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석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 Distribution in Debris-flow Incoming River (토석류 유입 하천의 하상재료 분포 특성)

  • Shin, Seung Sook;Park, Sang Deog;Lee, Seung Kyu;Park, Sangyeon;Yun, Min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92-392
    • /
    • 2016
  • 다량의 토사가 유입된 하천에서의 유사 이송 및 퇴적 과정을 이해하고 하상재료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안정하도설계를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2006년 7월경 태풍으로 인한 수증기가 강원도내의 산악지형과 만나면서 내륙산간 지역 집중호우로 인해 지방하천에 토석류 홍수 피해가 크게 발생하였다. 인제군에 위치한 한계천은 그러한 피해를 경험한 하천 중에 하나이다. 토석류가 발생한 한계천과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은 인근지역 하천인 영실천의 하천 특성을 비교하였다. 토석류 발생 이후 2008년, 2010년, 2012년의 위성영상을 비교한 결과 영실천의 하천 유심부의 위치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한계천의 경우 유사이송에 의해 하천의 유심부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유사이송 구간의 하상재료 크기가 256~2,048mm 범위인 전석(boulder)이 점차적으로 빈번하게 관측되었다. 토석류 유입 하천의 하상재료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천 구간별 전석의 크기와 빈도를 조사하였다. 하천에서의 토석류 유입은 하상재료 전석의 빈도와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석의 공간적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석의 빈도와 크기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구간별 하상 경사, 하폭, 그리고 유속 등에 따라 전석의 공간적 크기와 빈도가 연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Effect of the Vibration, Air Blast and Bould Size of Blasting by means of Air Tube (에어 튜브(Air Tube)에 의한 발파의 진동, 폭음 및 전석 제어 영향 연구)

  • 강대우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8 no.3
    • /
    • pp.59-66
    • /
    • 2000
  • "Air Tube" 발파공법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일반 발파 방법의 단점을 크게 보완하여, 이 에 따른 진동, 폭음(소음), 전석 발생 등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기존 Air Decking 기술을 응용한 것이다. 본 연구는 폭약의 하부, 폭약과 폭약사이, 폭약의 상부와 전색 사이에 일정 길이의 "Air Tube"를 장착시켜 폭약의 투사면적을 증가시키고, 진동의 감쇠와 전석이 감소되어 특히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민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진동 및 폭음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발파 기술이다.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발파 기술이다.

  • PDF

Movement of falling spheres in open-channel flow (개수로 흐름에서 구체의 침강이동)

  • Park, Ho Kook;Park, Sang Deog;Yoon, Min Woo;An, Khe 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2-256
    • /
    • 2018
  • 호우 시 산지하천 유역에서 빈발하는 토석류에 따라 하천 흐름에 들어온 전석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물체는 하류로 이송되거나 하상에 퇴적하여 기존 흐름과 하상을 변화시키는 교란요인이 된다. 따라서 산지하천 흐름에서 전석의 영향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나 이는 유속, 전석의 크기와 형상, 유입조건, 부유사 농도 등 수 많은 변수들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경로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이 연구는 유리와 철로 된 구형물체가 개수로 흐름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조사한 것이며 흐름의 수심, 물체의 크기와 초기침강조건을 고려하여 수리실험을 실시하고 물체의 이동경로와 유하거리를 분석하였다. 개수로 흐름에 유입한 구형 물체는 침강에 의한 항력과 유수에 의한 항력을 동시에 받는다. 이 힘은 물체의 형상, 유수의 점성, 난류, 물체와 물의 밀도차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구체의 이동경로와 시간을 좌우한다. 실험결과 개수로 흐름에서 낙하중인 구형물체는 하상에 가까워질수록 흐름방향 이동거리가 증가하였다. 물체의 수중무게가 작을수록 유수 중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고 이동거리가 더 크며, 구체에 작용하는 초기항력에 따라 초기 낙하각도와 이동거리가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Reproduction of Piping Failure Due to the Permeable Layer Using Centrifuge Test (원심모형실험을 통한 전석층이 존재하는 제방에서의 파이핑 현상 모사)

  • Jin, Seok-Woo;Kim, Nam-Ryong;Kim, Do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1C
    • /
    • pp.1-10
    • /
    • 2011
  • This paper simulates the piping effect, found levees with large difference in coefficient of permeability within the foundation such as the Gim-po Levee, via centrifuge model test which is a model test. We have also conducted a numerical analysi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centrifuge model test to compare its results. First, we decided to use the centrifuge model based on the Gim-po Levee, and the tests were executed on a model levee with pore water pressure transducers. We have found that most of the water flows through the permeable layer and causes the piping effect. Via video camera footage, we have found that the piping effect occurred at the toe of the model levee. The characteristic of pressure head distribution, obtained from the pore water pressure transducers, also proves the occurrence of the piping effect.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e same results as the centrifuge model test. We have simulated the piping effect via centrifuge model test and believe that the centrifuge model test is viable for various tests, predictions and evaluation of the levee problems.

Boulder Detection Methods and its Compensation for Obstruction in sonft Ground Tunnels by Shielded TBM (연약지반 쉴드 터널 굴착시 전석장애물 탐지방법 및 보상문제)

  • Jee Warren-Wangryul;Ha Sang-G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9 no.1 s.32
    • /
    • pp.110-117
    • /
    • 2006
  • Boulder detection methods and its compensation is discussed with consideration of boulder conditions in soft ground tunneling by shielded TBM. For analysis of proper compensation methods for boulder obstruction, its removal costs and cases on eight projects are presented. Compensation for boulder obstruction removal by volume or weight is not practical for most tunneling situation, but compensation by crew time is probably the most equitable method. If boulders are anticipated on project, boulder removal plan must be considered with proper equipment selection.

Inhabitation and distribution of fish to stream bed in the Geum river basin (금강수계에서 하상재료에 따른 어류의 서식 및 분포)

  • Kim, Jeong-Kon;Hur, Jun-Wook;Park, Jin-Woo;Kim, Kyung-Hoon;Woo, Hyo-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94-498
    • /
    • 2010
  • 금강수계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17개 지점을 대상으로 어류 모니터링과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하상재료는 사립자 크기에 따라 6단계(실트, 모래, 가는자갈, 굵은자갈, 호박돌 및 전석)로 나누었으며, 각각 3개 지점씩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10과 49종 7,316개체였다. 하상재료 중 실트~굵은자갈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가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며, 호박돌~전석에서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다양도 및 우점도는 가는자갈~굵은자갈에서 최적 상태를 보였으며, 정량적서식지평가(QHEI)와 생물보전지수(IBI)는 하상재료가 커짐에 따라 점수가 증가하여 최적 상태를 나타내었다.

  • PDF

An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tepped boulder fishway installed in mountain stream (산지하천에 설치된 계단식 전석 어도의 수리 특성 분석)

  • Kim, Ki H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99-109
    • /
    • 202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stepped boulder fishway us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boulder weir, focusing on the problems of existing concrete pool-and-weir fishways installed in mountain streams. To achieve this purpose, a stepped boulder fishway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as a pilot project in consideration of ascending capacity of the selected target fishes. Under the given discharge conditions,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fishway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cending capacity of the fish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ishway had a short length and steep slope, but the mean drops between each baffle were the range of 0.15 to 0.29 m, and this range satisfied the limit condition of about 0.40 m, which was in the limit of the drop that target fishes can ascend. The mean velocities of each baffle and pool were 0.82 to 0.87 m/sec and 0.13 to 0.24 m/sec. This result satisfied the conditions of burst speed (10 to 30 times of body length) and mean velocity of the resting pool (7 to 25% of burst speed) for target fishes.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pool formed of boulders had a gentle reverse slope and rotational flow did not occur, the efficiency of fishway can be increased, 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solve the maintenance problem by flushing bed materials.

Development of Ecologically Suitable Habitat Model for the Sustainable Sea Cucumber Aquafarm (지속가능한 해삼 양식장 조성을 위한 생태적합 서식처 모형 개발)

  • Oh, Yoon Wha;Kang, Min-Seon;Wi, Jin Hee;Lee, In Ta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1
    • /
    • pp.64-79
    • /
    • 2015
  • We investigated the tidal current, hydrographic data, and benthic environment of major sea cucumber (Holothuroidea, de Blainville, 1834) habitats in Baengnyeongdo, Jindo and Uljin to understand the optimal environmental or ecological habitat for sea cucumbers. The three study areas were characterized by a cold-water mass of temperatures ranging $12{\sim}18^{\circ}C$, with an active circulation between the surface and deep water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tidal current map, a strong flow velocity of $100{\sim}120cm\;s^{-1}$ appeared in Baengnyeongdo and Jindo. The three sea cucumber habitats showed the common characters of a bottom sediment composed of sand-silt, a diverse seaweed colony and benthic organisms, and boulders and rocks which provide a hideout for the organisms. We aimed to draw the optimal habitat condition for sea cucumbers in Korea,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w water temperature, rapid water flow, active vertical mixing between surface and deep waters, bottom composed by sand-silt, large rocks, and diverse seaweed colony and benthic organism were important factors. The optimal habitat for Juvenile sea cucumbers was the intertidal areas characterized by a muddy bottom, reef, and seaweed. The optimal habitat for adult sea cucumbers was characterized by a place where sand and mud are mixed, and the body size of the sea cucumber was proportional to water depth, and the relatively large boulders and rocks compared to the intertid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