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략환경영향평가

Search Result 33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Current Status of Ecosystem Diversity in Korean and Conservation Strategy (우리 나라 생태계 다양성 현황과 보전전략)

  • Lee, Sang-Don;Jung, Eu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4
    • /
    • pp.259-269
    • /
    • 2002
  • 보전전략은 규모가 큰 지역을 설정하여야 하는 데 그 이유는 광역보전지역은 다양한 생물지리학적인 분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보고서는 우리 나라의 다섯 개의 중요한 생태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섯 개의 생태계는 산림생태계, 담수생태계, 연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도서생태계 그리고 비무장지대생태계이다. 각각의 생태계 보전전략에 대해 물리적인 측면과 생물지리적 측면에서 기술되었으며 생태계 보전방안은 생태계의 기능과 가치뿐만 아니라 자연시스템을 유지하고 복원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생태계 보전을 위해 1) 지역주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2) 연구와 교육 및 홍보의 기능을 강화하며, 3) 지역정보와 기술을 상호 교환하고, 4) 국제협력 증진을 도모, 5) 보전지역을 조성하기 위한 예산확보를 제안하였다.

Priority analysis of dam candidate sites with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cluding the missing information (결측정보가 있는 전략환경평가를 이용한 댐 후보지 우선순위 분석)

  • Park, Dae-Ryong;Eom, M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7-437
    • /
    • 2018
  • 본 연구는 댐 후보지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이 결측 정보에 따라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 및 결측정보 접근방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전략환경평가(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는 한국의 댐 건설 장기 계획에서 환경 및 생태학적 영향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댐 후보지 선정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정보가 결측된 경우 SEA는 댐 후보지를 선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으로 AHP, ELECTRE III, PROMETHEE II, Compromise Programming을 적용하였고, 결측 정보 보완을 위해 이항분포와 균등분포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댐 선정 후보지에 적용하여 다중 기준 의사 결정기법과 정보 생성 방법에 의존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항분포형을 적용한 결과가 균등분포형을 적용한 결과보다 보다 명백한 우선순위를 보여 주었다. 또한, 다기준 의사결정방법에 따라서는 댐선정 후보지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기준 의사결정방법 적용시, 결측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항분포를 사용하면 균등분포 적용시보다 우선순위를 제공하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 PDF

Study of Information System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of the Arctic Development Project (북극권 자원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EIA)를 위한 정보 구축 방안)

  • Kim, Sewon;Kim, Yo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8 no.4
    • /
    • pp.53-61
    • /
    • 2019
  • It is well known there are a lot of undeveloped energy resource in the Arctic circle. As global warming enables the use of Arctic sea routes, the interest in Arctic resource development is increasing. Recently, polar neighbors and developed countries are actively promoting construction project in Arctic circle. However,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Arctic resource development has been raised. Today, environmental issu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 of the project as well as on the costs of Arctic development pro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technology related to energy resource development and transportation for the Arctic resource project.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s important. This paper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of EIA for developing Arctic resources, and reviews how to construct the systematically management of the necessary information. This system consists of a database required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its application. The system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strategic development projects in the Arct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Urban Green Spac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대한 도시녹지 취약성 평가)

  • Choi, Hyun-Ah;Lee, Woo-Kyun;Park, Su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23-325
    • /
    • 2010
  • 기후변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영향을 평가하여 적절한 적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도시내에서 녹지의 확충과 수목식재는 많은 환경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그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녹지 취약성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마련하고, 이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GIS기반 공간정보를 형태, 규모면에서 통일한 후 공간 및 시공간모형기반의 평가과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Coffee Shop on Customer Evaluation and Satisfaction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의 서비스 평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Jeon, Min-Sun;Park, Ok-Jin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7 no.5
    • /
    • pp.42-56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s on menu quality and service delivery in the coffee shop settings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physical environments on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376 respondents who have ever visited a coffee shop in Seoul and Kyunggido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environm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ther service environments. In addition, physical environments enhanced the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coffee shop. The findings suggest that every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 at the coffee shop environments should be managed appropriately so that coffee shop customers have satisfactory experiences.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BSC Application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공공부문 BSC 운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in, Seung-Ho;O, Jae-In;Kim, Yeong-Ch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39-744
    • /
    • 2007
  • 본 연구는 성과관리가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의 혁신도구로써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공공부문의 균형성과표(BSC) 운용의 성공요인과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과관리를 위한 BSC의 추진 관리 단계인 계획, 실행, 평가, 환류, 등 순환주기에 관련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직성과에 관련된 변수들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BSC를 구축 운영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BSC 성과관리시스템 담당자에게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BSC 운영 단계별 하위변수들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인 시사점은 성과관리를 조직 내에 촉진 유지하기 위한 조직적, 정책적, 전략적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제도가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객관적인 평가지표가 명확히 설정되지 않았거나 보상체계가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공공부문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구성원이 전략적 사고의식을 가져야 한다.

  • PDF

Selecting of Assessment Factors on Soils in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의 토양항목 평가대상인자 선정)

  • Kim, Tae Heum;Park, Sun Hwan;Hwang, Sang Il;Yang, Jihoon;Lee, Jai-You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0 no.4
    • /
    • pp.104-112
    • /
    • 2015
  •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which can have an effect on soil during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are analyzed against a total of 86 administrative plans and development basic plans of the SEA. Other factors which could have influences on soil are also analyzed after examining contents and rules required for preparing the SEA statement. Then, we propose assessment factors on soils during the SEA procedure. We think that this study could give baseline data to set up assessment items, criteria, and techniques that are highly necessitated in preparation of the SEA statement in the near future.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9-469
    • /
    • 2015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도시유출모형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도시유역에 미치는 유출영향을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한 극치수문사상의 적용 및 유출분석을 통한 하천제방의 취약성 평가와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하천의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oastal Erosion in Korea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Cho, Kwang-Woo;Maeng, Jun-Ho;Shin, Hyun-Hwa;Joo, Yo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2
    • /
    • pp.174-181
    • /
    • 2009
  •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to effectively incorporate the environmental issue of coastal erosion into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ss of Korea. We assess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n coastal erosion for the previous development plans and provide potential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The considerable project plans should be screened for the impact of coastal erosion, which occupies about 20% of the total project plans reviewed, and the ratio increased with project scale. In addition to screening process, most process including scoping, baseline study, impact assessment, and follow-up need to be improved. The potential directions of improvement are provided in terms of appropriate guideline development, employment of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follow-up improvement and rearrangement of the preparation regul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Emphasis is given for follow-up process to review post-monitoring period, to employ science compensation, and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institution. Final suggestion is made for the establishments of comprehensive national plan to manage coastal erosion and streamlined environmental process from strategic to project levels based on the national plan.

A Study of Index Selection and Application Plan for Environment Friendly Road Construction Plan (친환경적 도로건설계획을 위한 지표 선정 및 적용 방안 연구)

  • Joo, Yongjoon;Sagong, Hee;Choi, Joongyu;Hwang, Giw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5
    • /
    • pp.354-364
    • /
    • 2017
  • Considerable amount of resources on roads, basic infrastructure, to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goods is invested. Despite the necessity, its undesirable side effects ar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order to efficiently evaluate these problems more than before, planning indictors for environment-friendly road constructions is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we make an investigation into real-life cases where the extracted planning indicators were applied. Second, it is suggested that a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 efficaciously evaluate and/or adopt extracted planning indictors on road construction projects. Finally, criteria to determine environmental impacts with respect to planning indicators and apply them into real cases is propos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upgrading past pro-environmental indictors for road construction, suggesting reasonable applications of planning indicators, and setting criteria to determine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planning indi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