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력계통 운영신뢰도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7초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제어 전략에 따른 송전망 전압상승 완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Voltage Regu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active Power Control Strategies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ystems in Transmission Grid)

  • 김수빈;송승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1-43
    • /
    • 2019
  • 송전망에 장거리 지중선로로 재생 발전원이 연계되는 경우, 지중선로의 커패시턴스 성분으로 인한 계통으로 무효전력 주입이 발생하여 전압상승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 발전원의 발전량 조절의 어려움은 경부하시 전력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계통의 전압상승을 심화시킬 수 있다. 계통의 전압상승은 계통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계통운영에 어려움을 수반한다. 이러한 전압상승은 무효전력보상을 통해 완화가 가능하다. 인버터 기반의 재생 발전원은 무효전력제어 제어 정밀도가 높고 빠르게 제어가 가능하여 계통의 전압상승 완화에 좋은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송전망 계통에서의 전압상승 완화를 위한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제어기술을 설명한다.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지원에 따른 전압상승 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atlab을 활용하여 송전망 전압상승 및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지원을 모의하였다. 계통 모델에는 영광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와 주변 계통의 파라메터를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한국형 EMS의 계통해석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DB 및 S/W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base and Software Architecture for K-EMS Network Analysis Applications)

  • 허성일;김선구;이효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406-407
    • /
    • 2007
  • 에너지 관리시스템(EMS)은 전력계통 제어용 종합 자동화 설비로서 전력계통 운영의 효율성과 전력공급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운용되고 있다. EMS의 중요한 기능중 하나는 일련의 계통해석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전력계통의 상태를 해석하여 안전도를 감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통해석 애플리케이션들은 상호간에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의 동일한 전력계통모델을 사용하여야 하며, 주어진 시간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기능이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계통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하므로 데이터의 입출력이 매우 빠르게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신뢰성과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공통 네트워크 모델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와 그에 맞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 구조나 기능을 설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전력IT 국가전략과제로 개발 진행 중인 한국형 EMS(이하 K-EMS)의 계통해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세부기능들의 구조를 이러한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일본에 있어서 배전자동화 기술의 개발연구

  • 오기노아키오
    • 전기의세계
    • /
    • 제40권3호
    • /
    • pp.40-50
    • /
    • 1991
  • 일본에서의 배전자동화의 목적은 배전계통을 대책으로 한 전력의 고품질, 고신뢰도에 의한 안정공급 운영, 관리의 효율화 및 수용가를 대상으로 한 부하율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부하평준화, 전력량계 검침의 성력화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두가지로 대별하여 배전계통자동화 system과 수용가 정보, 제어 system에 한 개요를 말하고자 한다.

  • PDF

2009년 전계통 정전시 전력계통 복구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ing 2009 System Restoration Plan)

  • 전재룡;송광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9_130
    • /
    • 2009
  • 우리나라는 전계통 정전 또는 광역 정전에 대비하여 매년 전계통정전시복구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연계되지 않은 단독계통으로 전계통 정전이 발생할 경우 외부 수전을 활용하여 복구를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전국을 7개 지역으로 나눠서 13개 자체기동발전기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각 지역은 주 시송전계통과 예비 시송전계통을 지정하여 주 시송전계통이 휴전 또는 고장으로 가압불가시 예비 시송전계통을 활용하여 가압하도록 하여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2009년부터는 EMTP-RV를 활용하여 차과도상태를 검토하여 신뢰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 PDF

전력 텔레매트릭스 시스템용 변전설비 예방진단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Expert Algorithm for Condition Monitoring Diagnosis used by Power Telemetrics System)

  • 최광범;이동준;어수영;심종태;김규호;이동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5-166
    • /
    • 2008
  • 전력 텔레매트릭스 시스템은 전력계통의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계통설비의 합리적인 유지보수 및 운영을 통해 계통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고안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상위 HMI 부분은 MMS, CMD, FEA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그중 CMD(Condition Monitoring Diagnosis) 시스템은 전력설비의 상태를 감시하고 진단하여 설비 유지보수에 도움을 주는 부분으로서 MMS과의 데이터 공유를 통하여 전력설비를 더욱 합리적으로 유지보수 및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CMD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핵심 알고리즘에 관하여 논할 것이다. 또한 개발된 알고리즘이 실제로 전력텔레매트릭스 시스템의 CMD 시스템에 삽입되어 현장 센서 테이터가 어떻게 이동이 되는지 보여 줄 것이다.

  • PDF

분산전원의 영향과 정전비용을 고려한 신뢰도 향상 (Reliability Improvement Considering Effect of Dispersed Generator and Interruption Cost in Distribution Systems)

  • 김규호;송경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72-17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배전계통의 부하지점의 부하형태에 따른 정전비용의 영향을 고려하여 분산전원을 설치함으로써 운영비용 및 정전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정용, 산업용, 상업용, 사무용 및 농업용 등 부하형태를 실제 계통과 유사하게 고려함으로써 정확한 신뢰도 지수와 운영비용을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총 운영비용 최소화에 더욱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정전시 각 부하지점에 설치된 분산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전력구입 비용과 정전비용의 경우 효과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며, 정전빈도와 정전시간이 감소되어 전력 공급률이 향상되어 신뢰도 지수가 좋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제주지역 발전제약 완화방안과 CPF 해석 (A Study on Determination of Pg Limitation in Jeju System Using Continuation Power Flow(CPF))

  • 주준영;배주천;강상균;이병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441-442
    • /
    • 2007
  • 제주계통은 지속적인 부하증가를 고려하여 대용량의 발전기를 설치하였다. 제주계통에서 대용량의 발전기가 탈락하는 경우 탈락되는 유효전력량 만큼 HVDC에서 추가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전류형 HVDC는 유효전력을 전송시키기 위해서 계통에서 무효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탈락하는 발전기의 유효전력 발전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계통에서 공급받아야 하는 무효전력량이 많아진다. 실질적으로 상정고장 검토시 제주도의 대용량 발전기의 탈락은 제주 계통의 안정도 유지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므로 발전기의 유효전력 출력은 신뢰도 유지를 위해서 제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발전기 최대 유효전력 출력값을 계산하기 위한 새로운 해석 방법과 전력시장운영규칙의 기준전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압보상장치를 투입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값이 싼 대용량 발전기의 발전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 PDF

국외 지중배전계통 구성 및 운영현황 조사연구 (Study on examination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in abroad)

  • 이남우;김동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1-152
    • /
    • 2008
  • 배전선로 지중화에 경험이 많이 있는 유럽 전력회사의 지중 운영사례와 최근 공급신뢰도 향상을 위해 지중계통의 다양한 구성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미국의 Con-Edison사의 차세대 계통 구성 프로젝트 등 북미, 일본의 계통 구성방식과 설비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국외 전력사에서는 환경적인 요인과 안전을 위해 지중화 및 기자재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오염물 퇴적과 변압기 과부하 감시기능을 부가한 지하볼트, 직접매설형 변압기, 벽면거치형 스위치 등 새로운 설계개념을 도입하고 있었다.

  • PDF

확률론적 방법론을 이용한 마이크로그리드(MG)의 에너지 저장장치(ESS) 최소 필요용량 및 투자시점 결정방법 (A Study on the Method to Evaluate Minimum Capacity of Energy Storage System(ESS) for Micro Grid(MG) Design)

  • 이재걸;신정훈;남수철;백승묵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40-47
    • /
    • 2010
  • Micro Grid(MG)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시스템으로 Smart Grid 기술의 일환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기본적인 MG의 개념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분산전원의 도입 및 효율적인 계통운영이지만 여기에는 전력공급의 신뢰성과 경제성이 배제될 수 없는 요소임은 확실하다. MG라는 새로운 계통의 개념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기존 전력계통(Utility Grid)과의 간섭, 신뢰도 및 전력품질의 문제들이 해결해야 하는 숙제로 떠오르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안 중 하나가 에너지저장기술이다. 그러나 본 기술은 아직까지는 초기투자비 및 운영유지비가 매우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MG의 설계에 있어서 신뢰도와 경제성을 함께 고려한 Energy Storage System(ESS)의 설치방법이 필요로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급신뢰도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ESS의 최소필요용량 및 적정투자시점을 결정하는 확률론적 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발전소 제어계통 성능 개선 동향

  • 홍남표
    • 전기의세계
    • /
    • 제38권3호
    • /
    • pp.43-50
    • /
    • 1989
  • 오늘날 각국의 전력산업계에서는 발전단가를 경제적으로 유리하도록 낮추고 전력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처하며 기존 발전설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발전설비의 성능개선 및 발전소 운전 수명 연장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최신 기술에 의한 제어게통 성능 개선은 이러한 목적을 제한된 예산과 짧은 기간내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업으로 고려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고장-내력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분산 디지탈 제어기술은 대용량의 공정계통을 실시각 성능분석과 예측제어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다중 제어계통으로 계통의 신뢰도 및 이용율을 높이고 발전소 운전 및 제어를 용이하게 계층적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최신 제어 기술이다. 이로써, 사례에 밝혀진 바와 같은 제어 설계 개선 및 설비 대체로 발전소 운영의 경제성, 안전성, 신뢰성 및 편이성의 개선 효과를 달성시키고 있음을 알았다. 특히, 선진국의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계통 성능개선 사례는 경제성은 물론 안전성 확보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도 전력 수요에 경제적으로 대처하고 보다 양질의 전기를 생산하며 기존설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현재 추진중에 있는 화력발전소 제어계통 성능 개선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계획임에 틀림이 없다 하겠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에도 안정성을 제고시키고, 발전소의 이용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추진중인 신기술을 적용한 성능 개선 사업의 단계적 추진은 당연한 추세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