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집진기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haracteristics of efficiency by using the combin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조합형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집진효율 특성)

  • 김용진;정상현;홍원석;황태근;옥영욱;김두현;하병길;함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42-243
    • /
    • 1999
  • 전기집진기는 산업 분진 및 폐가스 집진을 위해 널리 이용되며, 고전기 저항 분진에 의한 집진극 표면의 역전리가 전기집진기에서 가장 큰 문제이다. 이런 역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온도 제어, 가스조건, 하전 제어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전기집진기에서 고 비저항 분진 및 역전리의 영향으로부터 높은 집진효율을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이동 전극형 방식(Moving 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EEP)과 고정전극형 (Fixed 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ior, FEEP)에 펄스하전 방식으로 구성된 조합형 전기집진기가 개발되고 있다.(Toshiaki Misaka etc. 1996)(중략)

  • PDF

Applications of Pulse Energiza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the Removal of High Resistivity Dust (고비저항 먼지 처리를 위한 펄스형 전기 집진기의 적용)

  • 정재우;이용환;조무현;오종석;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9-150
    • /
    • 2001
  •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오염물질은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고 가시공해의 주된 원인이 되므로 인관 주민의 민원을 유발시키는 등 주요 지역현안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전기집진기, 여과집진기, 사이클론, 습식집진기를 들 수 있으며, 대규모 산업공정에서는 정전기적 힘에 의해 집진하는 전기집진기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기집진기는 비교적 높은 효율의 집진 성능을 보장하나 전력소모량이 비교적 많으며 미세먼지, 특히 고비저항을 가진 먼지의 제거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Collection Efficiency of Particles with Effect of Blocks in the Two-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2단식 전기집진기 내에서 블록의 영향에 따른 입자의 집진효율)

  • 박성호;박청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17-218
    • /
    • 2000
  • 유해입자 배출 저감을 위한 대기오염 제어장치로는 필터(filter), 관성장치(inertialdevices), 침전조(settling), 스크루버(scrubber),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등이 있다. 이 중, 정전기력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대전과정과 집진과정이 동일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1단식(one-stage)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2단식(two-stage)으로 분류되며, 2단식의 경우, 대전부(charging section)와 집진부(collecting section)는 몇 개의 대전셀(charging cell)과 집진셀(collecting cell)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중략)

  • PDF

Utilizatio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as Fly ash Classifier (Fly ash 분급기(分級機)로서 화력발전소(火力發電所) 전기집진기(電氣集塵機)의 활용(利用))

  • Lee, Seung-Heun
    • Resources Recycling
    • /
    • v.19 no.2
    • /
    • pp.3-9
    • /
    • 2010
  • In most coal fired power plants, fly ashes collected from each of hoppers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transported and stored in a silo. However the properties of the fly ashes collected from each of hoppers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 varies with the distance of the collection field from the boiler. The more distance hopper gets fly ash with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Therefore,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hopper itself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classifying fly ashes. This study examines the physical,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fly ash, collected from each of hoppers attached to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the coal fired power plant and looks into the possibility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being used as a classifier. Also, the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high quality fly ash.

The Effect of Acoustic Energy on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음파에너지가 전기 집진기의 집진 효율에 미치는 영향)

  • 정상현;홍원석;김용진;심성훈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2 no.3
    • /
    • pp.207-215
    • /
    • 2003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efficiency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under the action of acoustic energy in the gas stream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 the acoustic energy which has 2 kHz and 141 dB was applied to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let, and the test parameters were used in terms of the magnitude of gas velocity.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ESP was increased due to acoustic energy, and this effect was much clearer at high velocity. This means that the acoustic energ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nlargement of specific collection area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실내 공기청정기 기술개발동향

  • 김용진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4
    • /
    • pp.12-16
    • /
    • 2004
  • 공기청정기의 기술 현황 고찰과 함께 현재 국내 공기청정기의 기술 개발 현황 및 제품성능의 발달에 대한 추이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에 존재하는 입자상 또는 가스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 구조 및 기능에 따라 집진만 또는 집진 및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 크게 기계식과 전기식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계식은 다시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계식은 여재를 사용하거나 물을 분무하여 집진만 또는 집진 및 탈취론 하는 공기청정기이며, 전기식은 고전압을 이용하여 분진을 하전 시켜 집진만 또는 집진 및 탈취를 하는 공기청정기이다.(중략)

  • PDF

Lumped Parameter Modeling and Analysis of Electromagnetic Vibration Exciter for Vibrating Rapper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전기 집진기의 진동 탈진을 위한 전자기 진동 가진기의 집중매개변수 모델링 및 해석)

  • Kim, Je-Hoon;Lee, Jung-Hun;Kim, Jin-Ho;Jeong, Sang-Hyun;Han, B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1 no.2
    • /
    • pp.61-66
    • /
    • 2011
  • The miniaturizatio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becoming a key element to the success of the efficient electrostatic precipitator due to the limited space allowed to install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subway tunnel. Nowadays, a research 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urban railroad equipment technology is under an active study. Finite element method has been used one of the most popular techniques, but it consumes a lot of time especially in computation iterations. Accordingly, the lumped parameter analysis can be an alternative tool to FEM because of its computation iteration capability with fair accuracy. In this paper, lumped parameter model and the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In addition, the result of lumped parameter analysis is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for verification.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 장치 특성 연구

  • Choe, Seo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59-260
    • /
    • 2012
  • 산업화가 발달됨에 따라 대기 오염 물질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특히 기름 및 석탄 연소 보일러, 자동차, 제철, 시멘트 플렌트, 소각로 등은 미세 분진을 발생시키는 주원인이 되어 왔다. 최근 대기환경법은 오염 분진의 중량 규제로부터 $10{\mu}m$ 미만의 PM10에서 $2.5{\mu}m$ 미만의 PM2.5의 미세 분진에 대한 규제로 점차 심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미세분진은 고전적인 제거 방법으로는 매우 어려우며 고가의 HEPA 필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전기 집진은 미세 먼지 제거에 매우 효율적이어서 $1{\mu}m$ 미만의 미세 분지도 99%까지 제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입자크기가 클 경우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사이클론 집진기는 매우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가격이 저렴하고 운영비가 적게 들며 $10{\mu}m$ 이상의 먼지는 99% 이상 제거가 가능하여 산업현장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지만 입자크기가 $10{\mu}m$ 미만으로 가면 집진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이클론 집진기의 구조를 기본으로하여 사이클론 집진기 내부에 플라즈마 방전을 설치하여 원심력에 의한 집진과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기 집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사이클론 집진기는 직경 30 cm 높이 120 cm의 사이클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1 hp의 터보송풍기를 장착하여 $20m^3$/min 이상의 유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제작된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0m^3$의 체적을 가지는 테스트 챔버 내부에 사이클론 집진기를 설치하고 향을 태워 미세 먼지를 발생시킨 후 다양한 조건에서 집진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미세 먼지의 경우 사이클론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테스트 챔버 벽면에 흡착되어 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매우 느리게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 되었다. 코로나 방전을 하지 않고 오존 파괴기에 활성탄만 충진한 상태에서 사이크론을 작동시킬 경우 지속적으로 천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코로나 플라즈마를 방전시킨 경우 미세 먼지는 HEPA filter를 장착한 것보다도 조금 빠르게 미세먼지를 제거하였다. 챔버 내부의 미세먼지가 초기 값의 1/10에 도달하는 시간은 코로나 방전 전류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100초 이내에 90% 이상 제거가 가능하였다.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는 집진 뿐 만 아리라 VOC 성분도 분해가 가능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있다. 유해 가스 제거 능력을 실험하기 위하여 분진제거 실험에 사용된 챔버 안에 아세톤을 증발시켜 50 ppm이 되도록 한 후 다양한 조건에서 유해물질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세먼지와는 달리 장비를 작동하지 않을 경우 매우 느리게 아세톤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미세 먼지와는 달리 흡착이 발생하지 않고, 측정 챔버 자체가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적으로 조금씩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코로나 플라즈마만 방전시켰을 경우 초기 농도의 80%가 제거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8분 정도로 코로나 플라즈마가 VOC 제거에 효과가 있음은 확인하였으나 제거율이 그리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오존 파괴를 위해 활성탄으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시킨 경우는 약 12분 경과 후 80%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VOC의 감소가 매우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활성탄 대신 $MnO_2$ 복합촉매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한 경우 약 3분 정도 경과 후 80%의 아세톤이 제거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코로나 플라즈마를 작동시키면서 $MnO_2$ 복합촉매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시킨 경우 약 2분 정도 경과 80% 이상의 아세톤이 제거되어 코로나 플라즈마와 복합촉매를 사용할 경우 VOC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Efficiency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Reactor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 반응기를 사용한 전기 집진기에서의 집진 효율 특성)

  • 강석훈;변정훈;지준호;황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449-450
    • /
    • 2002
  •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를 사용한 저온 플라즈마 기술은 오래 전부터 효과적인 오조나이저로서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에는 반응기를 이용한 NOx와 SOx, VOCs 와 같은 유해 가스를 분해, 제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DBD 반응기내의 높은 전자 밀도와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자를 대전시켜 전기 집진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입자상 물질 처리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중략)

  • PDF

Analytic Solutio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s Collection Efficiency for Polydisperse Aerosol (다분산 에어로졸에 대한 전기집진 효율의 해석해)

  • 정창훈;박현설;이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97-298
    • /
    • 2002
  • 전기집진기(ESP)는 보일러, 소각로등 많은 산업 공정에서 발생되는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가장 널리 쓰이는 ESP의 집진효율을 예측하기 위한 수식으로는 Deutsch-Anderson식으로 다음과 같다.(equation omitted) 여기서 η는 포집효율, Ac는 집진판의 표면적(surface area), Ve는 전기집진기 내 입자의 유효 이동속도(effective migration velocity), 그리고 Q는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가스의 부피 유량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