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략적 의도

검색결과 950건 처리시간 0.031초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만 온라인 쇼핑속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hopping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American Consumers)

  • Kim, Eun-Young;Kim, Youn-Kyung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63-83
    • /
    • 2002
  • 본 연구는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한 온라인 쇼핑속성에 대한 차원을 밝히고. 온라인 속성에 대한 중요성과 상품범주별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밝혀 상품범주별 마케팅 전략과 인터넷 소비자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미국 소비자 303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질문지법에 의해 자료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고, LISREL8에 의해 측정모델과 구조적 관계 모델을 동시에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가 지각한 온라인 쇼핑에 대한 속성은 거래 및 비용, 사이트 디자인, 구매유인 프로그램, 상호 관계성의 4개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온라인 상품은 구매의도에 따라 인지적 상품, 경험적 상품, 서비스 3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지각된 온라인 쇼핑속성의 중요도와 각상품군 구매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모델을 추정한 결과,“거래 및 비용”은 3개의 상품군에 대한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구매유인 프로그램”은 경험적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중요하게 지각되는 인터넷 특정 속성 즉, 보완, 배달 및 비용을 초점으로한 상품범주별 차별화된 이점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자 상거래와 관련 보완, 환불정책 등에 관한 소비자 교육과 보호법이 요구되고 있다.

제품속성, 브랜드 및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9개 지역의 휴대폰시장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duct Attributes, Brand and Corporate's Images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sion - Focusing on Chinese Cellular Phone Markets in 9 Areas -)

  • 김성철;박의범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367-390
    • /
    • 2008
  • 중국 휴대폰시장 성장은 한국 이동통신 산업에 기회와 위협을 주는 양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수출시장으로서의 중요성과 함께 중국 휴대폰 산업과의 경합성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이는 기업의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한 소비자 소비성향과 구매의도 파악에 기초한 국제마케팅전략 수립의 현지화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진출을 계획하거나 중국에 이미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서 가설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 1'기업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가설 2'브랜드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가설 3'제품속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조절변수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세 독립변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 성별, 연령이 기각되었고 학력이 부분채택 되었으며 기타 연구가설이 모두 채택된다. 실증분석에서 사용된 소비자에 대한 측정항목을 중심으로 실제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the Lntention of Start-up in Wome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 임정숙;김성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65-76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창업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영향요인인 셀프리더쉽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셀프리더쉽 전체와 더불어 하위요인인 행동지연 전략, 보상자연 전략 및 건설적 사고전략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198명을 대상으로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model 4번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는 붓스트랩 샘플을 5,000개로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행동지향적 전략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자연보상적 전략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건설적 사고전략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여성 창업에 대한 발전적 제언을 하였다.

여가제약 수준에 따른 여가정체성 현출성, 여가제약 협상전략 및 여가활동 참가의도 간의 인과관계 검증 (A Study on Causality Among Leisure Identity Salience,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Intentions for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y)

  • 오세숙;신규리;연분홍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2호
    • /
    • pp.305-314
    • /
    • 2012
  • 본 연구의 여가제약 수준에 따른 여가정체성 현출성, 여가제약 협상전략 및 여가활동 참가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재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가제약의 수준에 따라 여가정체성 현출성, 여가제약 협상전략, 여가활동 참가의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첫째, 여가제약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여가정체성 현출성은 협상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만, 여가제약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정체성 현출성의 발현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가제약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높아지면 여가활동 참가의도에 긍정적(+) 관계가 직접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제약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활동 참가의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주지 못하고, 여가제약 협상전략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여가활동 참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제약이 높게 인지되는 경우일수록, 여가참가 의도에 대한 제약협상전략의 매개적 역할이 중요해 짐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여가제약 협상전략의 과정에서 여가정체성 현출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검증할 수 있었다.

장애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s of Child with Disability :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hild's Effortful Control through Defense Style of Mother and Child)

  • 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50-563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이 어머니와 아동의 심리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물임을 인식하고, 이의 체계적 인과구조와 다차원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외현화 행동의 감소를 통한 장애아동 및 장애아동 가족의 순적한 정상화과정(normalization process)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동 및 어머니 1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간 관계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매개변인으로,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조건부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은 아동의 외현화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이에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전제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행동지원 등의 효과적 전략 기틀 위에 과보호 행동변화를 위한 직접적 전략, 아동의 의도적 통제성향과의 병행전략, 어머니의 대처전략 적용을 통한 차선적 전략 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국가적 위기·위험상황에서 대중(大衆) 위기커뮤니케이션과 심정(心情) 영향력 및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crisis communication and Heart & Fellings influenc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crisis risk situations)

  • 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39-251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적 위기·위험 상황에서 대중(大衆) 위기 커뮤니케이션과 심정 영향력 및 행동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실증연구로 진행된 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위협 유형, 위기·위협 반응, 심정(위기·위험 책임성, 전략적 위기·위험 반성적 반응), 행동의도의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목적지로서 관광지에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목적지에서의 위기·위험 커뮤니케이션과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 중 하나인 심정(心情)인 (위기·위험책임성, 전략적 반응, 위기·위험 반성적 반응) 간의 관계는 물론 결과변수인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개념에 대해 이론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도출 후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가설 3개를 설정하였으며 가설 결과에 따라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고 기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정부, 사업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대처하는 문제가 위기·위험의 문제를 상쇄시킬 수 있는 기회로 삼을 것이다.

외식 종사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효과 -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의 효과 검증 - (The Effects of Foodservice Employee's Job Stressor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

  • 김영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06-219
    • /
    • 2010
  • 본 연구는 외식 종사원이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의 유형을 확인하고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지역 소재 호텔 및 뷔페 레스토랑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식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가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외식 종사원이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직무 환경, 대인 관계, 업무 역할, 업무 특성, 경력 개발, 개인 특성 요인 6가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직무 스트레스 요인 중 대인 관계와 경력 개발 요인이 직무만족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이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낮은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을 나타낸 집단과 높게 나타난 집단의 높은 직무 만족과 낮은 이직 의도를 확인하였다.

  • PDF

디지털 홈 서비스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Potential Users Adoption of Digital Home Services)

  • 오재인;원종진;이종승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93-203
    • /
    • 2005
  • 우리나라는 정부의 정보화 촉진정책에 힘입어 전국에 초고속정보통신 기간망이 구축되었고, 산업 및 공공영역에서의 정보인프라를 통한 정보화 확산은 가정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대표하는 정보화 서비스 중의 하나가 디지털 홈 서비스이다. 그러나 디지털 홈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기술적인 연구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의 향후 디지털 홈 서비스 수응 등 전략적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홈 서비스 수용의도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고찰하고 디지털 홈 서비스의 잠재 사용자 수용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수용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디지털 홈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측면, 예컨대 효과적인 상품개발과 마케팅을 위한 적절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업의 그린마케팅이 소비자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porate Green Marketing on Consumer Word of Mouth Intention)

  • 박지호;박현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9-16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의 친환경 활동에 책임이 강화되고 있는 현재 기업의 그린마케팅이 경영성과 창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의 그린마케팅이 소비자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신뢰도의 매개효과와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그린마케팅은 소비자들의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브랜드신뢰도는 기업의 그린마케팅과 소비자의 구전의도 관계에서 정(+)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은 브랜드신뢰도와 그들의 구전의도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친환경 전략과 실천은 브랜드신뢰를 강화하고, 소비자들의 구전의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친환경 전략과 이의 실천이 실제 브랜드신뢰 구축과 소비자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그린마케팅과 소비자의 자발적 구전 가능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했으며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친환경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운동 몰입 및 재구매 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oach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cise Flow, and Repurchase Intention in Sports Centers)

  • 범철호;슈테판 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850-5858
    • /
    • 2015
  •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회원의 운동 몰입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집한 설문지 275부를 이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카리스마, 개인적 배려 및 지적자극은 인지 몰입과 행위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배려만이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 몰입은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위 몰입은 유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 운동 몰입 및 재구매 의도 간의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도자에게 고객들의 운동 몰입을 높이기 위한 이해를 돕는데 가치가 있으며, 마케터에게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적인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