Filter 를 이용한 AODV 의 지연시간 향상 방안)

  • Kim, Hakwon;Kim, Kwangsoo;Youn, Byungseong;Roh, Bye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338-339
    • /
    • 2014
  • 전투무선망은 망토폴로지 변화가 심하고 대역폭, 전원 등 자원이 제한되는 ad-hoc 망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데이터 전송 지연은 임무 성공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투무선망에는 망토폴로지 변화에 강한 AODV 를 기반으로 성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 되어 왔다. 그러나 Reactive 방식의 알고리즘이 가지는 경로탐색시간 동안 데이터를 보낼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Bloom Filter 에 담아 미리 수집한 이웃 노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AODV 의 경로탐색 및 경로복구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전송지연을 줄인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 시 AODV 를 이용할 때보다 향상된 지연시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A Live Multimedia Multiplexing Method for VBR-coded Elementary Streams with Delay Constraints (지연 조건을 갖는 VBR 부호화된 기본 스트림에 대한 라이브 멀티미디어 서비스 다중화 기법)

  • 김진수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9A
    • /
    • pp.1516-1524
    • /
    • 2001
  • 현재 ATM망, giga-bit 이더넷, fast 이더넷 그리고 프레임-릴레이와 같은 고속 전송 망 구축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 욕구를 촉진시키고 있다. 특히,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환경에서는 다중화되는 개개의 기본 스트림들에 대한 특성이 더욱 가변적임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다중화하여 망에 적응 및 연동시키는 기술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응용 환경을 고려하여 가변 비트율로 부호화 및 다중화하여 전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지나친 전송 대역폭의 낭비를 초래하지 않고 다중화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가변 비트율로 부호화된 기본 스트림의 각 액세스 단위에 대해 부과되는 지연 크기에 의한 제한 조건 관계식을 정의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라이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각각 시간적 측면만을 고려한 방법과 시간/공간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방법으로 나누어 제안한다. 부호화된 Star-wars 데이터 트레이스를 이용한 모의 실험에서 제안된 방식은 크게 다중화 전송 스트림의 첨두율, 변화율 계수 그리고 유효 대역폭 측면에서 성능을 크게 개선시킴을 확인한다. 그리고, 저 지연을 갖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이 나타남을 확인한다.

  • PDF

A Intra-media Synchronization Scheme using Media Scaling (서비스 품질 저하 기능의 미디어내 동기화 방안)

  • 배시규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4 no.4
    • /
    • pp.1-6
    • /
    • 1999
  • When continuous media are transmitted over the communication networks, asynchrony which can not maintain temporal relationships among packets my occur due to a random transit delay. There exist two types of synchronization schemes ; for guaranteed or non-guaranteed resource networks. The former which applies a resource reservation technique maintains delay characteristics however, the latter supply a best-effort service. In this paper, I propose a intra-media synchronization scheme to transmit continuous media on general networks not guaranteeing a bounded delay time. The scheme controls transmission times of the packets by estimating next delay time with the delay distribution So, the arriving packets my be maintained within a limited delay boundary, and playout will be performed after buffering to smoothen small delay variations. To prevent network congestion and maintain minimum quality of service the transmitter performs media scaling-down by dropping the current packet when informed excessive delay from the receiver.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High-speed Data Optical Transmission ADC for Minimization of Time Delay (지연시간 최소화를 위한 고속 데이터 광 전송용 ADC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ong-Dae;Park, Chan-Hong;Park, Byeong-Ho;Ahn, Chang-yeop;Seong, Hyeon-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182-185
    • /
    • 2014
  • In this paper, the ADC performs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high speed data transfers to minimize the optical delay. Have more $6{\mu}s$ delay in the data signal converting optical repeater transmission system existing there has been a limit on th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signal conversion. The need to develop a new technique to reduce the delay in time within $2{\mu}s$ data signal converted by using this direct conversion system. It is desired the development of the core technologies necessary for the signal transduction component, such as mobile communications LTE, LTE advanced service transport network is established, the delay time $3{\mu}s$ technology for reducing the delay time in the signal converting a revolutionary step is applied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n ADC.

  • PDF

A Broadcast Tree Construction Algorithm for Minimizing Latency in Multi-Rate Wireless Mesh Networks (다중 전송률을 지원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지연시간 최소화를 위한 브로드캐스트트리 생성 알고리즘)

  • Kim, Nam-Hee;Park, Sook-Young;Lee, Sang-Kyu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5 no.5
    • /
    • pp.402-408
    • /
    • 2008
  • This paper considers the problem of minimizing network-wide broadcast latency in multi-rate wireless mesh networks where a node can dynamically adjust its link layer transmission rates to its neighbors. We propose a broadcast algorithm that complements existing broadcast construct algorithm which chooses a multicast node randomly when each candidate node has same metric. We consider the currently accumulated broadcast latency from source node to the each candidate node so far to choose the next broadcast node. The proposed broadcast algorithm for minimizing latency in a multi-rate mesh networks which exploit wireless advantage and the multi-rate nature of the network. Simulation based on current 802.11 parameters shows that proposed MinLink_WCDS algorithm improves overall latency than the previous existing broadcast algorithm.

Design of Zigbee Beacon Frame for High Efficiency Transmit in Home Network (홈 네트워크에서 고효율 전송을 위한 Zigbee Beacon Frame 설계)

  • Han, Kyoung-Heon;Han, Seung-Jo;Choi, Hyun-Y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11B
    • /
    • pp.1373-1382
    • /
    • 2011
  • Zigbee is communication technology most ideal because Zigbee support low power communication and wide expansion in wireless home network. However, Zigbee is not popular, because of Zigbee always has Hidden Node Problem and Transit Delay Problem. We propose new Beacon Frame structure to solve the two problem in Zigbee. New Beacon Frame structure reduces a Super Frame Duration and add a same space of a Control Frame Duration. We expect to solved method of Hidden Node Problem that exchange terminal information to using RTS/CTS. Also, We expect to solved method of Transit Delay Problem that put Beacon between Control Frame Duration and Super Frame Duration for synchronization. We confirm new Beacon Frame to solved two problem in OPNET simulation at Zigbee QoS Parameters. We measure Delay(sec) for solution degree of Transit Delay Problem, and measure Throughput(bits/sec) and Load (bits/sec) for solution degree of Hidden Node Problem.

A Scheme to Reduce the Transmission Delay for Real-Time Applications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응용을 위한 전송 지연 개선 기법)

  • Bin, Bong-Uk;Lee, Jong-Hyup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8
    • /
    • pp.1493-1499
    • /
    • 2007
  • Real-time application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require real-time transmissions from sensing nodes to sink nodes. Existing congestion control mechanisms have treated congestion problems in sensor networks, but they only adjust the reporting frequency or the sending rate in intermediate nodes. They were not suitable for real-time applications from the transmission delays point of view.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echanism that can reduce the transmission delay and can increase the throughput for real-time applications in sensor network. This mechanism classifies data on the real-time characteristics, processes the data maintaining the real-time characteristics prior to the other data such as the non real-time data or the data lost the real-time characteristics. A modified frame format is also proposed in order to apply the mechanism to IEEE 802.15.4 MAC layer. The simulation based on ns-2 is accomplished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scheme from transmission delay and throughput standpoin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a better performance specifically when It applies to the real-time applications in sensor networks.

A MPEG Algorithm for IP surveillance (IP Surveillance를 위한 MPEG 알고리즘)

  • Koh, Seoung-ch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3-176
    • /
    • 2004
  • 영상압축 표준인 MPEG알고리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아날로그 CCTV 영상 감시시스템 분야에서도 MPEG을 응용한 IP Surveillance 시스템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IP Surveillance를 위한 MPEG 알고리즘의 최적 Qp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전송구간에서의 지연과 품질에 대해 분석하였다.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전송에서 QoS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압축된 영상데이터의 bit rate와 전송구간인 네트워크에서의 지연으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IP Surveillance를 위한 디지털 CCTV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방안을 MPEG 알고리즘과 전송부분에서 분석하고 효율적인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