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달 함수

Search Result 1,35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Effect of HRTF on Sound Localization (머리전달함수가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

  • 김진욱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261-26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MIT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와 Neumann의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하여 머리전달함수가 음성정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머리전달함수의 측정조건과 시간 및 주파수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청취실에 헤드폰 재생을 통하여 $10^{\circ}$간격으로 음상정위에 대한 주관평가들 실시하였으며, 주관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과 전체 평균에 대한 방향 지각 에러(각도)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MIT 머리전달함수에 비하여 Neumann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음상정위가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음질에 대해서도 청취자들은 Neumann 머리전달함수에 의한 재생음이 보다 자연스럽고, 명확한 품질을 갖는다고 답하였다.

  • PDF

The HRTF compens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udiences head width and distance (청취자의 머리 크기와 거리에 따른 머리전달함수 보정 방법)

  • Myung, Hyun;Kim, Hyu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6-80
    • /
    • 2000
  • 본 논문은 입체 음상 정위 시스템에 있어서 청취자의 머리 크기와 음상 정위를 원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머리전달함수 (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먼저 표준 반경에서 표준 머리 크기의 더미 헤드를 이용해 측정된 표준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제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를 기준으로 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방위각과 고도각을 기준으로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를 보정한다. 음상 정위하고자 하는 3차원 공간상의 위치를 입력받게 되면, 입력받은 위치로부터 청취자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를 기준으로 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산출한 후에 보정된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머리전달함수를 가져와서 입력 모노 신호를 보정된 머리전달함수와 콘볼루션하여 입체음향을 생성하게 된다.제안된 방법에 의해 청취자의 머리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보정된 머리전달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청취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3차원 음상 정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Selection of Personalize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Using a Binary Search tree (이진 탐색 트리를 이용한 개인화된 머리 전달 함수의 탐색)

  • Lee, Ki-Seung;Lee, Seok-P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5
    • /
    • pp.409-415
    • /
    • 2009
  • The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which has an important role in virtual sound localiz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cross the subjects. Measuring HRTF is very time-consuming and requires a set of specific apparatus. Accordingly, HRTF customization is often employ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search an adequate HRTF from a set of the HRTFs. To achieve rapid and reliable customization of HRTF, all HRTFs in the database are partitioned, where a binary search tree was employed. The distortion measurement adopted in HRTF partitioning was determined in a heuristic way, which predicts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sound location well. The DC-Davis CIPIC HRTF database set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listening test, where 10 subjects were participated, the stimuli filtered by the HRTF obtained by the proposed method were closer to those by the personalized HRTF in terms of sound localization. Moreove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shown to be superior to the previous customization method, where the HRFT is selected by using anthropometric data.

Comparison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Model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한 머리전달함수 모형화 기법의 성능 비교)

  • Hwang, Sung-Mok;Park, Young-Jin;Park, Youn-Si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8 no.6
    • /
    • pp.642-653
    • /
    • 2008
  • This study deals with modeling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HRTFs)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PCA)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Four PCA models based on head-related impulse responses(HRIRs), complex-valued HRTFs, augmented HRTFs, and log-magnitudes of HRTFs are investig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odeling performances of the PCA models in the least-squares sense and to show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CA models. In terms of the number of principal components needed for modeling, the PCA model based on HRIR or augmented HRTFs showed more efficient modeling performance than the PCA model based on complex-valued HRTFs. The PCA model based on HRIRs in the time domain and that based on augmented HRTFs in the frequency domain are shown to be theoretically equivalent. Modeling performance of the PCA model based on log-magnitudes of HRTFs cannot be compared with that of other PCA models because the PCA model deals with log-scaled magnitude components only, whereas the other PCA models consider both magnitude and phase components in linear scale.

Implementation of moving sound effect using modified HRTF (개선된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이동음 효과 구현)

  • Seo, Bo-Kug;Han, Eui-Hwan;Cha, Hyeong-Tae;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254-255
    • /
    • 2012
  • 임의의 위치에 음상을 정위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머리전달함수(HRTF :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을 원음에 convolution하는 기법이 사용된다. 또한 머리전달함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보간을 이용하여 이동음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더미헤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고도각과 방위각에서 측정된 머리전달함수는 사용자에 따라 정위감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클릭음 발생, 보간 특성의 변화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좌표로 표현되는 영상과는 달리, 소리는 들려오는 방향을 정확한 좌표로 표현하기가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음 궤적상의 머리전달함수와 그 주변의 머리전달함수를 선형 보간법으로 그룹화하여 생성된 새로운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이동음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생성된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구현한 이동음의 청감평가를 수행하여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A Relevant Distortion Criterion for Interpolation of the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머리 전달 함수의 보간에 적합한 왜곡 척도)

  • Lee, Ki-Seung;Lee, Seok-P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2
    • /
    • pp.85-95
    • /
    • 2009
  • In the binaural synthesis environments, wide varieties of the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that have measured with a various direction would be desirable to obtain the accurate and various spatial sound images. To reduce the size' of HRTFs, interpolation has been often employed, where the HRTF for any direction is obtained by a limited number of the representative HRTFs.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distortion measures for interpolation, which has an important role in interpolation. With lhe various objective distortion metric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polated and the measured HRTFs were computed. These were then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from the listening tests. From the results, the objective distortion measures were selected, that reflected the perceptual differences in spatial sound image. This measure was employed in a practical interpolation technique.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four kinds of an HRTF set, measured from three human heads and one mannequin. As a result, the Mel-frequency cepstral distortion was shown to be a good predictor for the differences in spatial sound location, when three HRTF measured from human, and the time-domain signal to distortion ratio revealed good prediction results for the entire four HRTF sets.

Technique of Low-Order stable IIR HRTF Modeling (안정성을 유지하는 머리전달함수의 저차 IIR 모델링 기법)

  • 김홍철;이원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807-810
    • /
    • 2000
  • 입체음향 시스템에서 모노음에 방향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FIR 필터 형태의 머리전달함수( HRTF :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FIR형태의 머리전달함수는 높은 차수를 가지고 있어 실시간 음상정위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IR 형태의 머리전달함수를 ARMA 시스템 인지기법을 이용하여 저차의 IIR필터 형태로 모델링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RMA 시스템 인지기법을 이용하게 되면 주어진 고차의 FIR형태의 머리전달함수를 다양한 안정성을 갖는 IIR모델들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절한 스펙트럼오차를 갖는 저차의 IIR모델을 선택 할 수 있다.

  • PDF

A case Study on Vibration Characteristic Variation Due to Connective Degree of Freedom of Structure in FRE Synthesis Method (전달함수함성법에서 연결자유도 변화에 따른 구조물 진동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 Kim, Kuk-Su;Choi, Su-Hyun;Jo, Sung-Je;Jin, B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05a
    • /
    • pp.684-691
    • /
    • 2005
  • 본 연구는 전달함수 합성법을 이용하여 보강후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보강후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보강전 구조물의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기술로, 이에 관한 이론은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실험으로 전달함수를 계측할 경우 회전자유도에 대한 전달함수를 계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병진자 유도만으로 전달함수 합성법을 적용할 경우 발생하는 고유진동수 추정 오차를, 전체 자유도를 이용한 경우와 간단한 구조물의 수치해석을 통해서 비교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the Flame Transfer Function Characteristics using Cold-flow Transfer Function in a Partially Premixed Model Gas Turbine Combustor (부분 예혼합 가스터빈 연소기에서의 비연소 전달함수 계측으로부터의 화염전달함수 특성 파악)

  • Joo, Seongpil;Kim, Seongheon;Yoon, Jisu;Yoh, Jai-ick;Yoon, Yo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1 no.5
    • /
    • pp.54-60
    • /
    • 2017
  •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ame transfer function gain, cold-flow transfer function was introduced, which is the part of the combustion instability research. Nitrogen and carbon dioxide was used to obtain the cold-flow transfer function and input/output variables was measured by hot wire anemometry. Density and fluid flow rate affect the cold-flow transfer function gain and peak frequency. In addition, acoustic resonance frequency affects the peak frequency of gain in the fuel feeding line.

Novel DC-DC Buck Type Cnverter Control by Transfer Function Transformation (전달함수 변환에 의한 새로운 방법의 직류 대 직류 강압형 변환기 제어)

  • Kang, M.S.;Ma, J.S.;Im, S.W.;Koo, B.H.;Lee, M.Y.;Kwon, W.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7.07f
    • /
    • pp.2050-205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직류 대 직류 강압형 변환기의 전달함수 변환에 의한 새로운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외란 및 회로변수 값의 번화 시 나타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며, 변환기의 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출력필터의 공진과 동작점 변화에 의한 플랜트 특성 변화를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먼저 전달함수 변환 제어 시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전달함수를 구하여, 이를 기존의 직류 대 직류 변환기에서의 전달 함수와 비교하였다. 또한 외란 및 회로변수 값 변화시의 기준 전압 대 출력 전압 전달함수의 민감도를 구하여 회로변수 값 변화 시 나타나는 특성이 개선됨을 보이고, 마지막으로 모의실험과 실험을 실시하여 제안된 제어 방법이 기존의 제어 방법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