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자동차

Search Result 1,90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harging System Software Framework Development for Korean PEV (한국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개발)

  • Sung, Tae-Jin;Kwon, Bong-Yong;Hong, Choon-Seon;Lee, Sung-Won;Lee, Jae-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410-412
    • /
    • 2012
  • 현재 자동차 산업에서 전기자동차의 실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아울러,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로 인해,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에 대한 폭발적인 시장의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향후 시장에서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고 국내 실정에 최적화된 한국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 관련 국제 표준인 SAE와 SEP를 분석하고, 이를 국내 실정에 맞도록 보완하여 한국형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SW구조의 설계 및 한국형 전기자동차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Study on Standard for Ensured Safety of Electric Vehicle Charger (전기자동차 충전전원 공급설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준 연구)

  • Lee, Ki-Yeon;Kim, Hyang-Kon;Gil, Hyung-Jun;Kim, Dong-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148-2149
    • /
    • 2011
  •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에너지를 구동에너지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필수 요소인 전기자동차 충전 설비의 보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있지만, 전기자동차 충전설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시범 보급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충전전원 공급설비관련 기준 및 표준 분석을 통하여 현재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명시된 내용 분석을 통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전원 공급설비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충전기, 충전케이블, 커플러 등의 시설기준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활용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설비의 안전성 확보로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과 우리나라의 저탄소 녹색성장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그리드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Demand and Effects on Power System of Electric Vehicles (전기자동차의 전력수요 및 전력계통에의 영향 분석)

  • Kim, Hong-Gyun;Hwang, Gab-Chul;Rho, Jang-Hyun;Park, Jong-Wan;Park, Eung-Rae;Kim, Tae-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13_114
    • /
    • 2009
  • 우리나라 전기자동차의 잠재 전력수요는 최대부하 측면에서 분석해보면 2008년말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 16,794,287대를 전력부하로 환산해보면 1,887,017MW로서 우리나라 발전용량(70,353MW)의 약27배로 나타난다. 다행히도 전기자동차는 비동시 부하이며 최대부하로 충전하지는 않으므로 동시에 그만한 최대전력수요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연간 공급가능한 전기에너지(GWh)를 밸리 필링(Vally Filling;여유 심야전력) 전력량으로 구해보면 약 50,151GWh/년이고, 전기자동차의 에너지 필요용량을 계산해보면 46,587GWh/년이 된다. 이 결과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양이 기설 발전설비로 공급가능한 밸리 필링 전력량의 93%로서 전기자동차의 수요를 적당한 시간대로 유도하면 현재의 발전설비 용량으로도 전기자동차에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수도권의 자동차가 45.9%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수도권의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 수송의 병목현상인 북상조류의 문제는 심화될 위험이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의 축전지를 계통에 연계하여 분산전원으로 운영한다면 계통의 피크전력과 예비전력, 주파수 조정 등에 이점을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 PDF

The Development of Hybrid Electric Vehicle Technology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기술과 전망)

  • 남궁억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0
    • /
    • pp.924-932
    • /
    • 1995
  • 국제 환경규제가 강화되어짐에 따라 초저공해 자동차인 ULEV 및 무공해 자동차인 ZEV의 개 발을 필수적이다. 캘리포니아주법규에 따르면 Maker의 NMOG(non meth-ane organic gas) 평 균치를 만족한다 하더라도 ZEV의 판매는 의무화되어 있다. 1989-1993 MY 기간중 연평균 판매 대수가 35,000대 이상인 Mater는 1998년 2% 적용대상이 되며, 2003년부터는 연간 3,000대 이상 판매되는 모든 Maker에 ZEV 10%가 적용된다. 이와 관련 2003년 이후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의 개발은 나머지 75%(ULEV를 포함할 경우 25%)의 IC엔진이 탑재된 자동차를 판매하기 위해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자동차와는 달리 주행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엔진의 효율이 가장 좋은 RPM에서 발전기를 회전시킴으 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 도심지에서 전기자동차 모드(mode)로 주행하기 때문에 대도시의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고, 소음이 극히 적기 때문에 미래의 도시형 자동차로서 각광 받을 수 있는 자동차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f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ructure System Using PV(Photovoltaic) System (PV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구조시스템 연구)

  • Lim, Jae-Hwi;Yoon, Sung-Wo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1 no.1
    • /
    • pp.105-112
    • /
    • 2011
  • Fundamental Electric vehicle charge system is urgently needed for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Car parking building is equipped with PV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ity to charge electric vehicles, because it must be charged at least for 30 minutes. In parking lots abroa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are installed to charge electric cars by the electricity gained from PV systems which are also installed. Also, charg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and electric car charging facility support standards are being set and proposed, but there are no cases like abroad of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using PV systems and only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using ordinary electricity are being proposed. Therefore, this paper prepares establishment of domestic electric car charging networks. By researching inside outside solar parking lots and cases of abroad PV system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and by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tructural systems, structural material, and etc., many cantilever structure and small-size types were installed in PV system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전기자동차 개발현황 및 전망

  • Im, Seong-Gi;Kim, Jin;Im, Myeong-Taek;Go, Byeong-Cheon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9
    • /
    • pp.765-776
    • /
    • 1992
  • 1990년도에 들어서 여러 선진공업국에서의 전기자동차 개발사업은 큰 진전을 보이고 있다. 고 성능 전지 및 경량모터의 개발, 그리고 각종 신소재들에 의한 차량의 경량화와 더불어 전기자 동차 기술수준은 급성장을 이루었다. 국내 자동차업체들도 1998년도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실행될 전기자동차 강제판매 규정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들어 본격적으로 전기자동차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전기자동차개발의 배경 및 현재 각국의 개발현황, 그리고 예상 시 장규모 및 파급효과를 여러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지금과 같은 개발추세로 진행된다면 앞으로 10년정도 후면 가솔린 자동차와 대등한 성능과 가격의 전기자동차개발도 가능하리라 예측된다.

  • PDF

A Study on the Acceptability and Preference of Electric Car for Consumers through the Selective Model (선택 모형을 통한 소비자에 대한 전기자동차 수용성 및 선호도 연구)

  • Kim, Eun-J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213-220
    • /
    • 2018
  • The automobile industry in Korea is a very large industrial sector. Nowadays, as the interest in low carbon green growth grows all over the world, it is time to actively secure future competitiveness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udy consumer attitudes and intentions for electric vehicles at the time when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s are exp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ceptability and preference of electric vehicle for 250 peop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monthly income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ncreased, the decision was made to accommodate the electric vehicle. The larger the effect of the electric vehicle on the consumers, the more the electric car decided to accommodate the electric car. In addition, thre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nthly income, number of residents, residence type)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electric vehic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 vehicle has a satisfactory effect on the consumer, the electric vehicle is about 3.5 times more satisfying, and the larger the interest of the electric car is, the more the electric car is about 2.1 times.

The optimizing method of temperature and cooling power load of EV charger through EV charging power control during summer season (하절기 전기자동차(EV) 충전기 충전전력 제어를 통한 냉방전력저감 및 온도관리방법)

  • Yang, Seung-Kwon;Lee, Han-Byul;Lim, Yu-S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286-1287
    • /
    • 2011
  • 최근 친환경 교통수단중 하나인 전기자동차 보급을 위한 정부정책이 강화되고, 관련연구개발 및 시범사업, 실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본격적인 전기자동차 생산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고,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인프라 구축도 미흡한 실정이다. 전기자동차와 충전인프라는 마치 일반자동차와 주유소와의 관계와 비슷하여 전기자동차 운행을 위해 충전인프라 구축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보통 충전인프라는 전력계통, 충전기와 운영시스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충전기는 전력을 계통으로부터 수전 받아 차량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특히 급속 충전기의 경우 380V, 85의 교류전력을 수전하여 최대 110A, 450V 직류를 공급하는 관계로 충전 중 내부온도관리가 중요하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적절한 냉방설비 확보, 충전전력 조정 혹은 발열원(부품) 개선 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에 관해 상세히 논해보고자 한다.

  • PDF

A Design on the Operating Systems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

  • Kim, Ji-Sung;Lee, Jun-Chul;Park, Woo-Jong;Choi,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47-148
    • /
    • 2011
  • 최근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문제와 $CO_2$ 배출량 규제 강화, 화석 연료 고갈 및 고유가 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전기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이 활발하다. 2009년 7월 제주시 구좌읍에 Smart Grid(스마트 그리드) 실증 단지가 구축되면서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우전 인프라 실증이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연비 및 배기 가스 규제가 강화될 수록 전기자동차 기술과 관련한 Smart Transportation 기술의 상용화는 더욱더 빨라질 것이며,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보급과 개발이 확산되고, 이를 지능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는 충전인프라 기술이 요구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운영시스템 설계에 대하여 충전운영시스템 구성과 기능 및 아키텍쳐 설계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