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반적 만족도

검색결과 1,235건 처리시간 0.044초

입원환자의 급식서비스 인식에 따른 고객 군집화 및 군집별 급식서비스 질 평가, 재이용 의도 분석: S병원을 대상으로 (Clustering according to Inpatients' Opinion on Hospital Foodservice and Analyzing Inpatient Response to Foodservice Qualify and Revisit Intention by the Cluster: In Case of S Hospital)

  • 이해영;장승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91-14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병원급식에 대한 입원환자들의 견해를 조사하고 그 자료를 근거로 군집화를 실시한 후 급식서비스의 질, 만족도, 재방문 의사에 대한 집단별 차이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병원 급식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만족도 재방문 의사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병원급식에 대한 고객의 견해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의료서비스 중 급식서비스의 중요성은 4.25점, 제공받은 급식서비스의 전반적인 질 3.57점, 지불한 식대에 대한 급식서비스의 질 3.08점이었다. 급식 서비스의 만족도를 표현하는 항목으로는 급식서비스가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도, 식사가 고객에게 행복을 주는 정도, 전반적인 급식서비스 만족도가 각각 3.48점, 3.18점, 3.66점이었으며, 입원 전 기대에 대한 만족도는 3.53점, 병원 명성에 맞는 급식서비스 제공은 3.40점으로 조사되었다. 만약 향후 다시 병원에 입원할 기회가 생긴다면 S병원을 다시 찾겠다는 재이용 의사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치료서비스를 고려할 때와 급식서비스 수준을 고려할 때로 분리해서 분석 한 결과, 각각 4.04점, 3.84점으로 재입원 의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서비스의 중요성, 질, 가치, 만족에 대한 고객의 견해 8문항을 독립변수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각 군집의 의미에 따라 군집 1을 '긍정적 평가군', 군집 2를 '부정적 평가관'이라고 명명하였다. 군집별 급식서비스 요인에 대한 기대, 인식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군집간 기대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인식도에서는 식사의 질(p<0.001), 고객 응대(p<0.001), 정확한 서비스(p<0.001), 배선원의 태도(p<0.01)의 4개요인 모두에서 긍정적 평가군이 부정적 평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수행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만족도의 경우 긍정적 평가군에서는 만족을, 부정적 평가군에서는 배선원의 태도를 제외한 3가지 요인에서 불만족을 보였으며 4개요인 모두에서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의료서비스를 고려하거나 혹은 급식서비스를 고려하거나 간에 모두 긍정적 평가군이 부정적 평가군에 비해 유의적(p<0.001)으로 선택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초고속인터넷의 고객유지와 충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연규동;박명철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1-168
    • /
    • 2001
  • 본 연구는 초고속인터넷 접속서비스에서 $\ulcorner$서비스 품질$\longrightarrow$고객만족$\longrightarrow$재구매의도(고객충성도)$\lrcorner$의 일반적인 인과관계가 적용되는지를 규명하고, 고객만족, 재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속성을 살펴보면서, 궁극적으로 품질속성 중 고객유지와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핵심 품질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모형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 그 모형의 유효성을 설문조사와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세 단계의 분석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 전반적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재구매의도(또는 고객충성도), 그러고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 및 고객충성도의 상호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및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인 품질속성(서비스 성능, 서비스 지원, 부가서비스, 이용요금, 과금, 절차 편리성)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통적 개념으로 분류된 품질속성이 개별적인 품질요소의 미세한 차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고, 고객유지와 충성도 향상을 위한 핵심 품질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품질속성을 대표하는 품질요소들과 재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초고속인터넷 접속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웹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51 개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은 재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에 비해 고객만족에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으며, 재구매의도에 대한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의 설명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고객만족이 더 높은 설명력을 갖는다는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보여 향후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여섯 가지의 품질속성들 중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1, 2 회의 적은 경험을 하게 되는 서비스 이용절차의 편리성을 제외하곤 나머지 속성 모두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및 고객충성도의 선행변수로써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차 편리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충성도는 고객이 서비스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나타나는 행동이라는 시사점을 얻었다. 셋째, 재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를 결정하는 품질요소로서는 서비스 안정성, 불만사항 처리결과, 회사의 이미지,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고속인터넷 접속서비스의 품질 및 결과변수들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 환경에서 미래의 재무적 성과와 수익성을 보장하는 충성스런 고객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핵심 품질요소의 제시와 이에 따른 제언을 하였기 때문에 사업자들이 품질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이론적, 실무적 근거를 제공하여 준다.

  • PDF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만족도,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Life Satisfaction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 이은숙;고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87-5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속초시 예술심리상담사 1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변수 간의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검증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전반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행동, 내면행동 요인 모두 삶의 전반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모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주관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내면행동 요인만 삶의 주관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술심리상담사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Secondary School Married Female Teachers)

  • 장옥분;심순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41-156
    • /
    • 2004
  • 본 연구는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시와 주변의 위성도시에 소재한 중등학교 중에서 10개 중학교와 11개 고둥학교에 재직중인 중등기혼여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 척도는 Snyder의 척도를 중심으로 하고 시가관계 영역을 보충한 이정련(1987)의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수행 영역에 대한 척도는 손정환(1990)의 교사직무 영역을 참고하여 윤경혜(2001)가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분산분석.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는 연령과 자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가장 낮은 집단이 연령이 높은 집단보다 전반적 결혼만족도와 동료감에서 더 높았고, 자녀가 없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전반적 결혼만족도와 성생활, 정의적 의사소통, 문제해결 의사소통, 시가관계, 경제문제, 동료감에서 높았다. 둘째, 중등 기혼여교사의 연령이 높은 집단이 생활지도,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학교경영기여, 교육개혁 참여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녀수가 많은 집단에서 학습지도. 생활지도와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영역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년수가 높은 집단에서 생활지도,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학교경영 기여 교육개혁참여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가사조력자가 없는 집단이 가사조력자가 있는 집단보다 교육개혁참여도를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즉, 중등기혼여교사의 전체적인 결혼만족도는 학급관리, 생활지도, 사무관리, 전체 직무수행. 학교경영기여, 인간관계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 PDF

J지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관련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in J Region)

  • 이현옥;임춘희;주온주;김영임;이혜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5-293
    • /
    • 2006
  • J지역사회 치과위생사의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2006년 7월 24일부터 9월 24일까지 전라북도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조사하였으며, SPSS(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서 2.83으로 낮은 정도를 나타냈으며, 각 요인별 직무만족도는 동료관계요인이 3.21으로 가장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냈고, 장래성요인은 3.10, 자율성요인 3.07, 환경요인 2.99, 보수요인은 2.55이었고, 업무량요인은 2.03으로 가장 낮은 만족수준을 나타냈다. 2.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별에서는 자율성요인(p < 0.001)이었고, 결혼여부에서는 자율성요인(p < 0.001), 보수요인 (p < 0.05)이었으며, 미혼보다 기혼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근무지별로는 장래성요인과 동료관계요인(p < 0.001)이었고, 치과대학(부속)병원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근무경력에서는 자율성요인(p < 0.001)과 환경요인(p < 0.05)이었고,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최종학력별로는 자율성요인(p < 0.001), 업무량요인과 환경요인(p <0.05)이었고, 학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자율성요인과 보수요인(p < 0.001), 장래성요인(p < 0.05)이었고, 170-189만원의 경우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전반적인 만족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전반적인 만족도는 자율성요인(r = 0.485),장래성요인(r = 0.222), 보수요인(r = 0.355), 동료관계요인(r = 0.280), 환경요인(r = 0.380)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만족요인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4. 직무만족 요인에 각 요인들이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율성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보수요인, 장래성요인, 환경요인, 업무량요인의 순으로 나타났고, 만족 요인이 만족도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40.2%였다.

  • PDF

중소기업 근로자의 복지환경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orkers' Welfare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 곽노학;김문준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1호
    • /
    • pp.19-25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업무 및 복지환경 등에 대한 만족도 현황을 파악하여 미흡한 사항은 개선을 통해 전반적인 만족도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0.6 이상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요인과 복지 만족도, 보상 요인과 복지 만족도를 제외한 모든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0.2 이상 +0.8 미만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요인, 관계 요인, 보상 요인이 직무 만족도와 복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직무 요인, 관계 요인, 보상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 만족도와 복지 만족도 각각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요인 중 직무 요인과 보상 요인, 두 요인이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값을 보면 직무 요인(.584), 보상 요인(.369) 순으로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및 복지환경 개선을 통하여 직원들의 만족도가 향상됨으로써, 업무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여 외부고객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도서관 사서 업무 만족도와 인지적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Work Satisfaction of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ies)

  • 감미아;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70
    • /
    • 2012
  • 대학도서관 사서의 업무 만족도와 실제 대학도서관 사서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식과의 연관성을 현 대학도서관 사서와의 비구조화 심층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사회적인지, 전문성 인지의 세 가지 인지적 요소로 파악하여 업무 만족도 전반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공동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 분당지역의 민영아파트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for Maintenance Satisfaction of Apartment Building .Residents)

  • 하헌석;김재구;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5-339
    • /
    • 2004
  • 본 연구는 분당지역 공통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실태와 관리자의 관리실태 조사를 통해 공동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실태와 관리자의 관리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변수를 도출하고, 도출된 변수와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당지역 공동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실태와 관리자의 관리실태 조사를 종합한 결과 전반적으로 거주만족도와 유지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매우 놀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관리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외부인 풀입관리, 관리소장 청렴도 등이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외국인의 한국관광 만족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 일본, 미국 관광객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and Influence Factors of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Tourists in Korea)

  • 최아라;왕소걸;구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123-13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전체 외래관광객 중 가장 큰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3국인 중국, 일본, 미국의 관광소비자를 대상으로 각 국적별 관광 특성, 만족도 및 영향요인을 비교하여 향후 외래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차별화 영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2016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원자료 중 대상 국가 관광소비자 5,160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하위영역별 관광만족도 및 전반적 만족도 모두 국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 일, 미 관광소비자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관광 하위영역 요인은 '음식'과 '쇼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외래 관광소비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요인이 상이하게 도출되어 이들의 특징과 요구에 따른 관광산업 육성정책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외래관광객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