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류-전압법

Search Result 70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Modified Directional 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Using Adjacent Current Pattern (인접전류패턴을 사용한 변형된 방향 대수적 영상복원법)

  • Kim, Ji Hoon;Kim, Chan Yong;Kim, Kyung Youn;Choi, Bong Yeo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49 no.12
    • /
    • pp.256-264
    • /
    • 2012
  • The directional 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DART) using the trigonometric current pattern is one of the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This method needs to compute resistances between electrode pairs as using relation between the injected currents and measured voltage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inner image. The delay time is incurred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modified directional 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mDART) using the adjacent current pattern instead of the trigonometric current pattern to solve the delay time for initial resistance values. The proposed method uses measured voltages instead of computed resistances in the reconstruction algorithm. Hence this method can eliminate the delay time because it does not use the resistances.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image quality and image reconstruction time by using the adjacent current pattern. To prov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carried on computer simulation of various cases.

A Study on the Two Mixed Oxide Semiconductor $ITO_{(n)}/Si_{(p)}$ Solar Cell(I) (혼합 2원 산화물 반도체 $ITO_{(n)}/Si_{(p)}$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I))

  • Kim, Y.W.;Lee, D.C.;Kang, C.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b
    • /
    • pp.1309-1311
    • /
    • 2001
  • 본 논문은 Substrate의 온도를 $200(^{\circ}C)$로 유지하며 진공 저항 가열 증착법을 이용하여 ITO/Si 태양전지를 제작한 후 그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지의 단락전류와 개방전압의 열처리 온도의존성은 약 $450(^{\circ}C)$이상부터 증가하여 $650(^{\circ}C)$부근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단락전류와 열처리 시간과의 관계에서는 증착 시간이 15분 정도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일정한 태양에너지 조도 하에서 $SnO_2$의 성분비율을 높여감에 따라 전지의 개방전압과 단락전류는 다소 감소한 후 일정한 값으로 안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The I-V Modelling in the Strong Inversion of MOSFET using the Multiple Box Segmentation Method (다중BOX분할기법을 이용한 MOSFET의 강반전에서의 I-V 모델링)

  • 노영준;김철성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B
    • /
    • pp.677-68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계단근사법이 아닌 다중 box분할기법을 이용하여 증가형 MOSFET의 강반전조건하에서의 I-V 모델링을 제안한다. 즉, 이온주입된 MOSFET의 강반전층의 깊이를 다중box분할기법에 의하여 구하고, 이 깊이에서의 이동전하농도 및 수직전계의존 LMS이동도 모델에 의한 이동도를 구하였다. 그리도 이들 파라메터들을 바탕으로 드레인전압에 대한 드레인 전류식을 유도하였다. 제안 드레인전류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게이트 전압을 변화시켜 가면서, 제안된 I-V 모델링에 대해 모의 실험을 수행하고 Charge-sheet 모델에 의해서 구한 드레인 전류치와 비교하였다. 모의실험수행결과 유사한 I-V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wo Mixed Oxide Semiconductor $ITO_{(n)}/Si_{(p)}$ Solar Cell(II) (혼합 2원 산화물 반도체 $ITO_{(n)}/Si_{(p)}$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II))

  • Kim, Y.W.;Lee, D.C.;Kang, C.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e
    • /
    • pp.40-42
    • /
    • 2001
  • 본 논문은 Substrate의 온도를 200[$^{\circ}C$]로 유지하며 진공 저항 가열 증착법을 이용하여 ITO/Si 태양전지를 제작한 후 그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지의 단락전류와 개방전압의 열처리 온도의존성은 약450[$^{\circ}C$]이상부터 증가하여 650[$^{\circ}C$]부근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단락전류와 열처리 시간과의 관계에서는 증착시간이 15분 정도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일정한 태양에너지 조도 하에서 $SnO_2$의 성분비율을 높여감에 따라 전지의 개방전압과 단락전류는 다소 감소한 후 일정한 값으로 안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Side-Wall 공정을 이용한 WNx Self-Align Gate MESFET의 제작 및 특성

  • 문재경;김해천;곽명현;임종원;이재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62-162
    • /
    • 1999
  • 초고주파 집적회로의 핵심소자로 각광을 받고 있는 GaAs MESFET(MEtal-emiconductor)은 게이트 형성 공정이 가장 중요하며, WNx 내화금속을 이용한 planar 게이트 구조의 경우 임계전압(Vth:threshold voltage)의 균일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Side-wall을 이용한 self-align 게이트는 소오스 저항을 줄일 수 있어 고성능의 소자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1)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Side-wall을 형성하기 위하여 PECVD법에 의한 SiOx 박막을 증착하고, 건식식각법을 이용하여 SiOx side-wall을 형성하였다. 이 공정을 이용하여 소오스 저항이 낮고 임계전압의 균일도가 우수한 고성능의 self-aligned gate MESFET을 제작하였다. 3inch GaAs 기판상에 이온주입법에 의한 채널 형성, d.c. 스퍼터링법에 의한 WNx 증착, PECVD법에 의한 SiOx 증착, MERIE(Magnetic Enhanced Reactive Ion Etcing)에 의한 Side-wall 형성, LDD(Lightly Doped Drain)와 N+ 이온주입, 그리고 RTA(Rapid Thermal Annealing)를 사용하여 활성화 공정을 수행하였다. 채널은 40keV, 4312/cm2로, LDD는 50keV, 8e12/cm2로 이온주입하였고, 4000A의 SiOx를 증착한 후 2500A의 Side-wall을 형성하였다. 옴익 접촉은 AuGe/Ni/Au 합금을 이용하였고, 소자의 최종 Passivation은 SiNx 박막을 이용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은 hp4145B parameter analyzer를 이용한 전압-전류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Side-wall 형성은 0.3$\mu\textrm{m}$ 이상의 패턴크기에서 수직으로 잘 형성되었고, 본 연궁에서는 게이트 길이가 0.5$\mu\textrm{m}$인 MESFET을 제작하였다. d.c. 특성 측정 결과 Vds=2.0V에서 임계전압은 -0.78V, 트랜스컨덕턴스는 354mS/mm, 그리고 포화전류는 171mA/mm로 평가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 변화에 따른 균일한 트랜스 컨덕턴스의 특성은 RF 소자로 사용할 때 마이크로 웨이브의 왜곡특성을 없애주기 때문에 균일한 신호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0.5$\mu\textrm{m}$$\times$100$\mu\textrm{m}$ 게이트 MESFET을 이용한 S-parameter 측정과 Curve fitting 으로부터 차단주파수 fT는 40GHz 이상으로 평가되었고, 특히 균일한 트랜스컨덕턴스의 경향과 함께 차단주파수 역시 게이트 바이어스, 즉 소오스-드레스인 전류의 변화에 따라 균일한 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ide-wall 공정은 게이트 길이가 0.3$\mu\textrm{m}$까지 작은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며, WNx self-align gate MEESFET은 낮은 소오스저항, 균일한 임계전압 특성, 그리고 높고 균일한 트랜스 컨덕턴스 특성으로 HHP(Hend-Held Phone)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와 같은 이동 통신용 단말기의 MMICs(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s Circuits)의 제작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icroanalytical Study of Sodium Alginate by Differential Pulse Stripping Voltammetry (시차 펄스 벗김전압전류법을 이용한 Sodium Alginate의 미량분석 연구)

  • Kang, Dae-Joon;Yun, Young-Ja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109-114
    • /
    • 2000
  • In this study, the optimum analytical condition of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for the polymeric Sodium Alginate was studied and its reduction funtional groups were confirmed using Cyclic Vol-tammetry and IR spectroscopy. Optimum conditions were as followed; mercury drop size : medium size, accumulation time : 60sec, accumulation potential : -0.20V vs Ag/AgCl, scan rate : 100mV/sec, supporting electrolyte : 0.10M $NaClO_4$(pH 6.8). After polymeric Sodium Alginate was hydrolized at $100^{\circ}C$ in acidic condition, the current peaks of oligomer were compared with current peak of polymeric Sodium Alginate. In this optimum condition, calibration curve of polymer Sodium Alginate showed good linearity from 0.50ppm to 4.0ppm where as oligomeric Sodium Alginate showed good linearity from 0.05ppm to 0.24ppm.

  • PDF

A Study on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tainless Steel in Triethanolamine Solution (트리에탄올아민용액에서 스테인리스강의 전기 화학적 특성)

  • Park, Jin-Hyeog;Lee, Jong-Ho;Park,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2
    • /
    • pp.275-280
    • /
    • 2015
  • In this study, the current-voltage curves for stainless steel in the triethanolamine(TEA) solution was measured using the conventional three electrodes of cyclic voltammetry. Stainless steel as working electrode, Ag/AgCl electrode as reference electrode and Pt wire as counter electrode were used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C-V characteristics of stainless steel were to be for an irreversible process due to the oxidation current from cyclic voltammogram, using triethanolamine solutions. Effective diffusivity of corrosion inhibitor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0.5 N $NaClO_4$, $2.5{\times}10^{-3}M$ TEA solution when the corrosion inhibition effect is most great, and 1.5 N $NaClO_4$, $1.0{\times}10^{-3}M$ TEA solution, the lowest corrosion inhibition effect.

The electrical and structual characteristics of BSCCO film by MOD method (MOD법을 제작된 BSCCO 고온초전도체의 구조적 전기적 특성)

  • Kim, Sun-Mi;Yoon, Soon-Il;Park, Mi-Hwa;Lee, Kie-Jin;Cha, Deok-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7a
    • /
    • pp.553-556
    • /
    • 2003
  • 금속유기물 용액 증착법(MOD)법은 금속유기물 용액을 스핀 코팅하여 고온 열처리를 통해 대면적의 고온 초전도 박막을 만들 수 있으며, 고가의 진공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박막 증착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MOD법을 이용해서 고온초전도체 마이크로파 필터나 터널접합 소자와 같은 전자 소자 응용 연구를 위해 요구되는 높은 임계전류 특성을 갖도록 박막 성장 조건을 변화시켜서 제작된 고온 초전도체 Bi2Sr2CaCu2O8+d (BSCCO2212) 박막을 제작하였다. 박막 특성은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표면적, 구조적 특성을 관찰하고 저항-온도 (R-T) 변화 및 전류-전압 (I-V) 특성 측정을 통해 전기적 특성을 연구하여 임계전류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박막제작 조건에 관해 논의하였다.

  • PDF

A Study for Novel Voltage Regulation Increasing DG Introduction in Distribution Systems (배전계통에서 분산전원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전압조정방법에 관한 연구)

  • Son, Joon-Ho;Kim, Mi-Young;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450_451
    • /
    • 2009
  • 최근 부하증가에 대한 안정적 전력공급과 환경문제 해결은 전 세계적 이슈로 등장되고 있으며, 그 해결책으로써 분산형전원(Distributed generation, D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G는 경제적 효율적 이유로 기존 전력계통과 연계해 운전되는데,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DG의 불확실하며 빈번한 출력변동은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을 어렵게 만든다.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을 위해 배전용변전소의 부하시 탭 변환기(Under Load Tap Changer, ULTC)가 이용되고 있다. ULTC는 부하변동에 따른 배전선로상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선로 전압강하보상법(Line Drop Compensation, LDC)에 의해 조정된다. LDC 전압조정법에서, 측정된 뱅크전류와 미리 설정된 LDC 정정치(LDC parameters, 부하중심점 전압과 등가 임피던스)를 이용해 ULTC의 송출전압을 결정한다. LDC 정정치 설계시, 기존에는 ULTC 탭 동작횟수를 줄이는 것이 주요 목표였고, 이 목표는 DG 도입을 제한하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DG 도입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ULTC 전압조정법을 제시하고 모델 배전계통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효성을 확인한다.

  • PDF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Iron(II) ion with a Nafion-Ethylenediamine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Nafion-ethylenediamine이 수식된 유리탄소전극에 의한 시차펄스전압전류법으로 철(II) 이온의 정량)

  • Kyong Wone Kim;Hee Cheol Kim;Sung-Hyun Kim;Byung Ho Park;Yeon Hee Kim;Kyong Nam Kim;Yong Chun K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7 no.2
    • /
    • pp.115-120
    • /
    • 2003
  • Determination of iron(II) ion with a perfluorinated sulfonated polymer(nafion)-ethylenediamine(en)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was studied. It was based on the chemical reactivity of an immobilized layer(nafion-en) to yield complex $[Fe(en)_3]^{+2}$. The oxidation peak potential by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DPV) was observed at 0.340${\pm}$0.015 V(vs. Ag/AgCl). The linear calibration curve was obtained in iron(II) ion concentration range $5{\times}10^{-6}{\sim}0.2{\times}10^{-3} M(0.28{\sim}11.17\; mg/L)$, and the detection limit(3s) was $1.89{\times}10^{-5}$M(1.056 mg/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