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가 설문

검색결과 1,780건 처리시간 0.031초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Engineering Professional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 김기수;김영민;허혜연;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6-15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분석을 통해 초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3개영역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임의표집된 1,200명의 공학전문가들에게 우편조사와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39부의 설문지 중 117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전문가들은 공학이 국가 경제 발전 및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 공학전문가들은 공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일관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공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공학이 가지고 있는 '설계와 문제해결, 창조성과 혁신, 최적화와 경제성'을 중시하는 고유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공학전문가들은 현재의 초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공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학전문가들은 초 중등학교에서 공학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창의적 설계 및 문제해결 과정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공학전문가들은 공학교육이 시작되어야 하는 학교급 수준, 학교급별에 따른 수준별 교육 목적, 효과적인 적용 방법 등의 다양한 교육요구를 갖고 있었다.

전문가 조사 및 확인적 요인분석 기법을 활용한 지식경영과 업무 통합의 구성요인 도출 연구

  • 서현주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6-281
    • /
    • 2008
  • 본 논문은 지식경영의 기술적 기반을 확보하고 숨어있던 지식을 명시화하여 공유하는 데 성과를 거두고 있는 지식경영 선도기업들이 지식경영 활동을 업무 성과와 직결시키기 위해 시도하고 있는 활동들에 주목한다. 지식경영이 업무와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업무 프로세스와 통합되기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우선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지식경영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각 요인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국제연구협력정보 DB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adata Development for Establishing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Information Database)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제연구협력관련 모든 정보유형을 발굴하고 각 유형별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이 메타데이터를 일차적으로 개발하고 메타데이터 전문가들과의 논의과정을 거쳐 1차적으로 메타데이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해 국제연구협력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정보원 유형별 메타필드에 데이터를 수집하여 입력하였으며, 메타필드별로 실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등의 과정을 거쳐 메타필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DB 유형은 국제연구협력정보원 DB, 국제연구협력 사업 DB, 국제연구협력 전문가 DB, 국제연구협력 기관 DB, 국제기구 DB, 기타 DB 등이며, 이에 대해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실제 데이터를 입력하여 필드를 검증한 결과, 설문조사 결과와 필드별 데이터 입력률은 상당히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다만 국제기구 데이터 필드만은 이용자의 높은 중요도 평가에도 불구하고 10%이하의 데이터 입력률을 보이는 필드가 25% 정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스마트 팜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의 우선순위 결정 (A Study on Priority of Policy for Smart Farming System Using AHP Approach)

  • 서대석;김연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48-3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팜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여러 방안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 보완을 위해 각 항목들의 정책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산업 및 정책 당국의 의사결정에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국내 식물공장, 원예학 및 첨단과학 분야 대학교수, 국책연구원과 정부기관 등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스마트 팜 보급 확대 방안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문가 61명을 대상으로 전자 메일 및 전화조사를 통해 수행하였고, 최종 42명의 설문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 팜의 경영비 및 운영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시설의 표준화와 국산화를 통한 한국형 스마트 팜의 표준 모델 개발이 선결과제이다. 다만, 몇몇 세부항목별로 경제 정책과 기술분야 전문가들의 정책 우선순위가 일부 상이함으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가 설문조사에 근거한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 기술지원사업 내실화 방안 (Reinforcement Plan of safety and health technical support project for small-sized businesses by experts' survey)

  • 윤영근;안용로;오태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631-639
    • /
    • 2022
  • 최근 정부는 산업재해, 사망만인율 절반감축을 목표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 중대재해처벌법 등의 시행을 통해 산업안전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50인미만 또는 1억원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은 안전보건관리 역량부족, 사업주의 의지부족 등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어려움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산업재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정책 중의 하나인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기술지원사업의 전반적인 사업부분에 대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복지용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Content for Training Assistive Product Specialist)

  • 조미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41-450
    • /
    • 2018
  • 본 연구는 복지용구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의 전문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첫 단계로 복지용구 사업소 종사자, 병원 및 의료시설 종사자, 복지용구 관련 교육 강사, 복지용구 이용자를 대상으로 복지용구 전문가의 책무 영역별 작업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복지용구전문가 교과목(안)을 구성한 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복지용구 전문가 교과목(안)과 교육과정(안)은 5명의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방법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총 21개의 교과목(전공필수 17개, 전공선택 4개)과 총 44시간(전공필수 36시간, 전공선택 8시간)으로 구성된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안)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질적 양성을 위한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공공도서관용의 개발 (Developing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for Public Library)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5-361
    • /
    • 2013
  • 이 연구는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간략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공공도서관 고객만족도지수 간략판인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20명의 전문가에 대한 설문과 800명 이상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도서관서비스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8항목(직원차원 2항목, 자원 및 서비스 차원 4항목, 시설 및 환경 2항목), 도서관고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3항목, 도서관고객충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2항목 등 총 15개 설문항목을 제시하고, 도서관서비스품질 차원 50%, 도서관고객만족도 차원 40%, 도서관고객충성도 차원 10%의 가중치를 부여한 값으로 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척도들에 대해 전문가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식 조사법을 활용하여 계층적 분석 방식(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각 차원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및 각 차원별 핵심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출해내고,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입수한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LCSI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과학기술인의 의식조사(1) - 국내외 과학자1천2백69명 설문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0권3호통권334호
    • /
    • pp.46-53
    • /
    • 1997
  • 개방화시대, 21세기 선진국 대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 없이는 불가능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기술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뚜렷한 사명감이 절실한데 그들은 지금 어떤 환경에 있으며 어떤 의식을 갖고 있나, 국내ㆍ외에 거주하는 과학기술자 1천2백69명을 대상으로 서면에 의한 설문조사를 했다. 이번호에는 '응답자의 특성'과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조사내용을 소개한다.

  • PDF

2023 대한민국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인식조사: 학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보다 (2023 Korea Digital Business Trend Study: Listening to Voices from Academia and Industry)

  • 양희동;안현철;이정;강현정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89-212
    • /
    • 2023
  • 본 연구는 언론 분석, 전문가 인터뷰, 대규모 설문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2023년에 주목해야할 중요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를 도출하였다. 기존 트렌드 연구의 경우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환경에 특화되어 있지 않고 도출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결과의 객관성에 있어 제한을 갖는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분야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결과의 타당성을 강조하였다. 먼저 국내외 주요 기업의 보고서 외에 국내 IT 언론기사를 수집한 후 토픽모델링 분석방법을 통해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13인의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선정된 16개의 후보 트렌드에 대해 210명의 전문가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0대 트렌드를 선정하였다. 더불어 해외와 국내와의 시각 비교를 위해 미국 정보화 협회에서 매년 실시하는 설문과 동일한 도구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트렌드 비교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리더들의 다양한 의견을 과학적으로 수렴하여 국내 비즈니스 환경을 고려한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전망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국내의 독특한 IT 트렌드를 파악하고 국제적인 트렌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장 별 IT 기술 및 서비스 사업의 전략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