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기 영동

검색결과 1,440건 처리시간 0.037초

서울영동지구 집단아파트군의 전력수요

  • 한만춘;이권현
    • 전기의세계
    • /
    • 제26권1호
    • /
    • pp.45-48
    • /
    • 1977
  •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인 수행으로 급속한 공업화가 이루어지고 국민소득의 향상이 이루어진 한편 농촌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어 주택의 부족현상이 가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도시에서는 토지의 고도이용과 주거환경 및 공공시설 설치상의 잇점이 많은 집단아파트는 단지의 건설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같은 아파트에는 40평에서 70평에 이르는 소위 호화맨션을 비롯하여 23평에서 37평의 중산층 아파트도 있지만 대부분의 서민을 위한 13평에서 15평형 집단아파트의 건설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같은 서민용 대단위 아프트군의 부설비와 전력수요에 관하여 서울 영동지구 아파트군을 모델로 하여 조사한 바를 보고하고저 한다.

  • PDF

전기영동에서 SDS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Effect of the SDS on the Behavior of Anionic Surfactants in Electrophoresis)

  • 이지은;이명석;정혁
    • 분석과학
    • /
    • 제14권4호
    • /
    • pp.356-363
    • /
    • 2001
  • 절삭폐수의 여과수 등에 많이 포함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로 SDS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에서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들의 거동을 알아보고 최적의 분석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SDS 미셀과의 상호작용 결과, 탄소수가 10이상인 카르복실레이트 혹은 술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는 SDS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겉보기 이동도가 크게 변하였다. 겉보기 이동도, 전기삼투 이동도 그리고 전기영동 이동도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이러한 겉보기 이동도의 변화는 주로 전기영동 이동도의 변화의 영향임을 알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PDF

나노갭 소자를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검출

  • 이초연;박종모;박지민;윤완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17.1-41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갭 사이즈가 조절된 나노갭 소자[1]에 유기영동법을 이용하여 수용액 환경 내에 있는 금속 나노입자(금 나노입자)를 검출하였다. 수백 나노미터 사이즈로 제작된 나노갭 전극에 도금법으로 금을 성장시켜 갭 사이즈를 조절하고, 이로부터 전기장의 기울기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나노갭 소자를 제작함으로써 저농도 금 나노입자 검출의 효율성을 높였다. 제작된 나노갭 소자에 교류 신호를 이용한 유기영동법을 도입하여 수용액 환경 내 입자의 움직임을 제어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인 저농도 금 나노입자의 검출을 위해서는 100 k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갭 사이즈가 조절된 나노갭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장의 기울기를 극대화하고 입자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50 aM의 저농도 금 나노입자를 검출할 수 있었다. 나노갭 소자를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검출에 관연 연구는 환경오염물질 검지용 입자센서 및 바이오센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영동산 일라이트를 이용한 정수기 개발 (Development of Water Purifier using Illite found from Young-dong)

  • 김상순;김서흠;구경완;임무열;나대석;한위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9-432
    • /
    • 2000
  • 본 논문의 정수기는 영동산 일라이트를 필터의 주된 재료로 사용하였다. 구조는 여과필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정수기의 필터 케이스 및 여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케이스가 분리, 결합이 간편한 본체와 마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는 1차 여과부와 2차 여과부로 분리되어 물이 1차 여과부의 상부를 통해 인입되어 2차 여과부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동일한 크기 내에서 여과구간이 2배로 길어져 여과 효율이 우수한 동시에 물인입구와 물배출구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여 다수 개의 필터 케이스를 연결할 때 필터 케이스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필터 케이스의 설치면적이 좁다. 본체와 마개의 체결방식은 볼트 체결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마개는 플라스틱 재질이어서 본체에 마개를 단단히 체결하면 누수가 방지되도록 되어있다. 즉, 정수기의 필터하우징 성능과 영동산 일라이트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을 이용한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정수기에서 요구되어지는 정수능력을 가진 정수기를 개발 보고한다.

  • PDF

환경호르몬 검출을 위한 모세관 전기영동-전기화학적 검출 시스템 (Capillary Electrophoresis Electrochemical Detector For the Sensing of Endocrine Disruptors)

  • 하곤;이인제;강치중;김용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38-1539
    • /
    • 2007
  • 모세관 전기 영동법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검출기로 환경호르몬을 분리, 검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여러 가지 전극들간의 감도를 포함한 경제성과 효율을 비교하였다. 검출기에 사용된 전극으로는 Indium Tin Oxide (ITO) 전극과 bare ITO 전극 위에 Prussian blue (PB) 용액을 전착한 전극이 사용되고 검출기는 3전극을 사용하는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PB전극이 사용된 검출기를 이용하여 비스페놀 A를 측정한 결과, bare ITO 전극을 사용한 검출기보다 우수한 민감도를 얻었다.

  • PDF

멸치 액젓 중에 존재하는 미분해 펩티드의 특성과 이용 1. 미분해 펩티드를 이용한 멸치 액젓의 품질 지표 설정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Undigested Peptides in Anchovy Sauces 1. Use of Undigested Peptides as a Quality Parameter of Anchovy Sauces)

  • 최영준;김세환;임영선;김인수;김동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6-392
    • /
    • 1998
  • 액젓의 객관적인 품질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발효 숙성시킨 멸치 액젓과 시판 멸치 액젓의 일반성분, 총질소량, 아미노산 함량, SDS-PAG전기영동을 통한 특정 펩티드의 면적을 측정하였고, 아울러 액젓 원료어의 판정을 위해 등전점 전기영동을 시도하였다. 멸치 액젓의 수분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 $60.5\%$였으며, 시판 제품은 $65.5\%\~69.2\%$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질소 함량은 시판 제품간에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액젓에 잔존하는 단백질의 함량은 Y사의 제품이 비교적 높은 $0.353mg/m{\ell}$ 였으며, 나머지 시판 제품은 $0.093mg/m{\ell}\~0.293mg/m{\ell}$의 범위였다 한편 SDS-PAG 전기영동상에서는 J사를 제외한 모든 액젓 제품에서 분자량 55,600 및 46,900 dalton의 band가 검출되었으며, 전기영동상에 나타난 단백질 band는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등전점 전기영동에서 멸치 액젓은 등전점 5.6에 해당하는 펩티드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특징적인 band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미노산 및 저분자 질소 화합물의 첨가 여부가 정량적인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기영동 상의 특정 band의 면적비를 측정함으로서 인위적인 질소화합물의 첨가, 액젓 희석 여부 판정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전 질소 함량, 아미노산 함량 및 SDS-PAG 전기영동 상에 있는 특징적인 55,600 dalton에 해당하는 펩티드 면적비의 상관관계는 멸치 액젓의 품질판정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전기 이동에서 Mg2+ 이온이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 of the Mg2+ Ion on the Behavior of Anionic Surfactants in Electrophoresis)

  • 정혁
    • 분석과학
    • /
    • 제18권1호
    • /
    • pp.35-42
    • /
    • 2005
  • 절삭폐수의 여과수 등에 많이 포함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로 $Mg^{2+}$ 이온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에서의 음이온 계면할성제들의 거동을 알아보고 최적의 분석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Mg^{2+}$ 이온과의 상호작용 결과, 탄소수에 무관하게 카르복실레이트 혹은 술포네이트계 음이온계면활성제는 $Mg^{2+}$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겉보기 이동도가 크게 변하였다. 겉보기 이동도, 전기삼투 이동도 그리고 전기영동 이동도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이러한 겉보기 이동도의 변화는 전기 영동 이동도의 영향보다는 주로 전기삼투 이동도의 변화의 영향임을 알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전기장하 토양내에서 미생물 이동특성과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의 효과 (Bacterial Behavior in Soil under Electric Field and its Effect on Electrokientic Bioremediation)

  • 김상준;박지연;이유진;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175-180
    • /
    • 2006
  • 전기장하 토양 내에서 미생물 이동은 주로 전기영동과 전기삼투에 의해 일어나며 미생물의 이동속도와 유속에 대한 전기영동의 공헌도가 전기삼투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Pentadecane-오염토양에 대해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을 실시한 결과 토양내 미생물 농도는 전기영동과 전기삼투가 함께 작용하여 양극과 음극의 인접 토양에서 동시에 증가하였으며 초반 공정이후에는 미생물의 표면전하특성과 양극의 산소발생에 의하여 미생물 농도가 양극, 중간, 음극의 순서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생물의 양방향 이동으로 토양의 모든 위치에서 오염물이 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었다. 미생물의 전기적 이동을 이용한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은 기존의 생물학적복원의 단점인 늦은 분해속도와 낮은 제거효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