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력제어시스템

검색결과 3,395건 처리시간 0.037초

CDMA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전력제어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CDMA System)

  • 정영지;박형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765-77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모델을 설정하교 역방향 전력제어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전력제어 파라메터에 따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역방향 전력제어 성능 평가 파라메터는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주기 Tp, 전력제어 지연시간 kTp 그리고 콤맨드 에러 CMD_ERR와 전력의 증가 및 감소량을 나타내는 PWR_STEP등이며, 이들 파라메터들의 평가 결과는 Tp에 대하여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수신 신호 전력 레벨은 기준 레벨에서 심하게 변하는 잔류 페이딩을 볼 수 있었다. 콤맨드 에러에 의한 영향보다는 전력제어 시간 지연에 의한 영향이 더 크게 나옴을 볼 수 있었으며 PWR_STEP의 변화에 따른 영향은 변화량이 약 2dB로 커질 때 전력 제어 오차가 작아짐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고찰을 통하여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력제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최적화함으로써 CDMA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전력계통에 있어서의 계층제어시스템

  • 송길영
    • 전기의세계
    • /
    • 제25권1호
    • /
    • pp.39-44
    • /
    • 1976
  • 전력계통은 근년에 와서 한층 더 대규모 복잡화되고 전기의 질적향상에 대한 사회적 요청도 날이 갈수록 더욱 더 높아져 가고 있다. 이와같은 정세하에서 전력계통을 원활하게 효율적으로 운용해 나기기 위하여서는 보다 고도한 계통운용기술이 필요하게 되어 이미 실시하고 있는 주파수-유효전력제어, 전압-무효전력제어를 주체로 한 자동급전의 영역을 더 넓혀서 여기에 전력계통의 신뢰도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신뢰도제어까지 포함시켜 나갈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한편에서는 생력화를 주목적으로 하여 개별적인 제어의 자동화 및 집중제어가 촉진되어 제어용전자계산기의 도입과 더불어 제어소의 규모도 확대화될려고 하고 있다. 이와같은 배경에서 중앙급전지령소의 운용으로부터 말단의 발변전소의 조작에 이르기까지의 일괄된 전력계통운용을 펴나가기 위한 전력계통종합자동화가 추진되고 있으나 이들의 제어시스템의 대세로서는 점력계통이 가지는 계층제어시스템의 적용을 지향하고 있다. 본보고에서는 그동안 수년간에 걸쳐 일본 전기학회 급전상치산문위원회가 금후의 전력계통종합자동화의 지표와 그 실현을 위한 기술적 기초의 확립을 목적으로 하여 전력계통에 있어서의 계층제어시스템에 관하여 조사연구한 내용을 집약, 정리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소규모 전력계통 제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small unit Electric Power System)

  • 이승철;이윤섭;신관우;임재웅;김용태;변영준;이준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331-2333
    • /
    • 2003
  • 전력계통의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은 원방의 전력계동을 화면에 표시하고 감시하며 필요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철도청의 기존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은 UNIX를 기반으로 하여 특별히 교육 받은 운용자만이 감시제어 및 관리할 수 있고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지역 사무소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원격지의 전력계통 사고의 경우 시스템 운용자는 현장의 근무자와 연락하여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통합 SCADA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기존 지역사무소에서 운용하던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이 없어지고 중요 역사마다 지역사무소의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소규모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UNIX를 기반으로 한 SCADA 시스템의 기능을 모두 수용하고 현장의 근무자들이 쉽게 감시제어 및 유지보수까지도 할 수 있는 경제적인 전력 계통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소규모 전력 계통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Cimon 이라는 산업자동화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철도청 철암 역사에 직접 시스템을 설치하여 원격소 장치(RTU)와 새로 추가 설치된 전자식배전반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소규모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실험하였다.

  • PDF

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

  • 박영문
    • 전기의세계
    • /
    • 제24권5호
    • /
    • pp.38-41
    • /
    • 1975
  • 기술 및 소개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를 위한 하아드웨어시스템은 온라인리얼시스템의 구비 조건인 고속성, 신뢰성, 경제성을 기저요건으로 하여 동시에 다중프로그래밍, 다중처리가 가능한 범용전자계산기를 모체로 하고 다수의 위성계산기에 의하여 국지적 제어도 가능한 계층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이 현 추세이다. 2)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는 전력계통의 안정제어가 그 주내용이나, 전력공급의 질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가장 경제적으로 전력을 안정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단계에서는 긴급상태 및 회복상태에서는 전력의 안정공급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3)전력계통의 안정제어의 기능은 상태의 감시, 해석 및 안전최적화의 3기능이며 안정최적화 기능중의 제어지령도 리얼타임으로 자동화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나 현단계로서는 CRT 표시장치등의 맨머신 인터훼이스를 통하여 제어지령의 결정과정에서 조작원이 개입하는 것이 상례이다. 즉, 전력계통의 안정제어는 아직까지는 프로세스제어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오퍼레이션제어의 특징을 다분히 지니고 있다. 4)조작원의 판단이나 개입을 줄이는 첩경은 하아드웨어의 개선보다는 전력계통 리얼타임 제어에 충분할 정도로 처리시간에 단축되는 전력계통제어용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으며 그 시기는 아직 먼 것으로 전망된다.

  • PDF

무인등대용 다기능 표준전력제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고종태;김지영;강칠세;김민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5-217
    • /
    • 2017
  •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무인표지에도 기존의 등명기 이외에도 Racon, Fog Detector, 전기폰, 기상 및 해양 관측장비, 휴대폰 중계기 등 전력을 필요로하는 다양한 장비가 설치되고 잇는 실정인데 반해, 현재의 무인표지 전력제어시스템은 기존의 관습대로 등대 내 협소한 구내에 축전지, 충방전 조절기, 전력선 등이 널 부러져 있는 상태로서 효과적인 전력관리와 능률적이고도 안전한 전력 관리를 위하여는 종합적 전력제어시스템 설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무인표지의 전력 시스템을 체계적이고도 안전한 방법으로 관리 할 수 있으며, 축전지 잔량표시, 저전압 충전시스템, 낙뢰피해 방지 및 원격 감시기능 등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무인등대용 표준전력제어장치를 연구 개발하였다.

  • PDF

재실자의 위치에 따른 자동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Occupant's Location)

  • 임경미;임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90-692
    • /
    • 2011
  • 본 논문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On/Off 제어를 수행하거나 일정시간 해당 가전기기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상태를 자동감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개입에 의해 수동으로 재가동해야 하므로 기기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전체의 재실을 감지하여 모든 구역의 대기전력을 차단 혹은 해제하는 시스템의 경우는 모든 구역의 대기전력을 사용자 부재시까지 모두 해제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재실자의 구역에 따라 미사용 가전기기들의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On/Off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저소비 전력을 위한 DDC기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 (DDC-Based Control of Display Systems for Low-Power Consumption)

  • 임현식;이인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673-675
    • /
    • 2004
  •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이미지 제어, 주파수 제어 등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인 것은 LCD 패널부와 백라이트(backlight)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DDC(Display Data Channel)를 이용하여 패널과 백 라이트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저전력을 구현하였다. 호스트(PC)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작성과 호스트의 영령을 받아 처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였다. 데스크탑 컴퓨터와 15, 17인치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에서 소비 전력을 측정하였으며, 2-86%정도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전력제어분야 사이버 보안기술 개발동향

  • 김진철;박택근;이규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11
    • /
    • 2020
  • 최근 전력제어분야 사이버 보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전력제어분야에 특화된 보안 표준화 논의를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며, 국내외 보안기업에서 제어시스템 보안 솔루션을 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제어분야 보안기술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스카다, 배전자동화시스템, AMI와 같은 전력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이버 보안기술 개발동향을 소개한다.

저주파 댐핑 향상을 위한 유연송전시스템의 외부제어기 설계 (External Controller Design of FACTS Devices for Damping Improvement)

  • 백승묵;박정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7-8
    • /
    • 2008
  • 유연 송전시스템(FACTS)은 송전선의 효율을 높임으로서 발전소의 추가 설비 없이도 전력수요에 맞는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기이다. 특히, 직렬형 유연 송전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외부제어기는 미소 리액턴스 신호를 발생하여 내부제어기에 인가함으로서 전력시스템의 저주파 댐핑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외부제어기 설계를 위해 하이브리드시스템 모델링 이론을 유연 송전시스템을 포함한 전력시스템에 적용하였다. 하이브리드시스템은 전력시스템의 고유의 비선형성을 포함하여 모델링을 함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스템 행렬을 계산할 수 있게 도와줌으로서 고유치 분석을 통한 적절한 외부제어기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여 설계된 외부제어기의 성능을 1기 무한모선 시스템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