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송률 분할 다중 접속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7초

다중 반송파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에서의 주파수 효율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전력 및 전송률 적응화 기법 (Efficient Power and Rate Adaptation Strategy for Improved Spectral Efficiency in Multi-Carrier DS-CDMA Communications)

  • 이예훈;김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8호
    • /
    • pp.697-703
    • /
    • 2013
  •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직접 대역확산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효율 향상을 위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적응화 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수신단에서 이상적인 채널상태 정보를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주파수 영역에서는 각 사용자의 부채널 중에서 가장 채널상태가 좋은 한 대역을 선택하여 전력을 할당하고 시간 영역에서는 목표 수신 품질을 만족하도록 전송률을 결합 조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수학적 분석을 통하여 평균 전송 전력이 고정되어 있을 때 제안한 방식의 평균 데이터 전송률을 구하고 전력 혹은 전송률 적응화가 적용된 단일 반송파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과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전송률 분할 다중 접속 기술을 활용한 비면허 대역의 트래픽과 공정성 최대화 기법 (Unlicensed Band Traffic and Fairness Maximization Approach Based on Rate-Splitting Multiple Access)

  • 전장우;김승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10호
    • /
    • pp.299-308
    • /
    • 2023
  •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으로 인해 스펙트럼 부족 문제가 가속하됨에 따라, 면허 대역에서 통신하던 사용자들을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하는 NR-U(New Radio-Unlicensed)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NR-U 네트워크 사용자로 인해 동일한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하는 Wi-Fi 네트워크 사용자의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NR-U 네트워크 사용자와 WiFi 네트워크 사용자가 공존해있는 비면허 대역의 처리량과 비면허 대역의 사용에 대한 공평성을 동시에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비면허 대역에서 전송률 분할 다중 접속 기술을 활용한 NR-U 네트워크의 합-전송 속도 (Sum of Rate)를 최대화하기 위해 강화 학습의 몬테 카를로 정책 하강법(Monte Carlo Policy Gradient)을 활용한 최적의 전력 할당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 뒤, 동일한 비면허 대역에서 NR-U 네트워크와 WiFi 네트워크의 공존을 위해 시스템 처리량과 공정성을 동시에 최대화할 수 있는 게임 이론의 순차적 라이파 협상 해법(Sequential Raiffa Bargaining Solution)을 활용한 채널 점유 시간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동일한 전력 할당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송률 분할 다중 접속 기술이 기존의 다중 접속 기술들보다 더 빠른 합-전송속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면허 대역 네트워크의 전송량과 공평성을 비교해본 결과 본 논문의 순차적 라이파 협상 해법을 활용한 채널 점유 시간 분할 알고리즘이 타 알고리즘보다 처리량과 공정성을 동시에 만족함을 입증하였다.

실내 비방향성 분산채널에서 다중전송률 광무선 PPM-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of Multi-rate Optical Wireless PPM-CDMA System over an Indoor Non-directed Diffuse Channel)

  • 황성수;이재홍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7A호
    • /
    • pp.943-95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실내 비방향성 분산채널에서 비동기 다중전송률 광무선 펄스위치변조기법을 적용한 부호분할다원 접속 시스템을 제안한다. 부호분할다원접속을 위한 시그너쳐 시퀀스로는 광직교부호를 사용하고, 비트오류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섭제거기법을 적용한다. PPM-CDMA은 전력효율이 다른 변조기법에 비해 우수하고, 고정된 펄스구간에 대해 변조레벨을 변화시켜 다중전송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전송률 PPM-CDMA 시스템은 각 전송률에 대해 칩전송률 및 샘플링 시간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써 전체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 PDF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가 있는 선형 수신기 기반의 공간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최대 전송률 분석 (Achievable Throughput of SDMA System with Linear Receivers)

  • 안민기;박석환;이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7A호
    • /
    • pp.649-653
    • /
    • 2011
  •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공간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을 다룬다. 기지국 및 모바일 사용자들은 각각 같은 개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가정한다. 모든 수신단에서 최소 자승 오류율 수신기를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기지국의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해 최대 신호 대 간섭 잡음비를 겪게 되는 사용자들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평균적인 전체 데이터 전송율 성능을 유도한다.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에서 전력 및 전송률 적응화 직접 대역확산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을 위한 최적 칩률에 관한 연구 (Optimal Chip Rate of Power and Rate Adapted DS/CDMA Communication Systems in Nakagami Fading Channels)

  • 이예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A호
    • /
    • pp.128-1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전력 혹은 전송률 적응화 된 직접 대역확산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의 최적 칩률에 관하여 연구한다. 주파수 효율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칩률은 다중경로 세기 프로파일과 직접파 성분, 그리고 적응화 방식에 의해 결정됨을 알았다. 전송률 적응화 방식에서의 최적의 칩률은 채널 파라미터에 상관없이 다중경로 지연 확산 $1/T_m$ 보다 적다. 이 결과는 전송률 적응화 방식에서는 상관 수신기가 RAKE 수신기보다 더 높은 주파수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전송 전력 적응화 방식에서는 최적의 칩률과 그에 상응하는 RAKE 수신기의 탭 수가 다중경로 세기 프로파일과 직접파 성분에 관한 함수임을 알 수 있었다.

수중 센서 네트워크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코딩 기법 (A Network Coding Scheme with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 서보민;조호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6-9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높은 비트 오류율을 가지는 수중 환경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코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 코딩 기법의 매체 접속 방식으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제안하는 기법은 다수의 소스 노드와 중계 노드, 하나의 싱크 노드로 이루어진 구조에 적용된다. 성능 분석 파라미터로서 소스 노드가 전송한 전체 패킷의 수에 대한 싱크 노드에 성공적으로 도달한 패킷의 수의 비율인 패킷 전달률을 사용하였고 모의실험 결과 50%에 가까운 패킷 오류율 환경에서도 95% 이상의 패킷 전달률을 나타내었다.

버퍼를 가진 다중코드-코드분할다중접속(MC-CDMA) 시스템에서 동적 전송 제어 프로토콜 설계 (Dynamic Transmission Control Design in Buffered MC-CDMA System)

  • 김영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9권9호
    • /
    • pp.20-27
    • /
    • 2002
  • 무선 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에 대한 요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CDMA에서의 시스템 분석은 패킷의 재전송을 위한 버퍼가 없는 음성을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버퍼링과 재전송을 고려한 다양한 QoS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접속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다양한 전송률을 사용할 수 있는 MC-CDMA(Multi-Code CDMA) 전송방식 위에서 버퍼링의 영향을 살펴 보고 다양한 조건에서의 동적 전송률 제어 방식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해상 초단파 대역 데이터 교환 시스템을 위한 다중 접속 방식의 성능 분석 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ple Access Protocol for Maritime VHF Data Exchange System (VDES))

  • 윤창호;조아라;김승근;임용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839-2846
    • /
    • 2014
  • AIS VDL의 과부하 방지와 새로운 해상 데이터 교환 (VDE)을 위해 VHF 대역 채널이 WRC-12에서 할당되었고, ITU-R M. 1842-1을 통해 VDE 시스템의 기술 특성이 권고되었다. ITU-R M. 1842-1에서 다중 접속 방식으로 AIS class B용 CS-TDMA를 권고하고 있으나, 선박의 속도에 따른 전송주기의 적용은 고부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려는 VDES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활성 선박국의 수에 따라 전송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모의시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시험에서 수신 패킷의 수, 수신 성공률, 채널 이용률, 수신 충돌률 등의 다양한 성능을 분석하여, 활성 선박국의 수에 따라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능 지표를 제시한다.

OFDMA 시스템에서 전송률 향상을 위한 충돌 회피 스케줄링 (Collision Avoidance Scheduling for Capacity Improvement of Adaptive OFDMA Systems)

  • 김영주;송형준;권동영;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1호
    • /
    • pp.9-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간 충돌 (collisions)을 피하도록 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케줄링 기법은 각 사용자간 채널 상태의 차이를 조사하여 최소 충돌 조건 (minimum collision criterion)을 만족시키도록 동작한다. 또한 제안된 스케줄링을 사용했을 때 OFDMA 시스템의 전송률을 분석하였는데, 이 분석을 통해 OFDMA 시스템의 전송률이 선택된 사용자들 간의 충돌 횟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스케줄링 기법이 사용자 간 충돌의 감소를 통하여 시스템의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기존의 스케줄링 기법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스케를링 기법이 전송률 측면에서 더 우월하다는 것을 확인한다.

페이딩 채널에서 직접 대역확산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일반화된 혼합 전력/전송률 적응화 기법 (Generalized Combined Power and Rate Adaptations in DS/CDMA Communications over Fading Channels)

  • 이예훈;김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8호
    • /
    • pp.680-68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직접 대역확산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일반화된 혼합 전력/전송률 적응화 기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각 사용자를 위한 전송전력은 $G^p_i$에 비례하여 할당되는데, 여기에서 $G_i$는 사용자 i의 채널 이득이고 p는 실수이다. 전송률(즉, 처리이득)도 원하는 전송품질을 얻기 위하여 동시에 결합되어 적응화 된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 전력 및 최대 전력이 고정되어 있을 때 제안하는 혼합 적응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평균 데이터율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하는 혼합 전력/전송률 적응화 방식이 전력 혹은 전송률의 단일 적응화 방식에 비하여 많은 성능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