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기 영동

검색결과 1,440건 처리시간 0.029초

YBCO 분말의 현탁용매에 따른 EPD전착막의 표면 현상 (Surface Morphology of EPD Films with Variable Suspension Solutions of YBCO Superconductor Powder)

  • 소대화;전용우;최성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07-310
    • /
    • 2004
  • 전기영동전착법을 이용한 초전도 후막선재의 제작은 제작 장치와 공정이 간단하고 두께제어 및 다양한 형태의 초전도 막과 선재 제작이 가능한 경제적 효율성과 기술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초전도 후막의 특성향상을 위하여 전착공정 과정에서 입자의 치밀성 및 배향성 향상을 위한 칙적화 방안과, 건조 및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크랙 및 기공현상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 할 수 있는 균일한 후막 표면 화보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전착법에 의한 초전도후막 제작을 위한 조건 중 현탁용매 조건에 대한 최적화를 구현함으로써 전착 불균일성에 따른 초전도 특성 저하요인인 후막표면의 기공과 크랙현상을 최소화하였다. 전기영동 전착법에 의한 초전도 후막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작 방법으로 각 용매별에 따른 안정화된 제작 조건을 구현하였다.

  • PDF

한국산 느타리버섯(Pleurotus spp.)의 전기영동 Isozyme Band Pattern 비교 -I. Homogeneous Gel- (Comparison of Electrophoretic Isozyme Band Pattern of Pleurotus spp. in Korea -I. Homogeneous Gel-)

  • 박용환;변명옥;등정부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7-94
    • /
    • 1988
  • 한국산 느타리버섯 균주의 균사, Primordia, 갓, 줄기의 전피영동 isozyme 패턴을 비교한 결과 자실체중 Primordia, 갓, 줄기의 패턴은 모두 아주 유사하였으나 균사의 패턴은 자실체의 것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자생지역이 다른 한국산 Pleurotus ostreatus의 전기영동 isozyme 패턴중 Mal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는 유사하였으나 Esterase, Peroxidase, Leucine amino peptidase, Superoxide Dismutase의 패턴은 차이가 있었다. Pleurotus osteatus, P. cornucopiac, P. florida의 종간 Esterase 밴드 패턴은 많은 차이가 있어 전기영동에 의한 느타리버섯 종의 가능하였다.

  • PDF

비전도성 벽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단일 입자의 직류 유전영동 운동 (Direct-current Dielectrophoretic Motions of a Single Particle due to Interactions with a Nearby Nonconducting Wall)

  • 강상모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5호
    • /
    • pp.425-43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외부에서 균일한 직류전기장이 인가될 때 점성유체에 자유롭게 잠겨있는 단일 입자가 근처의 비전도성 평면 벽과의 상호작용 때문에 유발되는 2차원 유전영동 운동에 대하여 수치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입자-유체 경계면에서 불연속적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전기전도도를 가진 Maxwell 방정식을 해석하고 전기장을 구한 후 Maxwell 응력텐서를 적분하여 입자에 작용하는 유전영동 힘을 계산하였다. 해석 결과 전기장이 벽과 평행하게 인가될 때 입자는 항상 반발력이 유도되어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전영동 운동이 발생하였으며, 그 운동특성은 입자와 벽 사이 간격과 입자의 전도도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운동 강도는 입자와 유체의 전도도가 서로 같으면 사라지나, 전도도가 서로 다르면 그 차이가 클수록 강도는 증가하였다.

면역전기영동법에 의한 유구낭미충 낭액의 구성 단백질 분석 (Immunoelectrophoretic analysis of major component proteins In cystic fluid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 Yoon Kong;Seung-Yull Cho;Suk-Il Kim;Shin-Yong Ka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209-218
    • /
    • 1992
  • 혈청이나 뇌척수액에서 특이항체를 증명하여 유구낭미충증을 진단함에 있어 유구낭미충의 낭액이 가장 민감하고도 특이한 항원임은 이미 알려졌다. 낭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여도 다른 기생충증과 빈도는 낮지만 교차반응이 발생하므로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구성단백질에 대하여 더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구낭미충 낭액을 Sephacryl S-300 Superfine 젤로 분획하고, 낭액 및 그 분획이 낭액을 면역시켜 만든 토끼 항혈청 (RACF)과 반응하는 양상을 면역전기영동법으로 관찰하여 낭액의 구성 단백질의 성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구낭미충 장액을 젤여과법으로 분획하면 제 3분회과 제 4분회에 단백질이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제 3분획은 disc-PAGE상 분자량 150 kDa인 것으로 이미 알려진 Band C가 주(주) 구성 단백질이었다. 제 4분획은 분자량이 약 65kDa일 것으로 추정되는 Band N 단백질이 주 구성단백질이었다. 낭액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낭액과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키면 주 침강대 2개와 작은 침강대 7∼8개를 형성하였는데 낭액의 제 3분획은 주 침강대 중 밖에 위치한 긴 침강대를 형성한 반면, 제4분획은 주 침강대 중 안쪽으로 위치한 짧은 침강대를 형성하였다. 유구낭미충과 혈청학적 교차반응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포충(포충, hydatid cyst)의 낭액과 RACF(유구낭미충 낭액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바, 제 4분획이 반응한 위치에서 침강대를 형성하여 제 4분획의 주구성 단백질이 포충증과의 혈청학적 교차반응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유구낭미충증으로 이미 진단한 환자의 혈청 중 효소면역 측정 법으로 항체가가 매우 높았던 혈청 8개를 선택하여 유구낭미충 낭액 및 유구낭미충 충체 추출액과 각각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바 각각 7명에서 침강대를 형성하였고, 제 3분회 및 제 4분회으로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환자혈청 4개 중에서는 제 3분획에서는 4개 모두가 침강대를 형성한 반면 제 4분 회에서는 침강대가 혈청 2개에서 형성되었다.

  • PDF

자이모그라피 기술의 문제점과 해결 (Problems and Solutions of Zymography Techniques)

  • 강대욱;최낙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408-1414
    • /
    • 2019
  • 효소는 세제, 식품, 사료, 의약품 및 의료용 분야 등 산업 전반적인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 제품 및 공정에서 주요 요인이다. 효소를 선별, 확인, 및 특성 분석을 위해 zymography 기술이 일상적으로 사용됩니다. Zymography 기술은 SDS-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을 분리한 후 포함된 기질을 겔 상에서 분해하는 기능성 효소를 검출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단순하고 민감하며 정량화가 가능한 기술이다. 이 방법은 비 환원 조건하에서 SDS-전기영동 겔에서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의 분리와 겔 상에서 효소 활성을 검출하는 다목적 2 단계의 기술이다. 이는 SDS-전기영동 겔에 기질을 중합시키고 전기영동 분리 후 효소 반응 완충용액에서 복원된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미생물 배양액, 식물 추출물, 혈액, 조직 배양액, 식품 속 효소 및 메타 프로테옴을 포함한 어떤 종류의 생물학적 시료들을 zymography에 적용하고 분석이 가능하다. Zymography의 장점은 전처리 없이 혼합된 시료를 적용하여 SDS-전기영동 겔 상에서 활성을 지닌 단백질을 직접 육안으로 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나노그람(nanogram) 수준에서 활성을 확인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 zymography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이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하여 실험적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총설에서 zymography 기술의 장점, 단점, 및 문제점 해결에 관해서 서술하였다.

이온영동법에 의한 Dexamethasone의 구강점막에의 침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netration of Dexamethasone into Oral Mucosa with the Use of Iontophoresis)

  • Sung-Woo Lee;Young-Ku Kim;Hong-Seop Kh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6권1호
    • /
    • pp.9-23
    • /
    • 1991
  • 이온 영동법은 전기력의 도움으로 이온화된 물질의 신체조직내 침투를 증가시키는 술식으로서 전신적 부작용은 줄어드는 반면, 국소부위의 약물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효과적인 국소요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치의학 분야에서는 과민상아질의 치료를 위해 불소 이온영동법이 빈번히 이용되어져 왔으며, 국소마취제나 항바이러스 제재의 도포시에도이용되었다.또,이온 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로 피부나 구강점막의 염증성 질환의 효과적 치료를 보고한 많은 문헌이 있으나,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의 구강점막에의 침투량이나 분포에 관해서는 거의 소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가 부착된 dexamethasone을 이온영동법을 이용하여 가토의 협점막에 침투시킨후 자기방사선 술식에 의해 그 침투량과 분포를 대조군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온영동법은 단순 국소도포에 비해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dexamethasone in 0.1M sodium phosphate buffer solution)의 가토 협점막 침투량을 증가시켰으며, 양극을 사용하였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 2.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 투여 4시가, 24시간후 까지도 양극 잉온영동법이 효과적이었으며 은입자의 감소는 투여 4시간부터 24시간 후 사이에 주로 일어났다. 3.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첨가는 양극 및 음극에 의한 이온영동법 모두에 효과적이었으며, 양극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단순도포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는 피부뿐만 아니라구강점막 염증성 병소의 효과적 치료술식으로 여거질 수 있다.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