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ausality Among Leisure Identity Salience,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Intentions for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y

여가제약 수준에 따른 여가정체성 현출성, 여가제약 협상전략 및 여가활동 참가의도 간의 인과관계 검증

  • Received : 2012.01.31
  • Accepted : 2012.04.27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estimated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leisure identity salience (LI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LCN), and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IPLA). For this, we estim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controlled by leisure constraints, and we used data collected from 296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Kyoung-gi providence. The following was obtained. First, for both group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leisure constraints, LIS positively caused LCN, and this became more evident for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leisure constraint. Second, for the group with low level of leisure constraints, LIS positively and directly caused IPLA, whereas this causal relationship could not observed from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leisure constraints. Nevertheless, it indirectly and positively caused IPLA though LCN for the same group. This implies that the mediative role of LCN became more important as the level of leisure constraints became more restrictive. Further, we separately showed that the role of LIS wa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LCN.

본 연구의 여가제약 수준에 따른 여가정체성 현출성, 여가제약 협상전략 및 여가활동 참가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재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가제약의 수준에 따라 여가정체성 현출성, 여가제약 협상전략, 여가활동 참가의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첫째, 여가제약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여가정체성 현출성은 협상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만, 여가제약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정체성 현출성의 발현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가제약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높아지면 여가활동 참가의도에 긍정적(+) 관계가 직접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제약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활동 참가의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주지 못하고, 여가제약 협상전략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여가활동 참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제약이 높게 인지되는 경우일수록, 여가참가 의도에 대한 제약협상전략의 매개적 역할이 중요해 짐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여가제약 협상전략의 과정에서 여가정체성 현출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검증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0-322-G0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