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직 자율성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 이성수;최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1-24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19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전문직 자율성(r=.26, p<.001),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r=.30, p<.001), 공감적 관심(r=.2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감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beta}=.27$, p<.001), 전문직 자율성(${\beta}=.20$, p=.004), 11년 이상의 총 임상 경력(${\beta}=.17$, p=.012)이었고, 세 개의 변수의 설명력은 15%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안전문화 증진의 영향요인인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 다양한 표본 집단에서의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Hospital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fficac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 김상희;김남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65-17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설명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B시에 소재한 3개, D시에 소재한 2개의 300병상 미만의 재활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92명에 대한 자료를 2015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수집하여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직 자율성은 평균 3.03점, 자기효능감은 3.43점, 전문직 자아개념 3.25점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는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도 비교적 강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전체 설명력은 46.9%로 나타났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으로 3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통해 전문직 자아개념이 향상될 수 있도록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표준화된 전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자율성, 자아존중감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 성미혜;김윤아;하명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7-555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89 clinical nurses who worked in one of 4 hospitals located in B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current position, shift pattern, and average incom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rofessional autonomy,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ere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professional autonomy, which explained 29.5%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mportant role-related variable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professional autonomy of clinical nurses are significantly related, and that as, professional self-concept is an important factor for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strategies to increase professional self-concept need to be developed.

전문직관점에서 본 전국사서협회의 성립과 소강 (Establishment and Decline of the Korean Librarian Association from the View Point of Professionalism)

  • 이선우;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9-278
    • /
    • 2009
  • 전국사서협회는 1990년 전국의 사서직을 대상으로 전문직 단체를 표방하며 설립되어 도서관소관부처 이관, 도서관법 개정 등 도서관계 중요 사안에 영향을 주었으나 1997년 이후 뚜렷한 활동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협회의 역할 및 활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본고는 이러한 전국사서협회의 생성, 활동 및 소강에 대하여 전문직 관점을 통해 그 원인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문직 단체의 관점에서 전국사서협회는 사서직 서비스 시장의 통제, 자율성의 획득을 통해 사서직의 전문직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서직의 전문직화를 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조직에 기반하고 있는 사서직의 특성은 협회 활동 소강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간호간병통합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역할갈등이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Role Conflict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Nurses o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 손유림;김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63-473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율성, 역할갈등,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의 관계와 함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 파악을 목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D시와 G시에 근로간호사 234명을 편의 표집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 12일부터 11월 30일 사이에 D시와 G시에 소재하는 4개의 종합병원의 234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간호사에게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s와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은 평균평점 $3.38{\pm}0.78$점으로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은 전문직 자율성과 양의 상관관계(r=.40, p<.001)를 보였으나, 역할갈등과는 음의 상관관계(r=-.2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근무경력, 교육수준, 전문직 자율성과 역할갈등이었으며,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38.7%였다.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중요한 변수인 전문직 자율성과 역할갈등을 통해 간호사의 직무를 결정할 수 있는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가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분석하는 중재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fessional Identity of Public Librarians)

  • 김지수;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25-3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 수준을 측정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2021년 10월 28일~11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375부의 유효한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는 '자체 규제에 대한 신념'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전문직 단체의 활용', '자율성'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은 도서관의 설립 주체, 운영 방식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한편 응답자가 근무하는 도서관의 관장의 사서직 여부와 사서의 경력과 연령, 직위는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Hall(1968)의 전문직 정체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국내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의 수준을 5개의 영역별로 분석하였다는 점과 국내 도서관의 특성을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관계유대와 전문직 자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lational Bonds and Professional Authority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 이내영;김영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6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s of relational bonds and professional authority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0 ICU nurses working in 3 tertiary hospitals. The survey content includ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 Relational Bond Questionnaire (RBQ) and Schutzenhofer Professional Nurse Autonomy Scale (SPNA). Results: The score for OCQ was 2.59, for RBQ, 3.23, and for SPNA, 2.93.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related to relational bonds (${\beta}=0.45$; p<.001; SE=0.08).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1.6% of the variability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ICU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be improved through increasing relational bonds and retaining experienced nurses which suggests a need to develop work systems designed to increase and maintain high relational bonds in ICU nurses.

간호전문직 자율성(Professional Nurse Autonomy)의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 지성애;유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1-792
    • /
    • 2001
  •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s an essential attribute of a discipline striving for full professional status. Purpose: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oncept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utonomy enhancing strategies. Method: This study use the process of Walker & Avante's concept analysis based on Wade's research (1999), and field data of 21 nurses. Results: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s defined as competency and creative performance of the professional nurse in practice, to decide independently or interdependently nursing activities and to be had accountable for results of decisions, that reflect advocacy and caring. It was identified that critical attributes include responsible discretionary decision making, collegial interdependence, initiative, creativity, and caring, advocacy,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lients, receptive capacity to others, activeness, self confidence, and devotion and responsibility to their profession. Antecedents include person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enhance professional nurse autonomy. Consequence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are feelings of self-efficacy,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reduction of intention to leave their job.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curriculum provides an environment for learning professional nurse autonomy, and that is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e strategies to enhance professional autonomy of nurse in practice and it's effects

  • PDF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조직몰입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 황현정;이윤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7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employ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21 nurses with at least 3 months of working experience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located in B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Professional autonomy (r=.22, p=.016), organizational commitment (r=.34, p<.001),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r=.55,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factors that might affect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rofessional autonomy (${\beta}=.23$, p=.003)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beta}=.55$,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33.5% (F=21.19, p<.001).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repetitive and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is needed to improve a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 PDF

수간호사의 관리역량과 전문직 자율성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d Nurses' Managerial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n Nursing Performance)

  • 김영순;어용숙;이내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7-445
    • /
    • 2014
  • Purpose: The aim in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d nurses'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managerial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nurse autonomy. Methods: From January 15 to January 31, 2013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00 head nurses working in 5 tertiary hospitals in B city and J city. The response rate was 80% (160 responses). The survey content included the Managerial Competencies Scale (MCS), Schutzenhofer professional nurse autonomy Scale (SPNA), and Nursing Performance Scale (SPNA). Results: The score for MCS was 4.53, for SPNA, 177.05, and for SPNA, 4.62. Nursing performance was related to managerial competencies (${\beta}=0.741$; p<.001; SE=0.059) and professional autonomy (${\beta}=0.135$; p=.010; SE=0.001). These factors accounted for 64.8~67.3% of the variability in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head nurses' performance would be improved through increased nursing managerial competencies and expansion of professional autonomy suggesting a need to develop work systems designed to achieve high managerial competency and professional autonomy in head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