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력 밀도

Search Result 70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roved Power Estimation Methodology Based on Signal Transition Density Propagation Behavior (신호 전이 밀도 전파 동작에 기초한 향상된 전력 평가 방법의 연구)

  • Kim, Dong-Ho;Woo, Jong-J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8
    • /
    • pp.2520-2527
    • /
    • 2000
  • An improved transition density propagation method for power estimation is proposed. The power estimation for the zero delay model is a proper criteria for the.lower boutldlIry for power consumption. A transition propagation method, including the zero delay model as a lower boundary for power stimation was studied. However, there were some redundancy factor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density propagation. Henc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transition density propagation behavior to eliminate the redundancy factors and present theirriprQved estimation methodology for the signal transition density.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comparably better estimation accurac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 PDF

Analytical Proof of Conservation of Power in the LTV Phase Noise Theory for Noisy Oscillators (선형시변 발진기 위상잡음 이론의 전력 보존성의 증명)

  • Jeon, Ma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4
    • /
    • pp.855-859
    • /
    • 2012
  • This study derives a generalized PSD formula in the LTV phase noise theory for noisy oscillators. The derived formula analytically proves that the LTV phase noise theory can predict the conservation of the power in the noisy oscillation signals. Additionally, the derived formula allows the theory to account for the behavior of the power spectrum over the entire frequency range including the regions around higher harmonics as well as fundamental frequency.

전력 공급 방식에 따른 유도 결합 플라즈마 특성 변화 연구

  • Kim, Hyeon-Jun;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21-521
    • /
    • 2012
  • 공정용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 강자성체 페라이트를 이용하여 평형전력 공급 변압기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원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2개의 평형전력 공급 변압기를 이중 구조 안테나에 설치하였다. 20-100 mTorr 압력 범위의 아르곤 기체에 30-150 W범위의 전력을 인가하여 반응용기의 중앙에서 부유 탐침법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밀도와 전자 온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압력과 전력이 인가되었을 때, 평형전력 공급 변압기의 연결 유무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를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플라즈마 발생원에서의 플라즈마 밀도가 더욱 높음을 보였다. 또한 전자 온도와 부유 전위는 평행전력 공급방식을 이용한 플라즈마 발생원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졌다. 이는 플라즈마 전위의 감소를 나타내며, 챔버 벽으로 빠져나가는 이온과 전자의 손실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One Inductor for Fuel Cell Battery Electric Vehicle (하나의 인덕터를 가지는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를 위한 연료전지·배터리 전력 변환 시스템)

  • Lee, Yun-Jae;Kim, Jae-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16-1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에 맞는 새로운 전력 변환 시스템을 제안한다.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의 전력 변환 시스템은 배터리와 같이 구성하여 에너지 저장 불가능, 느린 응답 속도, 낮은 전력 밀도와 같은 연료 전지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의 전력 변환 시스템은 두 개의 D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연료 전지와 배터리를 함께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인덕터 개수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고 전력 밀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제안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은 한 개의 인덕터, 추가적인 스위치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연료 전지와 배터리를 하나의 컨버터로 구성한다. 따라서 기존에 비해 인덕터 개수가 감소함으로써 경제적이고 높은 전력 밀도 달성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on/off 동작에 따라 승, 강압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료전지와 배터리의 전압 조건 상황에서 동작할 수 있다.

  • PDF

Fuel Cell and Battery Power Conversion System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with One Inductor (하나의 인덕터를 가지는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를 위한 연료전지·배터리 전력 변환 시스템)

  • Lee, Yun-Jae;Kim, Jae-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65-6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에 맞는 새로운 전력 변환 시스템을 제안한다.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의 전력 변환 시스템은 배터리와 같이 구성하여 에너지 저장 불가능, 느린 응답 속도, 낮은 전력 밀도와 같은 연료 전지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의 전력 변환 시스템은 두 개의 D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연료 전지와 배터리를 함께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인덕터 개수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고 전력 밀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제안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은 한 개의 인덕터, 추가적인 스위치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연료 전지와 배터리를 하나의 컨버터로 구성한다. 따라서 기존에 비해 인덕터 개수가 감소함으로써 경제적이고 높은 전력 밀도 달성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on/off 동작에 따라 승, 강압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료전지와 배터리의 전압조건 상황에서 동작할 수 있다.

  • PDF

An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suitable for High Speed Burst-mode optical transmitters (고속 버스트 모드 광 송신기에 적합한 자동 전력 제어 회로)

  • Ki, Hyeon-Cheo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3 no.11 s.353
    • /
    • pp.98-104
    • /
    • 2006
  • The conventional burst-mode APC(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had an effective structure that was suitable for a low power consumption and a monolithic chip. However, as data rate was increased, it caused errors due to the effect of the zero density. In this paper, we invented a new structured peak-comparator which could compensate the unbalance of the injected currents using double gated MOS and MOS diode. And we proposed a new burst-mode APC adopting it. The new peak-comparator in the proposed APC was very robust to zero density variations maintaining the correct decision point of the current comparison at high data rate. It was also suitable for a low power consumption and a monolithic chip due to lack of large capacitors.

Robust Signal Transition Density Estimation by Considering Reconvergent Path (재수렴성 경로를 고려한 견실한 신호 전이 밀도 예측)

  • Kim, Dong-Ho;U, Jong-J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9A no.1
    • /
    • pp.75-82
    • /
    • 2002
  • A robust signal transition density propagation method for a zero delay model is presented to obtain the signal transition density for estimating the power consumption. The power estimation for the zero delay model is a proper criteria for the lower boundary of power consumption. Since the input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unknown at design stage, robust estimation for wide range input characteristics is very important for the power consumption. In this paper, a conventional transition estimation method will be explored. And this exploration will be analyzed with the input/output signal transition behavior and used to propose the robust signal transition density propagation for the power estimation. In order to apply to practical circuits, the reconvergent path, which is crucial to affect the exactness of the power estimation, will be studied and an algorithm to take the reconvergent path into consideration will be presented. In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ology shows better robustness, comparable accuracy and elapsed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The Development Status of Power Conversion Technology for Power Grid (전력계통용 전력변환기술 개발 현황)

  • Lee, Eun-Jae;Baek, Seung-Taek;Choi, Ho-Seok;Kim, Young-Woo;Shim, Jae-Hyeok;Song,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551-554
    • /
    • 2019
  • 국내 전력 계통은 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지속적인 증설과 발전이 이루어졌다. 전력설비의 밀도 측면에서 비추어보면 미국이나 일본 대비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4배에 이르는 최고 수준의 설비 밀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전체 전력 생산량의 40%이상이 수도권에서 소비되고 있지만 발전설비는 최대 전력 수요지인 수도권과 먼 해안에 인접한 지역에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수요와 공급지의 불균형, 장거리 선로를 통한 전력 전송에서 야기되는 전력계통 운영 측면에서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원전 축소, 노후 화력 발전소 정지, 송전선로 경과지에서의 건설 고압 송전선로 건설 반대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전력계통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여야 하는 대전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AC 기반의 계통 설비에 전력변환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DC 계통 및 FACTS 설비의 확대 적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가올 MV급 이상의 전력변환설비의 개념 및 개발 현황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PDF

유연소재 천 기반의 슈퍼캐패시터 저장체의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

  • Yun, Tae-Gwang;O, Min-Seop;Hu, Liangbing;Hyeon, Seung-Min;Han,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97-698
    • /
    • 2013
  • 최근에 유연한 성질을 갖는 전자기기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그에 따라서 유연 전자기기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에너지 저장체의 유연한 성질도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연한 에너지 저장체의 많은 연구들이 유연한 금속 박막이나 특수 공정처리가 필요한 고분자를 이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유연 에너지 소자들은 에너지 저장체의 성능에 비해 고온과 산 약품과 같은 환경이 필요하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있다. 그에 반해 섬유는 앞에서와 같이 특수 공정 처리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며 상온에서도 손 쉽게 이용 가능하며, 신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 때문에 효율적, 비용적으로 유연한 에너지 저장체에 유리한 소재이다. 몸에 해로운 산과 같은 약품처리의 필요도 없으며, 용매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용매를 이용한 도포 방법을 사용하면 다양한 물질을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적용 분야에 맞춰서 섬유의 종류를 조절하면 다양한 성질을 갖는 천 기반의 에너지 저장체가 형성되며, 면 섬유가 수소 결합과 높은 반데르 발스 결합에 의해 탄소나노튜브와 결합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에너지 저장체를 형성하는 것을 분석한 논문들도 보고되고 있다. 면 섬유의 특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체를 제작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반 합성 섬유인 polyester와 면 섬유를 비교 제작하였으며, 용매의 형태로 손쉽게 도포 가능한 물질은 탄소 계열의 활물질들이며, 탄소 나노 튜브나 그래핀 등이 분산된 용액을 이용해 천에 도포 가능하다. 탄소 계열의 활물질들은 대표적인 슈퍼캐패시터 물질이며, 천에 도포를 함으로써 천 기반의 슈퍼캐패시터를 제작하였다. 일반 합성 섬유 polyester와 CNT를 결합한 형태의 전극은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Maximum specific capacitance)이 53.6 F/g으로 나타났으며, 면 섬유와 CNT를 결합한 형태의 전극은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이 122.1 F/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면 섬유에서 높은 에너지 저장 능력을 보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에너지 저장 능력이 뛰어난 면 섬유를 다음 전극 디자인에서도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슈도캐패시터의 대표적 물질인 금속 산화물인 망간 산화물(MnO2)을 3전극 도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에너지 축전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올리는 전극을 제작하였다. 특히 망간 산화물의 형태는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평균 지름은 200~300 nm 정도 되는 나노 입자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확연하게 에너지 축전 용량이 향상되었으며,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은 282.0 F/g, 에너지전력 밀도는 14.2 Wh/kg으로 나타나서 금속 산화물의 형태가 주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나노 입자의 형태로 제작된 금속 산화물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금속 산화물의 전기 전도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에 비례해서 전력 밀도의 값이 표현되는데, 전기 전도성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전력 밀도도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다. 다음과 같이 전기 전도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은 추가의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지만 오직 기계적인 인장응력만을 가해서 에너지 밀도와 전력 밀도를 증가시키는 전극을 제작하였다. 인장응력을 섬유 기반의 전극에 가했을 시에 가닥들간의 접촉 증가와 CNT가 정렬되면서 특정 변형률(strain) 이전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최대 50%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이를 이용해서 전기 전도성과 직결되는 전력 밀도의 양도 증가시키고 에너지 밀도의 증가 여부까지 확인한 결과 인장을 가하기 전 면 섬유의 전력 밀도와 에너지 밀도는 6.4 kW/kg and 6.1 Wh/kg으로 나타났으나 30% 변형 인장 후에는11.4 kW/kg과 7.1 Wh/k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망간 산화물을 첨가한 전극 역시 4.9 kW/kg과 14.2 Wh/kg으로 나타났었으나 인장 이후 전력 밀도는 14.2 kW/kg, 에너지 밀도는 17.6 Wh/kg으로 확연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Burst-mode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Robust io Mark Density Variations (마크 밀도 변화에 강한 버스트 모드 자동 전력 제어 회로)

  • 기현철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4
    • /
    • pp.67-74
    • /
    • 2004
  • As data rate was increased, the conventional burst-mode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caused errors due to the effort of the mark density vari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invented a new structured peak-comparator which could eliminate the effect of the mark density variation even in high date rate, and revised the conventional one using it. We proposed a burst-mode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robust to mark density variations. We found that the peak-comparator in the proposed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was very robust to mark density variations because it affected very little by the mark density variation in high date rate and in the wide variation range of the reference current and the difference 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