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방 시야

검색결과 750건 처리시간 0.027초

하악견인법 적용하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경비삽관시 내시경하 후두시야의 비교 (Jaw Thrust Improves the Fiberoptic Laryngeal View during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 신터전;서광석;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8-182
    • /
    • 2010
  • 배경: 임상적으로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 삽관 시행시 후두경으로 성문부위가 잘 드러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삽관 시행이 어려운 경우를 경험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려운 기도환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 시행시 후두시야를 확보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마취 유도 후 Cormack - Lehane classification을 이용하여 기관 삽관의 어려움을 먼저 평가하였다.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경하 후두시야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후두경으로 기도 확보가 용이한 그룹(Cormack - Lehane grades 1, 2)과 어려운 그룹(Cormack - Lehane grades 3, 4) 간의 내시경하 후두 시야의 정도가 차이가 나는 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후두경으로 기도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 기관지 내시경으로 후두 시야를 용이하게 (fiberoptic laryngeal view 1, 2)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반면 하악을 전방으로 견인시 후두시야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결론: 전방하악견인법 (jaw-thrust maneuver)은 기도확보가 어려운 환자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 시행시 시야를 개선시켜서 삽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에 동시 발생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 증례 보고 - (Simultaneous Bucket-handle Tears of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윤정로;김택선;양재혁;강규복;김영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28
    • /
    • 2010
  • 대부분의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은 전방 십자인대와 동반하여 발생하며, 전방십자 인대의 급성 손상 시는 외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 흔한 반면 만성 전방 십자인대 손상 시는 내측에서 흔히 발생한다고 보고된다. 저자들은 전방십자 인대의 불안정성과 동반 된 내,외측 반월상 연골의 동시적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저자들은 전방십자 인대의 불안정성과 동반 된 내,외측 반월상 연골의 동시적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본 손상의 발생기전, 임상증상,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특이 소견 및 치료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경량 휠체어 탑승자의 차량 전방충돌시 안전성 평가 (A Safety Assessment on Light Weight Wheelchair Occupant in Frontal Crash)

  • 김성민;김성재;강태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2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경량휠체어 탑승자의 차량 전방충돌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동적 슬래드 충격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총 6회 시행하였으며 충격속도는 20g/48 $\pm$2km/h 였고, Hybrid III 50%ile 성인남자 인체모형을 사용하여 두부손상기준(Head Injury Criteria), 목의 굴전모멘트, 축 인장력, 전단력, 흉부 가속도. 두부, 휠체어, 무릎의 전방 쏠림량을 측정하였으며 미국자동차학회 규격인 SAE J2249에서 제안한 동작기준 (Motion Criteria)과 미국 제너럴모터스사의 자체기준(GM-IARV)인 복합상해기준(Combined Injury Criteria)을 이용하여 안전성평가를 하였다. 실험결과는 경량 휠체어 탑승자의 전방 충돌 시 최대 상해치를 100%로 봤을 때 휠체어와 탑승자 거동의 위험도지수 MC는 52%, 탑승자의 상체 위험도지수 CIC는 60.1% 였다.

전방십자인대 한다발재건술의 후외측다발 재건 및 두다발재건술이 외발착지 동작 시에 경골내회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teral and Posterior Placement of Single-Bundle and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s on Tibial Internal Rotation During Single-Leg Landing)

  • 신충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5호
    • /
    • pp.517-523
    • /
    • 2011
  • 전방십자인대 부상은 스포츠 활동 중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주로 수술적 치료가 행해진다. 전방십자인대는 전내측과 후외측 다발로 구분되는데 주로 전내측 다발만 재건되는 한다발 재건술이시술되고 있다. 후외측 다발은 경골의 내회전을 복원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실험 결과가 보고된 바있지만 부상을 야기하는 역동적인 착지동작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MRI 영상을 이용하여개발된 3차원 슬관절 모델에 인체실험 자료를 입력한 시뮬레이션으로 착지동작 시에 후외측 다발 및두다발 재건술이 얼마나 경골의 내회전을 제어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후외측 다발 방향의재건이 전내측 다발보다 착지동작 시에 경골 내회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두다발 재건술 또한슬관절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밝혔다.

전방 십자 인대 손상군과 정상군에서 슬개골 저위증의 비교 (Comparison of the Patella Baja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이우석;김성훈;조성진;임지혁;정환용;황철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4
    • /
    • 2006
  •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손상군과 슬관절의 손상 경력이 없는 정상군에서 슬개골 저위증의 빈도와 그 정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스포츠 손상 후 발생한 전방 십자 인대 파열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1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I 군은 수상 후 3주 이내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으로, 제 II 군은 3주 이후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으로, 제 III 군은 정상 대조군으로 하였다. T1 강조 자기 공명영상 정중 시상면에서 Insall-Salvati ratio, Carton index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에서 Insall-Salvati ratio는 $1.02{\pm}0.12$, Carton index는 $1.14{\pm}0.16$,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는 각각 $0.91{\pm}0.12,\;0.89{\pm}0.20$으로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과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의 비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시 슬개골 저위증의 경향을 보였으며, 따라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슬개골 저위증의 경우, 이식건의 선택에 있어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변수화된 영상 보정을 통한 전방향 영상 생성 방법 (Omni-directional Image Generation Algorithm with Parametric Image Compensation)

  • 김유나;심동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96-40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변수화된 영상 보정을 통한 전방향 영상 (Omni-directional image)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모든 방향의 영상을 포함하고 영상 합성 시에 발생하는 왜곡과 에러를 최소화하는 전방향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원형 좌표계를 기반으로 평면 영상을 원형 영상으로 변환한다. 카메라로 획득한 각각의 영상은 카메라의 시스템과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비그네이팅 효과와 조명 변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최적의 비그네이팅 및 조명 변수를 추출하여 자연스러운 전방향 영상 생성을 위한 영상 보정 과정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전방향 영상을 확인하고 비그네이팅 효과 및 조명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제안한 방법이 $1{\sim}4dB$ 정도 더 효과적임을 보인다.

이식 건 고정 시 슬관절 위치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ee Position during the Graft Fixation of the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Hamstring Graft)

  • 이철우;유재두;노권재;박성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3-147
    • /
    • 2005
  • 목적: 슬개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 이식 건을 경골 쪽에서 고정할 때 일반적으로 슬관절의 굴곡 각도는 신전 위치에서 시행한다. 저자들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 이식 건을 고정 할 때 슬관절의 굴곡 각도가 수술 후 슬관절 안정성과 운동 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 Rigidfix system(Mitek Product, Johnson and Johnson, USA)와 intrafix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39명 중 추시 관찰이 되지 않은 2명을 제외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범위: $13{\sim}25$개월) 이었다. 완전 신전 위 또는 20도 굴곡 위의 슬관절 굴곡 각도의 결정은 수술 순서에 따라서 교대로 선택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절제 2예, 내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 2예 외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 1예에서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이학적 검사인 Lachman검사, Pivot shift검사와 재건술 후의 Lysholm점수,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평가 기준, KT-1000관절 계측 결과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상 수술 후 Lysholm 점수는 93.1점(범위: $65{\sim}98$점), IKDC 평가 기준에 의한 최종 평가 상 정상(A) 26예, 거의 정상(B) 10예, 비정상(C) 1 예이었으며, 심한 비정상은 (D)은 없었다. 최종 추시 상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 상 건 측 과의 차이는 평균 2.5 mm 이였다. 술 후 시행한 Lachman 검사상 정상 32예, 1 등급 4예, 2 등급 II 1예 이었고, Pivot shift 검사 상 정상 34예, 1 등급 2예, 2 등급 1예 이었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 상 건 측 과의 차이는 20도 고정을 한 경우는 평균 2.3 mm, 완전 신전 위에서 고정한 경우는 평균 2.7 mm이였다(P<0.05). 수술 후 1년 슬관절의 운동 범위는 20도 굴곡 위에서 고정한 경우에 1례 에서 5도의 굴곡 구축이 있었고, 신전 위에서 고정한 경우는 2례 에서 건측 보다 10도의 굴곡 제한이 있었다. 결론: 자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재건술 시, 경골 부의 고정 시 슬관절의 굴곡 각도 따른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에 차이는 없었으나, 신전 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과도한 이식 건의 장력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악의 전방이동이 구인두 내경의 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ndibular Protrusion on Dynamic Changes in Oropharyngeal Caliber)

  • 정재광;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3호
    • /
    • pp.193-202
    • /
    • 2010
  • 저자는 상기도부의 동적변화를 관찰하여 수면시의 협착부위와 그 정도를 확인하며, 하악의 전방이동이 상기도부에 미치는 영향과 부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총 9명의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간이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가 없음을 확인한다. 각성시 및 수면시, 하악의 안정위 및 전방이동시에서 각각 전자선 단층촬영(EBT)을 시행하여 각 조건하의 구인두의 부위별 최대 최소 단면적 및 허탈지수를 구하였다. 이때 수면의 유도를 위해 Dormicum$^{(R)}$을 정맥투여하였다. 그 결과, 각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을때 수면 및 하악 전돌에 따른 상부, 중간부, 하부 상기도간의 최소 단면적 및 허탈지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하악 안정위에서 각성 및 수면상태간의 비교시에 구인두의 하부에서 단면적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었다. 한편, 각성상태에서 하악 안정시와 전돌시간의 비교시에는 중간부에서 단면적의 유의성 있는 차이과 관찰되며 수면상태에서는 하악 안정시와 전돌시 단면적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허탈지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BM 현장에서 막장전방 예측기법 결과의 확률론적 분석을 통한 지반상태 평가 (A probabilistic assessment of ground condition prediction ahead of TBM tunnels combining each geophysical prediction method)

  • 이강현;서형준;박정준;박진호;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57-272
    • /
    • 2016
  • TBM으로 터널 시공 중 막장면에서 갑작스럽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공간적인 제한 때문에 NATM공법으로 시공되는 터널에 비해서 적절한 대처를 하기가 어렵다. TBM으로 터널 시공 중에 막장전방의 지반상태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탄성파,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TBM 면판 전방의 지반상태를 예측하는 연구 및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TBM 현장에서는 공사기간 및 비용을 고려하여 1개의 막장전방 예측기법을 적용한다. 그러나 막장전방 예측기법의 종류에 따라서 탐사심도, 적용 가능한 지질조건, 예측할 수 있는 대상, 예측 정확도 등이 다르다. 복합적인 지질조건에 위치한 TBM 터널 시공 시에는 여러 가지 막장전방 예측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막장 전방의 지질 조건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러 가지 막장전방 예측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였을 경우 각각의 기법으로부터 얻어진 지반상태는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막장전방 예측기법으로부터 얻어진 막장전방의 지반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확률론적 분석과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막장전방의 지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을 가상의 지반에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지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승용차의 시계 요소 조사 및 개선 방향

  • 정일석;이정근;정의승;윤명환;최재호;강동석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4-119
    • /
    • 1997
  • 자동차 내장 설계의 주요 검토 사항으로 거주성, 조작성, 시인/시계성, 승강성, 적재성, 안전성 등 을 들 수 있다. 특히, 승용차의 주행 시 운전자는 주위 환경에서 일어나는 상황의 대부분을 눈을 통해 인식하게 되므로, 주행 중 운전자에게 충분한 시계를 확보해 주는 것이 자동차의 설계에서 중요한 요인 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성을 중심으로 미국의 FMVSS(Federal Motor Vehicle Sfety Standard), 유럽의 EEC(European Economy Community), 한국공업규격 등에서 규정하고있는 시계 요소들을 조사 비교하고, 시계 성 평가의 기준으로 활용한다. 시계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방가시거리, 전방수평시계, Inside Rear View Mirror와 Outside Rear View Mirror를 통해 볼 수 있는 Viewing angle, Inside Rear View Mirror와 95%ile Eyellipse와 높이 등의 요소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승용차의 운전 공간 내의 0ptimal Eye Point를 결 정하는 데 이용되며, 시인/시계성을 개선하는 Seating Packaging Procedure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