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력공기업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Internalization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Capabilities of Disaster Management Manager of Generation Public Enterprise (발전공기업 재난관리담당자의 사업연속성관리 역량 내재화 방안연구)

  • Paek, Chun-moon;Cheo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9-17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발전공기업 재난관리담당자의 사업연속성관리 역량 내재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발전공기업은 2001년 전력산업구조개편특별법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에서 6개 회사로 분사되었다. 국가핵심기반시설인 발전공기업은 핵심업무 중단으로 인한 국민생활과 산업시설 기능 정지를 예방하기 위해 2014년 이후 사업연속성관리체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ISO 22301 및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취득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인 이슈와 국가정책 등으로 발전공기업의 강도 높은 재난관리가 요구되고 있어, 재난으로 인한 핵심업무 중단 발생의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관리를 통한 사업연속성 확보를 위해 재난관리당당자의 역량 내재화가 필요하며, 내재화의 구체적인 추진방안은 사업연속성관리요소 업무반영, 사업연속성관리를 반영한 리더 육성 및 인사제도와 연계 등이다.

  • PDF

전(電)력질주_1 - 전력산업의 메카 '빛가람'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4
    • /
    • pp.64-67
    • /
    • 2014
  • 전력산업 분야 공기업 이전과 관련해 가장 'Hot'한 지역이 바로 광주 전남공동혁신도시가 건설되고 있는 전남 나주이다. 혁신도시의 명칭은 '빛가람'. 빛가람이 주목받는 이유는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전을 비롯해 한전KPS, 한전KDN, 전력거래소 등 국내 전력산업을 이끌고 있는 핵심 멤버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이기 때문이다. 나주시가 '배'와 '곰탕'만큼이나 '전력산업의 메카'로 유명해지게 된 것이다. 한적하던 시골마을이 전력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 전력산업의 핵심 멤버들이 이전해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KOSPI-listed Energy Public Enterprise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n Voter Theory (상장 에너지 공기업 경영 안정성 분석: 중위투표자이론의 관점에서)

  • Youngshin Kim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2 no.2
    • /
    • pp.77-105
    • /
    • 202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anagement stability of KOSPI-listed energy public enterprise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n voter theory. We analyze the profitability and stability of five energy public enterprises during the period 2011~2022, and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related to the preferences of median voters who can represent the general public. Our analysis of the profi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energy public enterprises shows that the stability of their has been deteriorating in recent year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lso show that the management stability of the energy public enterprises is related to the preference of median voter. Specifically, they indicate that when the median voter's incom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income, the profitability of the utility decreases and the debt ratio increases. This paper suggests that from the median voter's point of view, excessive utility and energy bills may strengthen the incentives for governments and politicians to suppress rate increases, leading to lower profitability and higher debt for public enterprises.

SPECIAL ISSUES-한국전력공사 올해 업무계획

  • Korea Electric Association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62
    • /
    • pp.17-19
    • /
    • 2007
  • 지난 2006년은 고유가체제의 지속 및 국내경기 성장세가 저하됨에 따라 전력판매 증가율이 둔화되고 전력설비 사고가 빈발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한 해였다. 그러나 이러한 역경속에서도 임직원 모두가 하나 되어‘변화와 혁신’에 매진한 결과 대내외적으로 높은 성과를 인정받아 많은 수상을 받은 한 해이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세계 전력산업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에디슨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Platts誌로부터는 아시아·태평양 최우수전력회사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도 공기업 고객만족도 8년 연속 1위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달성하였으며, 공기업으로는 최초로 옴부즈만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금년에도 집단에너지사업자 및 구역전기사업자 등 판매부문에서의 경쟁체제 확대와 수입 발전연료가격의 고공행진에 의한 구입전력비 상승 등 경영여건의 어려움이 예상되나 글로벌경제확산에 따라“국제경쟁력 제고만이 경쟁에서 살아남아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올 한 해에도 다음 주요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 PDF

회원사 탐방 - 한국남동발전(주)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63
    • /
    • pp.80-85
    • /
    • 2015
  • 한국남동발전(사장 허 엽)은 2001년 4월 2일 정부의 전력산업구조개편 정책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에서 발전부문이 분리 출범한 공기업이다. 국내 화력발전사 가운데 최대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력사용량의 약 11%를 담당하고 있는 발전전문회사이다.

  • PDF

BCMS-based Case Study of COVID-19 Pandemic Response : Focusing on Electric Energy Utility Company (BCMS 기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사례 연구: 전력에너지 공기업 중심)

  • Lee, Seung-Kyun;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5-17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업무연속성계획의 가동 경험을 분석하여 체계를 개선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을 일으킨 대유행병으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업무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에너지 공기업은 위기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필수 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업무연속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무환경 분리, 핵심인력 확보, 비상대응 업무계획 수립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력에너지 공급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이러한 대책들은 효과적으로 시행되었고,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매뉴얼로 활용하고 있다.

  • PDF

에너지구조개편에 따른 집단에너지사업 발전방향

  • 윤원철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1
    • /
    • pp.35-47
    • /
    • 2000
  • 최근 정부의 공기업 경영혁신계획에 따라서 민영화와 경영혁신 대상 공기업이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서, 한국지역 난방공사(이하 '한난')는 1차 민영화 대상 공기업으로서 단계적 민영화를 위하여 안양 및 부천 사업소를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의 열병합발전소와 통합매각하여 2001년 51%이상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민영화를 완료하도록 추진방안이 수립된 상태이다. 이렇듯 가시화된 정부의 에너지산업에 대한 경쟁 촉진 및 규제완화는 정부주도의 하향식 계획을 지양하고 에너지 구성(energy mix)을 시장에서 결정되게 하자는 것이다. 이는 관련업체간에 해당에너지의 사업주체에 대한 경쟁이 아니라 개별기업이 다양한 에너지사업을 운영하면서 한 기업의 최적 에너지 구성을 시장원리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이 핵심사항이다. 따라서, 현재 한난과 에너지관리공단이 운영 및 소유주체로 되어 있는 국내 집단에너지사업은 정부방안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특히 에너지산업 변화에서 제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발전계획 및 민영화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추진중인 국내 에너지 산업 구조개편에 따른 집단에너지사업의 발전방향을 정책적인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논의의 대상은 국내 집단에너지 사업으로, 공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을 제외한 지역냉난방 사업을 중심으로 하여 전력 및 가스사업고의 연계방안 등이 주요 사항이다.

  • PDF

경쟁시장에서의 도매 전력 가격과 발전소 건설 Cycle에 관한 연구

  • 김현실;안남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1-296
    • /
    • 2002
  • 대규모 투자와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전력 산업은 지난 40여 년간 한국전력 독점의 공기업 체제로 운영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규모의 경제를 초과한 한국 전력은 경영효율의 한계에 도달하고 비경제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는 정쟁과 선택이라는 시장 원리를 전력산업에 도입시키기로 결정하고 지난 2001년 4월에 한국 전력거래소의 출범과 함께 본격적인 정쟁체제 구축을 진행했다.(중략)

  • PDF

우리나라 독점공기업(獨占公企業)의 성장요인분석(成長要因分析) -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와 한국전기통신공사(韓國電氣通信公社)를 중심(中心)으로-

  • Song, Dae-Hui;Song, Myeong-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0 no.4
    • /
    • pp.39-59
    • /
    • 1988
  • 우리나라 공기업부문(公企業部門)의 국민경제적(國民經濟的) 비중(比重)이 1970년대에 비하여 1980년대에 더욱 커진 요인(要因)은 정부투자기관(政府投資機關)의 급속한 확장(擴張) 및 성장(成長)에 있었다고 판단된다. 본(本) 연구(硏究)는 정부투자기관(政府投資機關)에서 차지하는 비중(比重)이 막중한 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와 한국전기통신공사(韓國電氣通信公社)의 성장요인(成長要因)을 가격요인(價格要因)과 생산성요인(生産性要因)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생산성요인(生産性要因)을 다시 투입요소별(投入要素別)로 분석하여 보았다. 우리나라 최대공익기간업체(最大公益基幹業體)인 이들 두 기관(機關)은 기업(企業)의 성장(成長)을 1979~82년 기간중(期間中)에서와 같이 가격적(價格的) 수단(手段)에 의하기보다는 실질적(實質的) 생산성증가(生産性增加)에 의하여야 할 것이며, 실질생산성(實質生産性) 향상(向上)을 위한 수출상품(輸出商品) 및 투입요소(投入要素)의 합리적(合理的) 재구성(再構成) 및 관련기술개발(關聯技術開發)에 보다 역점(力點)을 두는 경영(經營)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tate occurred by the Organizational Chang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JobAttitude: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Relocation of Electric Power Public Corporation to Local Areas (조직변화에 따른 심리상태와 공공봉사동기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사연구: 전력공기업의 지방 이전 실시 전후의 비교)

  • Lee, Joon T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3
    • /
    • pp.147-163
    • /
    • 2022
  • The relocation policy of public Institutions throughout provincial areas that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inished in 2019 with the last relocation of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which moved to Chungbuk Innovation City. Electric power public corporations also completed relocation program over eight regions across the n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empirically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attitude. In this,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hange, particularly occurred by the regional relocation, with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se organization members (experienced direct changes and got substantial impac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psychological, economic and living environment, etc.,) was studied. This study aims to seek early organizational stabilization ideas for electric power public corporations after relocation, and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secondary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o local areas. This study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state occurred by relo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the expectation levels, the higher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anxious psychological state has no relation with that. Additionally, expectation level has no significant functional 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Followings are the major conclusions revealed in this study; The stronger the anxious psychological state, the higher the turnover inducement goes up. The higher the expectation levels, the higher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grows, and the higher the anxiety psychological stat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lower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rows according to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proportionally, but the turnover inducement intention is weak.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between the expectation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but it was analyz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ther anxiety psychology. The expectation levels of employees of electric power public corporations has grown up after moving to provincial areas.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mind and the turnover inducement has decreased after local re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