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류저항값

Search Result 339,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Characteristic Analysis of Transformer Type SFCL with Shunt Resistance of Secondary Coil (변압기형 고온 초전도 전류제한기의 2차측 션트에 의한 특성 분석)

  • Choi, Byoung-Hwan;Du, Ho-Ik;Park, Chung-Ryul;Doo, Seung-Gyu;Kim, Min-Ju;Kim, Yong-Jin;Han, Byou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35-236
    • /
    • 2007
  • 변압기형 전류제한기는 1차측이 선로와 연결되어 있고 2차측은 고온 초전도 소자가 연결되어 있다. 사고 시 고온 초전도 소자의 부담을 줄이고자 2차측에 무유도 션트 저항을 연결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션트가 없을 때 선로전류 제한율은 좋은나 2차측에 있는 초전도 소자가 부담해야하는 전력은 크다. 션트가 있을 때는 선로전류 제한율은 감소하는 반면 초전도 소자가 부당해야하는 전력은 크게 줄어들었다. 이때 2차측의 전압과 전류 중 전압의 감소 폭이 더 컸으며 션트저항 값이 작을수록 전압의 크기는 더 작아졌다. 결론적으로 션트저항의 연결에 따라 제한율은 낮아지지만 소자가 부담해야하는 전력은 크게 줄어든다.

  • PDF

A Versatile Design of Optronic Negative Resistance (호용성이 있는 광결합 부성저항회로의 설계)

  • 박성한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5 no.4
    • /
    • pp.33-37
    • /
    • 1978
  • A versatile negative resistance using one transistor, one photo-coupler and three resisters, which can be used as either a voltage controlled or current controlled negative resistance, is designed. The versatility is obtained by changing the transistor and one connection of the circuit. The negative resistance region is linear and its value can be varied by varying one of the three resistor values.

  • PDF

Algorithm of Battery's Status Prediction using Electric Battery Sensor (Electric Battery Sensor를 이용한 Battery의 상태 예측 알고리즘 개발)

  • Nho, Hee-Jin;Lee, Se-Won;Ko, Kuk-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53-756
    • /
    • 2011
  • 지속적인 충/방전에 의하여 표준 수명 보다 더 빠른 노화 현상을 일으키는 배터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배터리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 하였다. 정확한 배터리 모니터링을 위해서 해당하는 배터리의 잔존 용량 및 잔존 수명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Open Voltage를 사용한 실험,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한 충전 전류 측정법, 시동 시 최대 전류와 내부 저항의 변화량을 알아내는 실험을 하였다. Open Voltage 실험 결과, SOC수치에 따른 특정 전압의 범위를 알 수 있었고, 이 전압은 온도에 의해 변동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전 그래프를 그려본 결과 충전횟수와 완충에 걸리는 시간은 반비례하며, 배터리 내부에 충전되는 총 전류의 양과도 관계가 있었다. 시동 실험에서는 최저 전압 드롭 값과 최대 공급 전류의 범위를 알 수 있었으며, 특정 SOC 구간 내 내부 저항의 값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이 값들은 각 SOC의 수치에 비례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들을 정리하여, 배터리 내부 상태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Change in Current Resistance Value of Electric Motor Requied for Ground Dilling (지반굴착에 소요되는 전기식모터의 전류저항값 변화에 관한 연구)

  • Seo, Dong-Nam;Jeong, Sang-Hoon;Lee, Sang-Hyun;Shin, Jin-Seob;Choi,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5-386
    • /
    • 2023
  • In this application study, field pilot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 proposed formula between the exerted electrical energy and SPT N-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basic study. Measurement sensors and recording system were developed to obtain exerted motor current and drilling depth in a field. By using the correlation formula proposed in the basic study, the measured motor current and boring speed were applied to predict SPT N-value and the predicted N-values were compared to SPT N-value of site exploration. From the comparisons it is verified that the exerted electrical energy to bore ground might be used to predict SPT N-value and pile tip location.

  • PDF

Comparison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ancake Coil and Solenoid Coil using HTS Tape (고온초전도선재를 이용한 팬케이크 코일과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기적 특성 비교)

  • Park Myungjin;Lee Sangsoo;Cha Gueesoo;Lee Jikw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773-775
    • /
    • 2004
  • 최근 높은 임계전류를 지닌 고온초전도선재를 이용한 초전도 전력기기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온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는 자장에 대한 의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온초전도선재가 코일의 형태로써 초전도 전력기기의 개발에 이용되는 경우, 권선 방식에 따라 다른 전기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초전도선재의 전력기기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권선 방식에 따른 코일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초전도선재를 이용한 전력기기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권선 방식에 따른 코일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턴 수와 사용 선재길이를 가진 팬케이크 코일과 솔레노이드 코일을 설계, 제작하고 두 코일의 임계전류를 측정하였다. 또한 인가전류에 대한 두 코일의 전압, 저항특성과 교류손실 특성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측정결과, 두 코일의 임계전류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109A로 팬케이크 코일에 비해 약 $36\%$ 더 높았다. 코일에 가해준 인가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압 중 손실에 관련된 저항성 성분의 전압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류손실은 인가 전류의 피크값이 팬케이크 코일의 임계전류 이하인 구간에서 팬케이크 코일이 솔레노이드 코일의 교류손실보다 9배 크며, 팬케이크와 솔레노이드의 임계전류 사이에서는 8.3배 컸다.

  • PDF

Buck Converter analysis and controller design considering parasitic resistance of inductor and capacitor (인덕터, 커패시터의 기생저항을 고려한 Buck Converter 해석 및 제어기 설계)

  • Lee, Kyu-Min;Kim, Il-S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487-488
    • /
    • 2019
  • 본 연구는 인덕터, 커패시터의 기생저항을 고려한 Buck Converter의 회로 해석 및 Two Loop Control 방법의 제어기 설계를 제안한다. 일반적인 Buck Converter의 회로 및 제어기 설계에서는 인덕터, 커패시터의 기생저항의 값이 작아 0으로 간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기생저항을 고려한 회로를 수학적으로 해석한 뒤 Matlab SISOTOOL을 이용하여 전압 및 전류 제어기를 설계하고 PSIM을 통해 회로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일반적인 설계보다 정확성을 가진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Resistivity Structure in Central Myanmar Basin using DC Resistivity and Magnetotellurics (전기비저항 탐사와 자기지전류 탐사 자료를 이용한 미얀마 중앙분지 전기비저항 구조 연구)

  • Noh, Myounggun;Lee, Heuisoon;Ahn, Taegyu;Jang, Seonghyung;Hwang, InGul;Lee, Donghoon;Hwang, Seh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2 no.2
    • /
    • pp.62-71
    • /
    • 2019
  • We conducted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to obtain the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central Myanmar basin. We tried to analyze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resistivity variation of Myanmar by performing representative geophysical survey methods because researches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are insufficient in Myanmar. The electrical resistivity is expected to be low considering the marine sedimentary rocks composed of shale and sandstone in this area. The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were carried out using SmartRho of Geolux Co., Ltd. and MTU-5A of Phoenix geophysics Ltd., respectively, to visualize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of study area.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showed an electrical resistivity less than dozens of ohm-m within the depth of 100 m. In particular, MT survey data were almost similar to TM and TE modes in the frequency range above 1 Hz. The two-dimensional inversion of MT data showed a subsurface structure with low resistivity below 150 ohm-m divided into east-west direction. We confirmed that the inversions of DC resisitivity and MT data along an overlapped survey line represented similar results.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t would be effective to perform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simultaneously to study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central Myanmar basin.

The Res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of Au-NiO-Au Segmented Nanowires Synthesized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 Lee, Sae-Eun;Kim, Dong-Uk;Yu, Bong-Ye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1-29.1
    • /
    • 2011
  • ReRAM은 metal-oxide-metal구조로 차세대 비활성 메모리를 대체하기 위하여 연구되어왔다. ReRAM은 낮은 전력 소모와 다른 두 저항상태 사이의 높은 scalability를 갖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reset전류와 일정하지 않은 저항 값을 갖고 있어 실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저항변화현상의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일정 전압이 가해 졌을 때, MIM 구조의 산화물 내에서 필라멘트가 형성되었다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항스위칭 메모리의 작동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oxide층의 두께조절, 산화층과 electrode 사이의 계면 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Au-NiO-Au segmented 나노와이어 구조를 만들었다. 전기화학증착 방법을 이용하면 에칭 손상없이 간단하게 나노 구조체를 형성 할 수 있고, 나노 사이즈로 제작된 산화층이 전도성 필라멘트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한하여 reset전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처리 과정에서 Au가 NiO부분에 diffusion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doping에 따른 switching 변화 특성도 관찰하였다.

  • PDF

Ground Resistance Measurement of Large Scale Grounding Mesh and Field Test (대규모접지망의 활선상태 접지저항 측정 및 현장실증)

  • Shin, Dong-Hyuk;Ryu, Hyuk;Choi, Yun-Chong;Jung, Jae-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5b
    • /
    • pp.198-202
    • /
    • 2004
  • 변전소와 같은 대규모의 전력설비 뿐만 아니라 통실설비에서도 낙뢰의 침입시와 스위치의 동작시 과전압이 발생 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와 설비의 보호라는 측면에서 접지계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부족하다. 그러나 운전중에는 설비의 누설전류와 불평형전류에 의해 형성된 대지전위의 영향으로 운전중인 전력설비를 대상으로 기존의 접지저항측정방식으로 접지저항 측정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접지저항 측정방식과 측정법이 동일하면서도 설비가 운전중인 경우에도 접지저항의 측정이 가능한 방법과 측정 장치를 소개한다. 본 방법은 운전중인 전력설비에서 이미 형성된 대지전위성분을 분석하고 이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독립적인 주파수를 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실증을 위하여 대규모 접지망인 변전소를 대상으로 하여 건설 후 운전전과 운전후의 접지저항 측정을 시도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실증시험결과 대규모접지망의 경우에도 설비가 운휴중인 경우의 접지저항간과 운용중인 경우의 접지저항값이 일치함을 실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과 장치의 경우 운전중인 대규모 접지망의 접지저항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PDF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으로 Al 박막의 형성 시 실시간 전기저항 측정에 대한 연구

  • Gwon, Na-Hyeon;Ha, Sang-Hun;Park, Hyeon-Cheol;Jo, Yeo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38-238
    • /
    • 2010
  • 최근 전자산업의 발전은 형상 면에서 경박 단소화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전자소자 내부에서의 배선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Al) 박막의 두께 역시 얇아지고 있다. 두께가 20 nm 이하로 작은 극박막 범위에서 박막의 두께 증가에 따라 전기가 잘 흐르기 시작하는 박막의 최소두께로 정의 되는 유착두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구현하고 임의의 금속박막과 기판의 조합에 있어서 각각의 재료에 대한 유착두께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미세전자소자의 제작시 배선 재료의 선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막의 증착공정 직전에 기판을 표면처리 하여 기판을 활성화시킬 때 표면처리가 박막의 유착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박막의 미세구조 변화 관점에서 연구함으로써 여러 가지 금속박막에 대한 유착두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도출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 기판 위에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턴을 형성하고 패턴이 형성된 유리 기판은 스퍼터에 연결된 4 point probe에 구리 도선으로 연결한 후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으로 Al을 증착하면서 실시간으로 시간에 따른 전기저항을 측정을 하였다. 이때 스퍼터 내부 진공도는 $4.6\;{\times}\;10^{-5}\;torr$ 까지 낮춰준 후 Al을 증착 할 때 진공도는 $1.1\;{\times}\;10^{-2}\;torr$로 맞춰주고 Ar 가스를 20 sccm 넣어준다. 1초 간격으로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 25초대에 전기저항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때 Al 박막의 두께는 $120{\AA}$ 이고 이 두께에서부터 전류의 흐름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박막 두께에 따른 특성을 알기위해 UV 영역의 빛을 사용하는 광전자 분광기(Photoelectron Spectrometer)를 이용해 일함수를 측정하였다. Al 의 일반적인 일함수는 4.28 eV 이며, 두께가 $120{\AA}$일 때의 일함수는 4.2 eV로 거의 비슷한 값을 얻었다. 전류가 잘 흐르기 전인 12초대에서 두께가 $60{\AA}$일 때 일함수는 4.00 eV 이고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후 50초대에서 Al 박막 두께가 $200{\AA}$ 일 때 일함수는 4.28 eV 로 일반적인 Al의 일함수와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광전자 분광기술은 전자소자에서 중요한 전자의 성능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물질의 표면에서 더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전기저항 측정을 통한 금속박막의 전기전도 특성과 미세구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신기술 발전에 공헌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