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가미백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Assessment methods for evaluating the whitening effect of cosmetics on human skin

  • Kim, Youn-So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90
    • /
    • 2002
  • 멜라닌의 정량은 인체에서 화장품의 미백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인체의 멜라닌 측정을 위한 높은 정확성을 가진 non-invasive방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피부에서 화장품의 미백효과는 피부색의 밝기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미백효력 평가를 위한 재현성있는 방법으로는 피부색측정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에 colorimeter, mexameter와 전문가의 육안평가같은 여러 기기나 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이 강연에서는 미백효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에 대해 자세히 보고하고 각 방법에 대하여 토의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간단히 임상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 마지막으로 melanocyte를 정량하는 새로운 non-invasive방법에 대한 model을 제시하려고 한다.

한국전통발효음식과 전문가 치아미백을 시행한 자연치의 색조변화와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Discoloration on Bleached Tooth)

  • 강현경;임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717-4724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전통발효음식과 미백치아의 색조변화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전문가 치아미백을 시행한 자연치아를 한국전통발효음식에 일정기간 침전 후 치과용 측색기를 이용하여 치아색조변화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치아시편은 30개로 한 치아당 30회 측정되었으며, 전체 측정 횟수는 900회 실시되었다. 측정은 치과용 측색기 ShadeEye NCC$^{(R)}$ Dental Chroma Meter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백 전, 후 명도와 황색채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01), 용액침전 후 명도와 황색채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p<0.001). 침전용액에 따른 색조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미백 후부터 1주 동안, 2주에서 3주까지의 기간 동안 각 침전용액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p<0.001). 한국전통발효음식은 침전기간과 침전용액에 따라 미백치아의 색조변화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구강 내의 상태 그대로를 재연하지 못하였기에 구강 내 상태, 섭취빈도, 구강위생관리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Primer와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자가 미백 부착대의 미백 효과에 대한 실험실 실험 연구 (In-Vitro Whitening Efficacy of Hydrogen Peroxide Strips with Primer)

  • 김종훈;문교태;김지혜;안재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1-197
    • /
    • 2014
  • 본 연구는 전문가의 지도 없이 소비자가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일반적 치아 미백제에 대한 연구로 과산화수소의 함량제한이 있는 국내 사용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미백 효능을 제공하고자 동일 과산화수소 함량에서 미백 효과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금속 이온 등을 함유한 primer에 대해 착색시킨 수산화인회석 시편을 이용한 실험실적 방법으로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원료들은 인체 안전성을 고려하여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원료에서 선별하였으며 금속 이온의 종류 및 염의 종류에 따른 효과를 평가한 결과 3가 철 이온을 방출하는 염화제이철을 함유한 primer를 적용 시 미백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여기에 제삼인산칼륨을 사용하여 pH를 알칼리조건으로 만든 pH 10.0 primer를 적용 시 더욱 미백 효과가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primer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시간에 따른 미백 효과를 비교한 결과 30분 부착 시 1.75배의 명도 변화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공 재료와 인공적 실험 환경에서 이뤄진 실험실적 연구로서 실제 인체에 적용 시 안전성이나 부수적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 추가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제한된 과산화수소 함량에서 primer의 사용으로 미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15% 과산화수소 함유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평가 (Clinical assessment of whitening efficacy and safety of in-office tooth whitening system containing 15% hydrogen peroxide with or without light activation)

  • 노영석;노영지;유연지;이향옥;임상민;권현정;김예은;박성연;윤희영;이정현;이찬희;오소람;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4호
    • /
    • pp.306-312
    • /
    • 2011
  • 연구목적: 본 임상 연구의 목적은 15%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와 안전성에 관해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3명의 지원자를 광조사를 하는 실험군(n = 17)과 광조사를 하지 않는 대조군(n = 16)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Zoom2 미백제(15% $H_2O_2$, Discus Dental)로 총 45분간 치료하였다.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와 Shadepilot (DeguDent)을 이용해 스크리닝 검사 시, 미백직후, 미백 종료 1달 및 3달 후 색조측정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와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Zoom2 미백제는 미백 전후를 비교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뚜렷한 색조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두 군 사이의 색조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또한 미백 종료 3달 후에도 치아의 색조 회귀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후 일시적인 지각과민증은 전체 환자의 39.4%에서 보고되었지만,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 > 0.05). 결론: 광조사로 인해 부가적인 미백효과의 증가는 물론 어떠한 부작용 증가도 관찰되지 않았다.

불소 도포가 미백 처리된 치아의 색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uoridation on discoloring of bleached teeth)

  • 장향아;서규원;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7-265
    • /
    • 2009
  • 연구목적: 전문가 미백술 후 불소 도포가 커피 착색 시 치아 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4 개의 시편은 임의로4 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1은 미백과 불소 처리를 하지 않고 치아 색에 대한 커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이다. 그룹 2, 3, 4는 35% 과산화수소로 하루에 30 분간 3 일 동안 미백 처리 하였다. 그룹 2는 불소 도포를 하지 않았고, 그룹 3과 4에는 각각 Cavity shield$^{(R)}$와 pH 7 Gel$^{(R)}$을 도포하였다. 모든 그룹은 7 일간 커피 용액에 침전시켰다. 분광광도계 (VITA Easyshade$^{(R)}$)를 사용하여 명도 지수, 채도 지수, 색상 지수를 3 회 반복 측정하였다. 결과: 미백 처리한 그룹에서 명도 지수, 색상 지수의 증가와 채도 지수 감소를 보였다. 이는 Tukey의 HSD를 이용한 쌍체 비교 시 미백한 그룹의 명도 지수, 색상 지수 변화는 미백하지 않은 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커피 적용 시 모든 그룹에서 명도 지수, 색상 지수의 점차적인 감소를 보였고, 채도 지수는 감소 후 증가하였다. 커피 적용 7 일 후 그룹 간 명도 지수, 채도 지수, 색상 지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5). 또한 Cavity shield$^{(R)}$와 pH 7 Gel$^{(R)}$을 도포한 그룹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결론: 불소 도포가 치아 미백 후 외인성 착색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치아미백에 관한 부산시민의 인식 및 지식도 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questionnaires about Busan citizen's understanding of the Tooth Bleaching)

  • 이혜진;전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9-91
    • /
    • 2006
  •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for awareness about Tooth Bleaching treatment for general adults, to rethink the real ideas of Tooth Bleaching which adults has already had and to find the method for generalized Tooth Bleaching, this study made a survey about General Awareness and Common sense for Tooth Bleaching and Oral Health Knowledge and Generalization Methods for 570adult citizen in Busan from 1th August to 10th September.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ooth Shade self contentment was found low, self-discontent respondents were 73.5% and self-content respondents were 26.5%. 2. Tooth Bleaching recognition was found high, as for the recognition period, between 2 and 5 years is 65.5% and as for the recognition route, 33.9% were through broadcast medium. 3. General knowledge for Tooth Bleaching was found low as 2.34(1.12) of 5 score and it is similar to ages and occupations(pE0.001, pE0.05). 4. Tooth Bleaching treatment method appears Home Bleaching and In-Office bleaching was 73.5% and 26.5% respectively. The other side medical institution chosen for Tooth Bleaching treatment appears dental hospital or dental clinic and Home bleaching was 75.6% and 12.1% respectively. 5. To generalize the Tooth Bleaching Care, recommendations of oral health care team and oral health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data also need to be perfor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