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뇌(電腦)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흰쥐 출생후 발생단계에 따른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대각 Broca대에서 콜린성 신경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Cholinergic Nerve Cells in the Medial Septal Nucelus and Diagonal Band of Broca of the Postnatal and Adult Rats)

  • 고찬영;정영화홍영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8-268
    • /
    • 1995
  • 출생 후 0일, 7일, 14일,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 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서 고루 ChAT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뇌 기저부의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발생에 따른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제의 장 ·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월형 2) 난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 후 0일에 996-1,252 Um3로 제일 작았으며, 내측중격핵과 수직대각 Broca대 그리고 수평대각 Broca대에서는 출생 후 21일에 각각 5,061, 5.701, 5,820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1,897-2,704 roms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 후 21일된 흰쥐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은 핵의 핵질 일부와 핵막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출생 후 초기 발생단계에서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축삭과 수상돌기의 형성에 따라 세포의 형과 그 출현율 및 세포제의 크기에서 현저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의 방사선치료 성적 (Radiation Therapy of Suprasellar Germ Cell Tumors)

  • 박우윤;최두호;최은경;김일한;하성환;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69-176
    • /
    • 1988
  • 1979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15명의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전이송과선종)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생존자의 추적기간은 $30\~91$개월이었다. 10명의 환자는 방사선치료 전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5명은 조직학적 진단이 없이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단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9명중 배아세포종 환자 6명은 전뇌와 척추에 3명은 전뇌 조사를 시행하였다. 혼합 배아세포종 및 종양 marker양성인 5명의 환자 중 2명은 전뇌, 그리고 1명은 원발병소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원발병소에 $5,000\~5,500 cGy$, 전뇌에 $3,000\~4,400 cGy$ 그리고 척추에 >$1,300\~3,000 cGy$였다. 상기 그룹 14명의 환자에서 원발병소는 완전 관해 되었으며 척추실패는 관찰되지 많았다. 조직학적 진만이 없고 marker의 상승이 없었던 한 환자에서 전뇌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원발병소의 완전관해 없이 척추 재발이 발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에 유효한 치료방법이며 신경 내분비학적 양상과 함께 조직학적 진단이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소량의 방사선치료 후 관해정도 관찰은 이후의 치료방향설정에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여러 통상적인 전뇌방사선치료 기법에서의 정상조직의 조사선량 비교 (Comparison of the Dose of the Normal Tissues among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Whole Brain Radiotherapy)

  • 강민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99-105
    • /
    • 2010
  • 목 적: 여러 통상적인 전뇌방사선치료 기법에서의 뇌와 수정체의 방사선 조사선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뇌방사선치료를 위한 치료계획을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중심점이 조사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가쪽눈구석(lateral bony canthus)에서 양측 빔이 평행한 통상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뇌에서 1 cm (렌즈에 대해서는 5 mm)의 여유로 차폐물을 생성하였다(P1). 이후 중심점을 가쪽눈구석으로 옮기고(P2), 조준기를 90도 회전시킨 후 5 mm 두께의 다엽조준기로 차폐를 하였다(P3). 각 환자의 모든 계획에서 P1의 중심점에 30 Gy를 처방하였다. 뇌와 수정체의 선량 지표들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뇌의 $D_{max}$$V_{105}$는 P1에서 111.9%와 23.6%였다. 뇌의 $D_{max}$$V_{105}$는 P2와 P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그 값은 각각 107.2%와 4.5~4.6%였다(p<0.001). 수정체의 $D_{mean}$의 평균값은 P1에서 3.1 Gy, P2와 P3에서는 2.4~2.9 Gy였다(p<0.001). 결 론: 전뇌방사선치료 시 다른 복잡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중심점을 가쪽눈구석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도 뇌와 수정체의 조사선량 측면에서 유리하였다.

한의학(韓醫學) 이론(理論)의 현대화(現代化)에 관한 연구(硏究)

  • 김순신;김용진
    • 혜화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49
    • /
    • 2008
  • 韓醫學的現代化, 並不意味著在自然科學方法論的框框限制下實現韓醫學的現代化, 而是使傳統韓醫學的理論和醫療技術與現代社會及文化得以圓滿溝通, 開發新理論和新醫療技術, 從而在現有的保健醫療體系內更有效的發揮韓醫學的醫療技術. 韓醫學理論的現代化當保持傳統韓醫學理論的長處, 並著眼現代之角度彌補不足之處, 從而進一步完善理論之體系. 同時, 還應提示在現代醫療體制下能夠創造出新的醫療技術的理論, 並與包括西醫學在內的所有學科和政治經濟社會文化等領域做到圓滿溝通. 韓醫學現代化應當按照以下順序來進行, 首先, 以經釋經或應用醫史學的硏究方法整備傳統韓醫學理論, 其次, 當對韓醫學理論的概念和關系, 采用現代科學的語言重新進行描繪和解釋, 然後與現代的其他學問和理論進行學科間的合作研究. 再其次, 在臨床方面, 當以現代科學的測定儀器代替人的感覺器官, 或者根據傳統韓醫學的診斷方法, 開發新的診斷儀器以實現更爲客觀的診斷, 尤其需要結合和利用電腦來進行辯證分析, 至少應以電腦爲輔助, 從而得以確立韓醫學的新的醫療形式. 最後, 創出有關韓醫學及醫學, 醫療技術等各各方面適用可能的理論.

  • PDF

천막상부 원시신경외배엽 종양의 방사선요법 (Radiotherapy of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 김일한;유형준;조영갑;김대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1-18
    • /
    • 1997
  • 목적 : 원시신경외배엽 종양은 빈번한 국소 재발 및 광범위한 지주막하 전이를 나타내는 종양이기때문에 수술 및 항암 약물요법과 함께 전뇌척수조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요법으로 치료 성적을 높이고자 꾸준한 노력을 시도하여 왔으며, 이에 저자들은 복합요법을 시행한 환자들의 실패 경향, 장기 생존율과 치료 후유증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총 1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1세-27세 (중앙값=5세)의 연령분포 로 12명 대 6명의 남녀비를 나타내었다. 수술적 절제범위에 따라 완전절제술이 9명, 부분절제술 이 8명, 단순 조직생검술이 1명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조사야는 16명에서 전뇌척수조사를, 2명에서는 각각 전뇌조사 및 원발병소조사만을 시행하였고, 조사선량은 원발병소에 3120-5800cGy(중앙값=5460cGy), 전뇌부위에 1500-4200cGy(중앙값=3600cGy), 그리고 전척수부위에 1320-3600cGy(중앙값=2400cy)이었다. 항암약물요법은 13명 의 환자들에 대해서만 실시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개월부터 89개월로 중앙값은 45개월이다. 결과 : 치료도중 사망한 1명을 포함 총 9명의 환자에서 0-40개월뒤 재발을 확인하였으며 재발경향은 원발병소 단독 재발이 1명, 두개내의 전이성 재발은 2명, 척수부위 재발은 4명, 광범위한 뇌척수 재발이 1명, 그리고 전신적 다발성 골전이를 나타낸 환자가 1명이었다. 전뇌척수부위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지않은 2명의 환자중 2명 모두 척수부위 재발을 나타내었으며, 전뇌척수부위 방사선요법을 시행한 IS명의 환자중에서는 3명이 척추부위를 포함한 재발 경향을 보였고, 재발한 9명의 환자는 모두 재발 후 1-13개월내 사망하였다. 전체 환자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61\%,\;49\%$이며, 예후인자 분석에서는 성별, 나이, 종양위치와는 무관하였으나 완전절제술 및 항암 약물요법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치료 후 후유증으로는 원발병소에 5580cGy를 조사한 환자 1명에서 40개월 뒤 자기공명영상 및 자기공명분광법으로 방사선괴사로 추정되고 있으며, 생존하는 9명의 환자에서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2명, 그리고 인지능력저하 1명, 기억장애 2명, 성장저하$(\leq5\%)$는 1명에서 관찰되었다. 결 론 : 천막상부 원시신경외배엽 종양 환자의 치료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한 종양의 완전절제가 필수적이며 수술후 항암 약물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보조요법이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방사선치료시 조사부위는 전뇌척수부위를 모두 포함하여 조사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